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91159300707
· 쪽수 : 312쪽
· 출판일 : 2018-06-15
책 소개
목차
책을 펴내며
국가와 기업이 책임져야 할 세대별 마을 공간 문재현
새마을운동에 대한 추억과 마을 만들기 사업에 대한 우려
자발성은 어떻게 가능한 것일까?
세대별 마을 공간 만들기의 책임은 정부와 기업에 있다
아파트 공동체의 속살-세대별 마을 공간 김수동
주민의 힘으로 만든 첫 번째 공유 공간, 작은 도서관
참다운 마을살이의 시작, 동대표
평화로운 아파트 만들기의 발화점, 놀이터 일진 물갈이 사건
보살핌에 눈뜨는 마을
작은 도서관에 피는 공동체꽃
아파트 공동체를 향한 우리들의 비전-세대별 마을 공간
수곡동에서 꾸는 공동체의 꿈-세대별 마을 공간 신동명
주민의 단결로 만든 마을공동체센터 부지
보살핌을 위한 마을공동체
-건강한 마을 만들기 주민 네트워크
공동체 문화의 바탕, 놀이
세대별 마을 공간을 향한 꿈
농촌 마을 살리기를 위한 세대별 마을 공간 유양우
농촌에 만들어진 청소년 돌봄 공간-청소년 공부방
주민이 함께 나선 청소년 돌봄
놀이는 공동체문화의 뿌리
고향에 대한 애착-마을 나들이
농촌 마을 살리기의 미래-세대별 마을 공간
[ 정책제안 ]
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세대별 마을 공간 만들기
[ 보론 ]
아파트 평수에 따라 세대별 마을 공간이 달라요
책속에서
새마을운동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장면이 우리 마을 앞에 산처럼 쌓여 있는 시멘트 포대더미이다. 내가 초등학교 3학년 때였다.시멘트 포대는 그렇게 한참 쌓여 있었다.
나는 모두의 소망을 모아 세대별 마을 공간이 마을에서 시작해서 온 사회로 확살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