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91159302145
· 쪽수 : 240쪽
· 출판일 : 2022-02-10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며
〈오징어 게임〉과 놀이 한류의 미래
〈오징어 게임〉과 놀이의 재발견
놀이 한류의 가능성 모색하기
〈오징어 게임〉과 놀이 르네상스의 조짐
무엇을 할 것인가?
새로운 여행 문화를 위한 청소년과의 간담회
비석치기, 호주 아이들을 사로잡다 _ 임오규
〈오징어 게임〉으로 더 풍성해지는 놀이마당
놀이가 스트레스였어요
비석치기에 열광하는 호주 아이들
놀이, 아이의 닫힌 마음을 열다
다시 놀이가 넘쳐나는 마을을 꿈꾸며
독일에서 느낀 우리 놀이의 힘 _ 윤재화
놀이 학교의 교장 선생님
왕따 놀이를 하는 왕따 예방프로그램
강강술래로 만난 독일 아이들
마을 놀이 할머니로 사는 꿈
고무줄놀이와 새로운 문화창조 – 그 아름답고 위대한 놀이의 잠재력
그 남자애는 왜 고무줄을 끊었을까?
아름다운 놀이, 위대한 놀이
우리 민요 음계를 바탕으로 한 세 박자 고무줄놀이를 찾아서
고무줄놀이 살리기 프로젝트
세계적인 문화유산, 아기 어르는 소리
아기 어르는 소리를 찾아서
삶을 축제화하는 힘은 어떻게 만들어질까? – 도리도리 이야기
음악적 모국어와 우리 자장가
서로문화주의와 자장가
자람과 보살핌의 힘으로 피어난 삶꽃
강강술래를 닮은 여성 중심 대동 놀이 – 너리기펀지기
강강술래의 벅찬 기억
드디어 발견된 충북의 여성 중심 대동 놀이
달, 우리말과 문화의 깊고 높은 뿌리
윷놀이의 뿌리와 속살을 찾아서
윷놀이의 추억
윷놀이는 북두칠성의 움직임을 따른다
청주 당산에서 윷놀이판을 발견하다 |
모든 세시 놀이는 해, 달, 별의 운행을 모방한다
온마을을 하나로 만드는 대동 놀이 - 줄다리기
운동회와 줄다리기
우리 옛 줄다리기를 찾아서
줄다리기, 어떻게 다시 살릴 수 있을까?
용 문화의 뿌리
놀이는 공동체의 밥이다
왜 공동체의 밥인가
옛 마을의 놀이문화
어떤 놀이가 마을을 살릴까? - 진짜놀이 vs 가짜놀이
레크리에이션은 왜 아이들에게 위험할까?
마을에서 놀이문화를 어떻게 살릴 수 있을까?
부록 고무줄놀이에 대한 경험 나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