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제국신도의 형성

제국신도의 형성

(식민지조선과 국가신도의 논리)

아오노 마사아키 (지은이), 배귀득, 심희찬 (옮긴이)
소명출판
3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1,500원 -10% 0원
1,750원
29,7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제국신도의 형성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제국신도의 형성 (식민지조선과 국가신도의 논리)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일본사 > 일본근현대사
· ISBN : 9791159052484
· 쪽수 : 507쪽
· 출판일 : 2017-12-30

책 소개

지금까지 '국가신도' 연구는 식민지에서는 다르다는 점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하고 단지 '국가신도' 논리의 일탈이나 확대 같은 표현만을 거듭해왔는데, 저자는 '제국신도'라는 개념을 통해 이러한 기존연구들의 한계를 근본적으로 뒤집는다.

목차

한국어판 서문_ 국가신도는 제국신도였다

서장_ 제국사와 국가신도

제1부 국가신도 논리의 형성-1930년대 전반
1장_ 농촌진흥운동기의 신사정책-‘동제洞祭’에 대한 관심
1. 조선신궁 제신의 논리
2. 농촌진흥운동과 야마자키 노부요시의 농본주의
3. ‘동제’ 이용의 움직임
4. ‘동아민족’론
2장_ 국체명징과 심전개발운동-국민통합을 기획하는 신사정책
1. 심전개발운동의 개시
2. ‘종교부흥’ 구상 중심의 단계
3. 국체명징성명 이후의 신사정책
4. ‘구니타마노 오카미’에 관한 논의
3장_ ‘경신숭조’와 국가신도 논리의 확립-황조신에게 ‘귀일’하는 시조신
1. ‘경신숭조’의 배경
2. ‘경신숭조’ 논리의 형성-‘중견인물’ 양성시설
3. ‘경신숭조’ 논리의 확립-심전개발운동의 ‘목표’를 중심으로
4. 국폐소사의 ‘구니타마노 오카미’ 합사
5. ‘구니타마노 오카미’ 봉재가 지닌 문제

제2부 국가신도 논리의 실체화-1930년대 후반
4장_ 아마테라스 오미카미와 신사.신사神祠의 통제-조선판 신사정리
1. 촌락 제사의 장
2. 신사.신사神祠의 통제라는 문제
3. 제신의 이중성
4. 심전개발운동기의 일면 일신사.신사神祠 설치방침
5. 황민화 정책기의 일면 일신사.신사神祠 설치방침
6. ‘일면 일신사神祠’ 설치의 결정과 그 행방
5장_ ‘동제’에 관한 신사정책-증설을 위한 ‘동제’ 이용 담론
1. 전통적인 ‘동제’의 신사.신사神祠화
2. 전통적인 ‘동제’와 관제 ‘동제’에 대한 대응
3. 전통적인 ‘동제’〓‘부락제’의 조사
4. 강원도에서의 신사.신사神祠 증설방침
5. 강원도의 ‘이동사의 복고 개신’ 시책
부론_ 식민지조선의 ‘유사종교’ 개념-국가신도 논리에 의해 배제되는 신앙자들
1. ‘내지’와 조선의 결사에 대한 인식의 차이
2. ‘유사종교’ 개념의 형성
3. ‘유사종교’ 단속의 추이
4. 국체명징과 종말사상
5. 종말사상에 대한 단속

종장_ 민족종교의 틀을 넘는 제국신도론

참고문헌
역주
찾아보기
역자 후기

저자소개

아오노 마사아키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58년생. 오사카외국어대학(大坂外國語大學) 외국어학부 조선어학과를 졸업했다. 쓰쿠바대학(筑波大學) 대학원 지역연구 연구과 석사과정과 동대학원 역사.인류학연구과 박사과정을 거쳐 국제일본문화연구센터(國際日本文化硏究センタ一)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한국근대사 전공. 현재 모모야마학원대학(桃山學院大學) 국제교양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 <朝鮮農村の民族宗敎-植民地期の天道敎金剛大道を中心に>(社會評論社, 2001), 공저로 <종교와 식민지 근대-한국 종교의 내면화, 정치화는 어떻게 진행되었나>(책과함께, 2013) 등이 있다.
펼치기
심희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근대한국학연구소 HK교수. 일본 리쓰메이칸대학 문학박사. 일본 문부성 외국인특별연구원, 원광대 HK연구교수 등 역임. 대표 논저로 『식민지 시기 근대한국학의 형성과 분과학적 전개』(공저, 소명출판, 2024), 『일본의 근대, 근대의 일본』(공저, 세창출판사, 2022), 『근대한국학 데이터베이스 자료집』 제1권(공저, 소명출판, 2020) 등이 있다.
펼치기
배귀득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78년생. 리쓰메이칸대학(立命館大學) 대학원 문학연구과 석사과정 및 동대학원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근대한일종교사 전공, 현재 리쓰메이칸대학 문학부 시간강사로 재직 중이다. 논문으로「日本組合敎會の朝鮮傳道における一考察-渡瀨常吉の初期朝鮮傳道を中心に」(<一神敎世界> 第3號, 2012), 「1910년대 최중진의 자유교회와 그 주변」(<전북사학> 제40호, 2012), 공저로 <종교와 식민지 근대-한국 종교의 내면화, 정치화는 어떻게 진행되었나>(책과함께, 2013)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