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한국전쟁 이후~현재
· ISBN : 9791159252136
· 쪽수 : 470쪽
· 출판일 : 2017-04-25
책 소개
목차
저자 소개와 총서 기획편집위원회
일러두기
발간사_ <한국의 과학과 문명> 총서를 펴내며
서문
1장 머리말
2장 과학기술자의 공간, ‘연구소’의 탄생
1절 해방 직후 과학기술자들의 과학기술 진흥 요구
2절 국내 유일의 공업기술 시험연구기관, 중앙공업연구소
3절 우장춘과 중앙원예기술원
4절 과학기술자의 군대생활, 국방부과학연구소
1. 한 육군 대위의 과학자 되기
2. 육군병기공창과 과학기술연구소
3. 국방부과학연구소
5절 원자력 유학생과 원자력연구소
6절 국립연구소의 역할과 한계
3장 KIST의 등장과 ‘역두뇌유출’
1절 연구소 개편 방안과 한미정상회담
1. 기술관리국의 연구소 개편 노력
2. 미국의 연구소 설립 제안
2절 첫 번째 정부출연연구소의 탄생
1. “동양 최대의 연구소”
2. 안정성과 자율성의 줄타기
3절 KIST의 ‘두뇌유치’
1. 한국의 ‘두뇌유출’
2. KIST의 연구인력
3. 정부의 해외유학 정책 변화
4절 KIST의 연구활동
1. “연구를 팝니다”
2. 과학기술 분야 ‘싱크탱크’
5절 현대적 과학기술체제의 형성
1. 과학기술처의 설립
2. 한국의 ‘과학기술 붐’
6절 정부출연연구소 등장의 의미
4장 연구단지 건설과 공공연구체제 구축
1절 서울연구개발단지의 형성
1. 연구단지의 꿈
2. ‘두뇌단지’와 정부출연연구소 체제의 정착
2절 “한국 과학의 메카”, 대덕연구단지
1. 제2연구단지 구상
2. 20년의 대역사: 대덕연구단지 조성
3절 정부출연연구소의 시대
1. 국립연구소의 전환
2. KIST 조직의 독립
3. 새로운 분야의 연구소 설립
4절 정부출연연구소 확산의 의의와 문제점
5장 민간주도 연구체제의 형성
1절 기업연구소의 시대
1. 기업연구소의 등장
2. 기업연구소의 부상
3. 기업연구소 생태계
2절 1980년 정부출연연구소 통폐합
3절 국가연구개발사업의 등장
4절 전환기의 정부출연연구소
1. 1980년대 정부출연연구소의 다양화
2. 민주화 시대의 정부출연연구소
3. 정부출연연구소 합동평가와 기능재정립
5절 기술드라이브 시대의 연구체제
6장 한국 연구체제의 재정립
1절 대학연구소의 뒤늦은 부상
1. 대학연구소의 등장
2. 대학연구소의 확대
3. 우수연구센터와 대학연구능력 구축
4. 대학연구소의 과제
2절 기업연구소의 현황과 특성
3절 국공립연구소의 정중동
1. 국공립연구소의 공공연구
2. 새로운 국공립연구소의 등장
4절 정부출연연구소의 새로운 길 찾기
1. 연장된 구조조정
2. 연구회 체제의 도입
3. 정부출연연구소의 다양한 역할
5절 “따로 또 같이” 가는 한국 연구체제
7장 맺음말
주석
표 및 그림 일람
참고문헌
찾아보기
Contents in Englis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