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일제치하/항일시대
· ISBN : 9791159055515
· 쪽수 : 760쪽
· 출판일 : 2023-12-31
책 소개
목차
일러두기
해제:연구자 소개와 논저 서평을 통한 조선연구의 진흥
기사 본문
1부 조선학계 연구자들의 이력과 연구 주제
01 「조선어문 공로자 소개 창간 10주년 기념사업」(전5회) -『동아일보』, 1930.9.2~6
02 「(선생평판기 기1) 연전의 ‘골동품’ 백남운 교수, 경제사료 수집에 몰두」 -『동아일보』, 1930.9.7
03 「(선생평판기 기3) 대리석상 같은 옥선진 교수, 샌님도 연단에서 서면 사자」 -『동아일보』, 1930.9.19
04 「(선생평판기 기6) 불전의 ‘모던’ 중 김태흡 강사, 불교의 사회화에 노력 -『동아일보』, 1930.9.23
05 「(선생평판기 기7) 누렁지 같은 신의경 강사, 독서삼매에 늙는 줄 몰라」 -『동아일보』, 1930.9.24
06 「(선생평판기 기10) 소인회 회장 이긍종 강사, 조선화폐사를 불원 완성」 -『동아일보』, 1930.10.15
07 「(선생평판기 기11) ‘새우젓 장사’ 홍성하 교수, 이론경제에 제1인」 -『동아일보』, 1930.10.16
08 「(선생평판기 기12) 극문학에 조예 깊은 조희순 교수, 양복감 파는 노국인」 -『동아일보』,』1930.10.17
09 「(선생평판기 기13) 미인 투표 당선된 채필근 교수, 교육과 전도에 일의 전력」 -『동아일보』, 1930.10.19
10 「(선생평판기 기14) 퉁퉁한 술부대 윤태동 강사, 낭만철학을 특히 연구」 -『동아일보』, 1930.10.21
11 「조선의 역사 대가 단재 옥중 회견기」(전7회) -신영우, 『조선일보』, 1931.12.19~30
12 「석농 선생의 역사 언어」(전9회) -애류생, 『조선일보』, 1932.3.26~4.6
13 「(연구실을 찾아서) 박제된 학문」 -유진오, 『조선일보』, 1932.11.26
14 「(연구실을 찾아서) 연중硏中 일제一題」 -천태산인, 『조선일보』, 1932.11.30
15 「(연구실을 찾아서) 역사성을 부인하는 역사성, 현실의 긍정적 이해와 부정적 고찰」 -최용달, 『조선일보』, 1932.12.2
16 「(연구실을 찾아서) 굶어 죽는 취미」 -고유섭, 『조선일보』, 1932.12.3
17 「(연구실을 찾아서) 파르메니데스적 방법과 헤라클레이토스적 방법」 -신남철, 『조선일보』, 1932.12.6
18 「(연구실을 찾아서) 자아를 알자」 -신석호, 『조선일보』, 1932.12.7
19 「(연구실을 찾아서) 학자의 생활은 모순에서 모순에」 -조윤제, 『조선일보』, 1932.12.9
20 「(연구실을 찾아서) 천사만사는 객관자의 정서」 -박동일, 『조선일보』, 1932.12.11
21 「(연구실을 찾아서) 몰각된 자기」 -조용욱, 『조선일보』, 1932.12.15
22 「(연구실을 찾아서) 제 것을 멸시」 -이희승, 『조선일보』, 1932.12.20
23 「(연구실을 찾아서) 무기로써의 경제학」 -김광진, 『조선일보』, 1932.12.21
24 「(연구실을 찾아서) 내방來房 속에서」 -서두수, 『조선일보』, 1932.12.27
25 「(연구실을 찾아서) 비‘스콜라’적 태도」 -한치진, 『조선일보』. 1932.12.28
26 「고 노정 김재철 군을 조吊함」 -김태준, 『조선일보』, 1933.1.31
27 「고 노정 김재철 군-회보 제6호를 추도호로 내면서」 -이희승, 『동아일보』, 1933.3.5
28 「(교수·강사타령 보성전문학교 편) 법과 과장 옥선진 씨」 -『조선일보』, 1933.4.26
29 「(교수·강사타령 보성전문학교 편) 법과 교수 최태영 씨」 -『조선일보』, 1933.4.27
30 「(교수·강사타령 보성전문학교 편) 전임강사 유진오 씨」 -『조선일보』, 1933.4.28
31 「(교수·강사타령 보성전문학교 편) 상과 과장 김영주 씨」 -『조선일보』, 1933.5.1
32 「(교수·강사타령 보성전문학교 편) 상과 교수 홍성하 씨」 -『조선일보』, 1933.5.2
33 「(교수·강사타령 보성전문학교 편) 교수 백상규 씨」 -『조선일보』, 1933.5.5
34 「(교수·강사타령 보성전문학교 편) 상과 교수 김광진 씨」 -『조선일보』, 1933.5.11
35 「(교수·강사타령 보성전문학교 편) 제제다사」 -『조선일보』, 1933.5.13
36 「고 노정 김재철 군의 생애와 그 유저」(전2회) -성재학인, 『조선중앙일보』, 1933.8.4~5
37 「일성 선생을 곡함」 -홍기문, 『조선일보』, 1933.8.26
38 「(명랑! 가을의 연구실에 문명의 자장가를 엿듣는다) 철학은 미소한다, 초월하는 하이데거-성대 교수 박종홍 씨」 -『조선일보』, 1933.9.17
39 「(명랑! 가을의 연구실에 문명의 자장가를 엿듣는다) 우리들도 군혼을 지내왔단다-연전 상과연구실 백남운 교수」 -『조선일보』, 1933.9.22
40 「(명랑! 가을의 연구실에 문명의 자장가를 엿듣는다) 철학의 대도를 걷는 젊은 파우스트-독일 철학박사 안호상 씨」 -『조선일보』, 1933.9.26
41 「(우문현답 상아탑 방문기 2) 최용달 씨를 찾아서」 -『동아일보』, 1936.1.3
42 「(우문현답 상아탑 방문기 3) 이훈구 씨를 찾아서」 -『동아일보』, 1936.1.4
43 「오호 단재를 곡함」 -안재홍, 『조선일보』. 1936.2.27
44 「조선 역사학의 선구자인 신단재 학설의 비판」(전8회) -홍기문, 『조선일보』, 1936.2.29~3.8
45 「곡 단재」 -벽초, 『조선일보』, 1936.2.28
46 「(인물춘추) 백남운론」(전5회) -서강백, 『조선중앙일보』, 1936.4.28.~5.5
47 「(인물춘추) 정인보론」(전4회) -천태산인, 『조선중앙일보』, 1936.5.15~19
48 「한글 표준 사정에는 으뜸 되는 수훈자, 조선어사전 편찬에 혈한노심, 조선어학회 이극로 씨」 -『조선일보』, 1937.1.1
49 「우리 토속 연구의 처녀지를 개척, 연중휴대 비망록과 연필, 민속학의 권위 손진태 씨」 -『조선일보』, 1937.1.1
50 「경제 조선의 입체적 연구, 후진에게 들려주는 연학의 오훈, 『조선사회경제사』 저자 백남운 씨」 -『조선일보』, 1937.1.1
51 「향가 연구에 혁명아! 오구라 학설을 전면적으로 분쇄, 학계 주시의 그의 업적, 향가 연구가 양주동 씨」 -『조선일보』, 1937.1.1
52 「(초창의 학문 순방기) 위창 오세창 선생을 찾아」 -『조선일보』, 1938.3.18
53 「(초창의 학문 순방기) 30년 하루 같은 황의돈 씨」 -『조선일보』, 1938.3.19
54 「(나의 연구테마) 조선문화사상으로 본 조선불교사의 연구」 -불전 교수 강유문, 『조선일보』, 1939.3.12
55 「(나의 연구테마) 비교음성학 연구」 -연전 교수 김선기, 『조선일보』, 1939.3.14
56 「(나의 연구테마) 여요·향가의 주석·기타-상대 어법사의 일 도정」 -양주동, 『조선일보』, 1939.3.17
57 「(나의 연구테마) 사료만 남아있는 조선사-특히 북방개척에 치중하여」 -성대 조선사연구실 이인영, 『조선일보』, 1939.3.18
58 「(조선학의 외인부대 1) 고고학자의 꿈을 담은 두만강안의 고문화, 지멜만 박사 편」(전2회) -『조선일보』, 1939.4.9~11
59 「(조선학의 외인부대 3) 사라져가는 자료 조선 고선박의 연구, 원한경 박사 편」 -『조선일보』, 1939.4.12
60 「(조선학의 외인부대 4・5) 조선학의 개척자 헐버트 씨」(전2회) -『조선일보』, 1939.4.13~14
61 「(조선학의 외인부대 7) 쇄국의 금령 하 전율하는 ‘개화’ 전야의 정신사, 한말 종교사의 연구가 피숀 씨」 -『조선일보』, 1939.4.18
62 「(여명기의 회상록 4) 권덕규 씨에게 조선어학 발달사를 묻는다」 -『조선일보』, 1939.6.20
63 「(여명기의 회상록 6) 최규동 씨에게 수학 발달사를 묻는다」 -『조선일보』, 1939.6.22
64 「(새 시대에 학술도 동원, 사변과목을 찾아서) 고어학자 양주동 씨」 -『조선일보』, 1939.12.5
65 「(새 시대에 학술도 동원, 사변과목을 찾아서) 전 젊은 법학자 서재원 강사」 -『조선일보』, 1939.12.6
2부 논저 서평을 통한 조선연구의 진흥과 논쟁
66 「최육당의 『백두산근참기』를 읽음」(전3회) -안민세, 『조선일보』, 1927.10.13~18
67 「『조선어철자법강좌』 장지영 씨의 신저를 읽고」(전4회) -염상섭, 『조선일보』, 1930.11.1~7
68 「(내외신간평) 손진태 씨 편, 『조선신가유편』」 -이은상, 『동아일보』, 1931.2.23
69 「(내외신간평) 동예 이중화 씨 저 『조선의 궁술』」 -석성인, 『동아일보』, 1931.5.11
70 「이선근 저 『조선최근세사』 독후감」(전4회) -고영환, 『조선일보』, 1931.5.13~16
71 「이여성 김세용 공저 『수자조선연구』」(전3회) -김우평, 『동아일보』, 1931.12.19~24
72 「『수자조선연구』 독후감을 읽고」(전6회) -동서 저자 양인, 『동아일보』, 1932.1.17~24
73 「(독후감) 크레인 여사의 『조선 화초와 및 그 민요의 연구』」 -하성생, 『조선일보』, 1932.3.10
74 「이여성, 김세용 저 『수자조선연구』 제3집」(전2회) -함상훈, 『동아일보』, 1932.5.28
75 「(독서란) 『조선민속』을 독함」 -함대훈, 『조선일보』, 1933.2.2
76 「(독서란) 김소운 씨 편저, 『조선구전민요집(조선문)』 제1서방판」 -함대훈, 『조선일보』, 1933.2.17
77 「(독서실) 김태준 저, 『조선소설사』」 -최창규, 『조선일보』, 1933.6.11
78 「(신간평) 이·김 양씨 공저 『수자조선연구』 제4집을 읽고」 -홍효민, 『동아일보』, 1933.6.14
79 「(신간평) 노정 김재철 저 『조선연극사』」 -서항석, 『동아일보』, 1933.6.24
80 「(신간서 독후유감) 『간도소사』 기타」(전2회) -여수학인, 『조선중앙일보』, 1933.7.2~5
81 「(신간평) 잡지 『철학』의 창간을 보고」 -서항석, 『동아일보』, 1933.8.4
82 「경제사 연구의 주초柱礎, 백남운 교수의 대저 『조선사회경제사』 전 5권 중 제1권 출판」 -R생, 『조선중앙일보』, 1933.
83 「백남운 교수의 신저 『조선사회경제사』」 -김광진, 『동아일보』, 1933.9.21
84 「(Book Review) 『조선사회경제사』」(전2회) -이천진, 『조선일보』, 1933.11.30.~12.1
85 「독사만록-조선학에 관한 구문歐文 저서의 미친 영향, 일역본을 중심으로 하여」(전4회) -홍순혁, 『조선일보』, 1934.2
86 「독사만록의 보유」 -홍순혁, 『조선일보』, 1934.2.9
87 「(사외이문) 『승정원일기』」 -호암, 『조선일보』, 1934.2.10
88 「(Book Review) 김태준 편, 『조선가요집성 고가편』 제1집을 읽고」(전3회) -이종수, 『조선일보』, 1934.2.16~18
89 「(일사일언) 원한경 박사와 『조선선박고』」 -장백산인, 『조선일보』, 1934.5.10
90 「(사외이문) 『조선소사』」 -호암, 『조선일보』, 1934.4.24
91 「(BOOK REVIEW) 『보전학회논집』에 대한 독후감」(전4회) -백남운, 『동아일보』, 1934.5.1~4
92 「『진단학보』를 읽고」(전3회) -무이생, 『동아일보』, 1934.12.22~27
93 「(작년도 학술계) 논저를 통해 본 조선학계의 수확」(전6회) -황욱, 『동아일보』, 1935.1.1~6
94 「(북리뷰) 파리에서 출판된 서영해 씨의 『명경의 불행』」 -이헌구, 『조선중앙일보』, 1935.1.11
95 「고전섭렵 수감隨感」(1)~(5) -천태산인, 『동아일보』, 1935.2.9~15
96 「진단학보를 읽고」(전5회) -정학모, 『동아일보』, 1935.5.8~14
97 「이여성, 김세용 공저 『수자조선연구』 제5집에 대한 독후감」(전2회) -백남운, 『동아일보』, 1935.5.28~29
98 「이훈구 교수의 신저 『조선농업론』을 독함」(전3회) -노동규, 『동아일보』, 1935.9.3~5
99 「조선 고문헌의 섭렵」(전8회) -최문진, 『조선중앙일보』, 1935.9.12~21
100 「『진단학보』 제3권을 읽고」(전4회) -이청원, 『동아일보』, 1935.11.9~14
101 「『진단학보』 제3권을 읽고」(전4회) -김태준, 『조선중앙일보』, 1935.11.15~19
102 「작년 중 일본학계에 나타난 조선에 관한 논저에 대하야」(전4회) -이청원, 『동아일보』, 1936.1.1~6
103 「작년 조선학계의 수획과 추세 일고」(전11회) -이청원, 『조선중앙일보』, 1936.1.1~25
104 「이청원 씨 저 『조선사회사독본』을 읽고」(전10회) -호세이대학[法政大學] 김우헌, 『조선중앙일보』』1936.7.23~8.6
105 「(북리뷰) 최현배 씨 저 『우리말본』」(전2회) -이희승, 『조선일보』, 1937.3.17~18
106 「(신간평) 조선시가의 정리 독 『조선시가사강』」 -이은상, 『조선일보』, 1937.5.29
107 「(북리뷰) 조윤제 씨 저 독 『조선시가사강』」 -서두수, 『동아일보』, 1937.6.25
108 「(독서여향, 신추등하에 읽히고 싶은 서적 1) 민속학도들에게」 -손진태, 『동아일보』, 1937.9.2
109 「(독서여향, 신추등하에 읽히고 싶은 서적 6) 최근세사 연구서」 -이선근, 『동아일보』, 1937.9.9
110 「(독서여향, 신추등하에 읽히고 싶은 서적 7) 독서근감 수칙數則」(전3회) -양주동, 『동아일보』, 1937.9.10~12
111 「최근의 발견과 학계의 수확」 -『동아일보』, 1938.1.5
112 「(신간평) 김윤경 씨의 노작 『조선문자 급 어학사』」 -홍기문, 『조선일보』, 1938.1.27
113 「이희승 근저 『역대 조선문학 정화』」 -이극로, 『조선일보』, 1938.5.5
114 「이희승 편 『조선문학정화』」 -조윤제, 『동아일보』, 1938.5.6
115 「(신간평) 문세영 씨 역저 『조선어사전』 평」 -방종현, 『조선일보』, 1938.7.22
116 「(신간평) 『진단학보』 평, 그 9호 간행을 보고」 -노성석, 『조선일보』, 1938.8.14
117 「(신간평) 우리 문장 궤범인 『조선문학독본』」 -이헌구, 『조선일보』, 1938.10.23
118 「(북리뷰) 훌륭한 고전 『조선명보전도록』」 -이태준, 『동아일보』, 1938.12.13
119 「독 『조선무속연구』, 무속 수집의 효시본」 -방종현, 『조선일보』, 1939.2.2
120 「(북리뷰) 최초의 문화조감도 『조선문예연감』」 -이종수, 『동아일보』, 1939.4.12
121 「(북리뷰) 진귀한 수확 『조선민요선』을 읽고」 -여상현, 『동아일보』, 1939.5.24
122 「고문헌의 일 수난-김태준 씨의 근저 「여요주석」」(전5회) -양주동, 『조선일보』, 1939.5.28~6.4
123 「역사 연구가에게 주는 각서, 특히 초학자의 색인을 위해서」(전7회) -김상기, 『동아일보』, 1939.6.9~17
124 「찾아진 연극고전 『조선연극사』를 읽고」 -유치진, 『동아일보』, 1939.6.30
125 「조선말과 니시무라 씨-『보리와 병정』의 역저를 읽고」 -홍종인, 『조선일보』, 1939.7.22
126 「고 문일평 씨 유저 『호암사화집』」 -이병도, 『조선일보』, 1939.7.28
127 「(북리뷰) 문일평 씨의 유고 『호암사화집』」 -이윤재, 『동아일보』, 1939.7.28
128 「(신추 학술강좌) 상고사 연구의 근본사료」(전4회) -황의돈, 『조선일보』, 1939.9.27~10.4
129 「(학생과 독서) 『호암전집』 제1권을 읽고」 -황의돈, 『조선일보』, 1939.10.30
130 「두어잡록, 엽서여담」(전7회) -홍순혁, 『조선일보』, 1939.11.2~11
131 「학계 1년 보고, 조선학의 독무대」(전2회) -박치우, 『조선일보』, 1939.12.15~16
132 「(학생과 독서) 『조선무속의 연구』 아카마쓰, 아키바 양씨의 저서를 읽고」 -방종현, 『조선일보』, 1940.2.12
133 「(북리뷰) 정광현 저, 『성씨논고』」(전2회) -경성복심법원 판사 김준평, 『조선일보』, 1940.4.13~16
134 「고 문일평 선생 1주기 기념논문, 호암의 유저에 대하여」 -홍벽초, 『조선일보』, 1940.4.16
135 「(북리뷰) 자산 안확 저 『조선무사영웅전』」 -유자후, 『동아일보』, 1940.5.9
간행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