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중국철학
· ISBN : 9791159310690
· 쪽수 : 351쪽
· 출판일 : 2016-06-30
책 소개
목차
서문 : 21세기, 중국의 자기인식은 가능한가 -‘제국성’과 ‘근대 극복론’의 유혹
1부 국가, 유학, 지식인
1장 현대 중국의 유학 부흥과 ‘문명제국’의 재구축
1. ‘권력-지식 복합체로서의 유학’인가, ‘비판담론으로서의 유학’인가
2. ‘유학 비판’을 통한 ‘국민국가’ 건설
3. ‘유학긍정’을 통한 21세기 ‘문명제국’의 기획
4. 중국모델론과 유학담론
5. ‘비판담론으로서의 유학’의 재건을 위해
2장 중국의 유학담론과 복수의 공공성
1. 왜 ‘복수의 공공성’인가
2. 유학 불러오기에서의 정체성, 역사성, 윤리성
3. 권력과 소비사회
4. 타자성과 윤리성
5. 약자의 기입공간으로서의 ‘복수의 공공성’
2부 문화적 보수주의, 정치적 보수주의, 그리고 유학
3장 1990년대 중국 신보수주의의 탄생과 유학의 재조명
1. 중국의 보수와 진보,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2. 중국 신보수주의의 출현 배경과 성격
3. 중국 신보수주의의 연원과 특징
4. 신보수주의의 문화 구상과 유학의 재해석
5. 신보수주의가 구상하는 중국의 미래와 동아시아
4장 5·4 시기 신지식인 집단의 출현과 보수주의
1. 5·4 신문화운동과 보수주의의 논의 조건
2. 신문화운동과 5·4운동, 그리고 제1차 세계대전
3. 신지식인 집단의 출현과 신문화운동의 유가윤리 비판
4. 신문화운동에 대한 보수주의의 초기 대응
5. 5·4의 보수주의-근대 성찰의 가능성과 한계
3부 현대 중국의 민족주의와 그 아포리아
5장 현대 중국의 민족주의와 동아시아 인식
1. 현대 중국 민족주의의 아포리아
2. 1990년대 이후 중국 민족주의 담론의 발생 배경
3. 중국 민족주의 담론의 내용과 쟁점
4. 민족주의 담론 속의 동아시아 인식과 비판
5. 중국의 민족주의와 민주주의
6장 중국 근대 민족주의의 구조와 성격
1. 근대 중국 민족주의의 아포리아
2. 중국 민족주의의 구국적 성격-사회주의와 결합한 정치민족주의
3. 중국 민족주의의 구망적 성격-보수주의와 결합한 문화민족주의
4. 중국의 독자적 근대와 민족주의의 향방
4부중국의 소수민족 문제와 중화민족론
7장 중국의 주변 문제, 티베트를 보는 다른 눈-한족 출신 양심적 지식인 왕리슝과의 대담
1. ‘황화黃禍’를 예언하는 불복종의 작가정신
2. 일상화·대중화한 민족 갈등
3. 달라이 라마라는 ‘피안’
4. 마음속의 경찰, 종교
5. 부메랑으로 돌아올 세속화정책
6. 중화민족, 제국의 영광과 꿈
7. 티베트를 보는 균형 잡힌 관점과 아시아적 전망
8장 현대 중국의 소수민족과 ‘국민화’ 이데올로기
1. 중화민족 개념-‘국민화’ 이데올로기
2. 민족담론과 소수민족의 시선
3. 중화민족의 외연 확장과 그 의미
4. 당대의 중화민족 해석-중화민족다원일체론
5. 다민족사회와 공존의 길
출전 / 참고문헌 /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