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유학과 동아시아

유학과 동아시아

(다른 근대의 길)

나종석, 조경란, 신주백, 강경현 (지은이)
비(도서출판b)
3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7,000원 -10% 0원
1,500원
25,5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유학과 동아시아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유학과 동아시아 (다른 근대의 길)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유교철학/주역 > 유교철학 일반
· ISBN : 9791187036494
· 쪽수 : 607쪽
· 출판일 : 2018-05-18

책 소개

지난 4년간 수행해 온 연구를 집대성한 것으로 ‘유학과 동아시아의 근대성’이라는 문제를 다루고 있다. 이 저서에 수록된 글들은 대략 다음 세 가지 문제의식을 공유하고 있다. 우선 한국의 근대성 이론과 동아시아 인문정신, 특히 유교적 정치문화와의 상관성을 성찰하려는 문제의식이다.

목차

책머리에 11
서문 | 동아시아 전통과의 대화와 다른 근대의 길 13


제1부 동아시아, 전통, 근대성

제1장 헤겔의 유럽중심주의적 동양관 비판과 근대성의 물음/나종석 29
1. 들어가는 말 29
2. 기독교, 서구 근대의 자생성 신화 그리고 유럽중심주의의 철학적 정당화 32
3. 유럽 근대의 자생성의 이면: 동서양문명의 이원론과 동양의 타자화 38
4. 중국의 충격과 헤겔의 근대성에 대한 철학적 성찰의 발생사적 맥락 46
5. 헤겔 정신철학과 식민주의 52
6. 나가는 말: 새로운 보편성을 향한 출발점으로서의 과거의 탈식민성 59

제2장 동아시아 근대의 고유한 위상과 유형/김상준 62
1. 들어가는 말: 이 글의 목표와 연구 방법 62
2. 역사의 새가 본 동아시아 근대 71
3. 제1단계: 동아시아 근대의 원형과 그 하위유형들 75
4. 제2단계: 서세동점과 동아시아의 대응유형들 80
5. 제3단계: 일본의 팽창과 동아시아 전쟁체제의 성립, 그리고 그 하위유형들 84
6. 제4단계: 동아시아 열전-냉전체제, 형성에서 종식까지 89
7. 제5단계: 후기근대 동아시아 92

제3장 20세기 동아시아의 역사경험을 어떻게 볼 것인가/조경란 104
1. 들어가는 말: 20세기 혁명과 21세기 중국몽 사이에서 104
2. 중국에서 근대는 무엇인가 107
3. 중국에서 전통은 무엇인가 110
4. 다른 근대는 가능한가 113
5. 새로운 근대를 위해 혁명을 성찰하자 115

제4장 ‘또 하나의 근대’와 미조구치 중국학의 개혁개방/혼마 쓰기히코 118
1. 들어가는 말 118
2. 쓰다 지나학과 그로부터의 중국학 119
3. ‘다원적 세계관’과 ‘진정한 보편성’ 122
4. ‘방법으로서의 중국’ 126
5. 중국원리의 굴절과 전개 129
6. “중국의 충격” 133


제2부 유학 전통과 한국의 근대성

제5장 전통과 근대/나종석 139
1. 들어가는 말: 유교전통, 동아시아 그리고 한국 근대성 139
2. 유교전통과 한국 근대성: 장은주의 ‘유교적 근대성’ 이론을 중심으로 143
3. 유교적 근대성 이론의 문제점 151
4. 충효일치 이념의 기원: 한국과 일본의 유교전통의 차이 158
5. 유교적 정치문화와 민주주의 그리고 한국의 근대성 167
6. 유교적 메리토크라시와 한국사회의 민주주의 175

제6장 조선시대 ≪명유학안≫ 독해 양상과 그 성격/강경현 182
1. 들어가는 말 182
2. 명대 인물과 사상 이해 185
3. 양명학 비판 197
4. 양명학 재해석 207
5. 나가는 말 217

제7장 한국적 근대 정치이념으로서 민주공화주의의 형성/신주백 219
1. 들어가는 말 219
2. 개항에서 한국병합 이전, 공화와 대동의 병립 222
1) 공화론 _ 222 / 2) 대동론 _ 230
3. 민주를 매개로 공화와 대동의 삼투, 대동단결선언과 대한민국임시헌장․정강 236
1) 대동단결선언 _ 236 / 2) 대한민국임시헌장과 정강 _ 242
4. 나가는 말 246

제8장 박은식의 사상전변―생존과 자존 모색의 도정/이혜경 250
1. 들어가는 말: 문제제기 250
2. 량치차오의 문명 탐색과 중화로의 귀환 254
3. 박은식의 문명 수입 노력 260
4. 양명학으로 문명 넘어서기 265
5. 중화주의의 극복, 그리고 민족의 다른 미래 271
6. 왜 보편적인 가치를 묻는가? 277


제3부 유학 전통과 중국의 근대성

제9장 유가의 시각으로 본 ‘국가’와 ‘신캉유웨이주의’ 사조/깐춘송 283
1. 들어가는 말: 국가, 합법성, 캉유웨이, 천하주의 283
2. 국가 합법성에 대한 재인식 284
3. 캉유웨이로의 복귀와 5․4운동에 대한 재평가 294
4. 천하주의와 유가의 보편주의 299

제10장 중국공산당 통치의 정당성과 ‘유교중국’의 재구축/조경란 305
1. 들어가는 말: 유교의 ‘통치이념화’와 20세기 역사경험의 충돌 305
2. 중국공산당의 ‘유교중국’ 구상과 공산당의 유학화 310
3. 중국공산당 통치의 정당성과 ‘유교중국’의 제도화 315
4. 유교의 ‘통치이념화’의 조건 319
5. 20세기 중국의 역사 경험과 문화 맥락 326
6. ‘유교중국’의 안과 밖, 그리고 유교 만능의 절제 330

제11장 중국 사상계의 서양중심주의에 대한 비판/류칭 335
1. 들어가는 말 335
2. 중국의 시각으로 본 서양중심주의 336
3. 중국 학술의 주체성과 중국의 길 340
4. 서양중심주의 개념에 대한 분석 346
5. 자민족 중심론의 초월: 횡단 문화의 보편주의에 대한 추구 350


제4부 유학 전통과 일본의 근대성

제12장 냉전시기(1950-60년대) 일본 지식인의 중국 인식/조경란 359
1. 들어가는 말: 다케우치 요시미의 중국관―다시, 어떻게 볼 것인가 359
2. 1950-60년대 다케우치 요시미의 중국인식 365
3. ‘민족주의적 문명론’과 좌파-오리엔탈리즘: ‘내재하는 중국’의 역설 374
4. 현실과 이상의 분리, 긴장의 상실: 루쉰에서 마오쩌둥으로 380
5. 다케우치 사상의 의미와 한계: 좌파-오리엔탈리즘과 타자인식의 실종 387

제13장 황도유학과 일본의 국가주의적 심성의 계보학적 탐색/나종석 393
1. 들어가는 말 393
2. 황도유학과 근대 일본 천황제의 근본이념 393
3. 역성혁명론의 부정과 국가주의적 충성론 탄생의 사상적 조건 411
4. 일본 유학과 충효일체의 황도유학 이념의 단서 419
5. 동아시아 근대에 대한 새로운 성찰과 유럽적 보편주의를 넘어서 428


제5부 동아시아 유학 전통과의 새로운 대화

제14장 두 갈래의 ‘유교’/고희탁 445
1. 들어가는 말 445
2. 서구 계몽주의와 유교와의 관계 451
3. 민본주의의 두 갈래 459
4. 귀족주의적 민본주의에서 탈귀족주의적․민주주의적 민본주의로 468
5. 나가는 말 474

제15장 가까운 사람, 아는 사람 그리고 낯선 사람/천샤오밍 477
1. 들어가는 말 477
2. 유가 어록 한편 479
3. 친친-윤리의 시작점 481
4. 가까운 사람에서 아는 사람에 이르기까지 486
5. 낯선 사람의 세계 492
6. 초보적인 토론 498
7. 나가는 말 504

제16장 누구의 생각인가? 어떤 지위인가?/천리성 506
1. 들어가는 말 506
2. 선진시기 “위”에 관한 여러 해석 507
3. 사불출위―유가 정치철학의 명제인가? 517
4. 도대체 어떤 위인가? 526
5. 과연 “누구”의 생각인가? 538
6. 정치인가, 아니면 심성인가 vs. 정치이자 심성인가 565

참고 문헌 571
인명 찾아보기 595
사항 찾아보기 599
필자 소개 605

저자소개

신주백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전문연구원 겸 모씨네 아카이브연구소 소장. 전)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소장. 독립운동사, 한국근현대의 학술사, 일본군사사를 연구하고, 이를 동아시아사의 맥락에서 파악하려 노력하고 있다. 《한국 역사학의 전환》 《일본군의 한반도 침략과 일본의 제국 운영》 외 다수의 저서와 논문이 있다.
펼치기
조경란 (옮긴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에서 중국 현대사상과 동아시아 현대사상을 연구하고 있다. 총리실 산하 경제 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특별위원회 위원, 동북아역사재단 자문위원을 지냈다. 『중앙일보』, 『주간동아』 등 칼럼니스트를 지냈다. 홍콩 중문대학교에서 포닥, 북경대 초빙교수, 절강대학 방문학자를 지냈다. 논문으로 「AI 시대, ‘레드차이나’와 ‘디지털 레닌주의’ - 이중의 감시 체계: ‘디지털차이나’와 ‘센티널차이나’」, 「중국의 ‘메타서사’와 소프트파워의 딜레마」 등이 있다. 단독저서로는 『현대중국 지식인 지도』, 『20세기 중국 지식의 탄생』, 『국가, 유학, 지식인』 등이 있다. 공저로 『보수주의와 보수의 정치철학』 등 다수가 있다. 대한민국 학술원, 열암철학상을 수상했다.
펼치기
나종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독일에서 헤겔과 비코에 대한 논문으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사회와철학연구회 회장과 한국헤겔학회 회장을 역임했고 현재 대한철학회 부회장으로 있으며 연세대학교 문과대학 및 한국학협동과정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연구 분야는 독일 관념론, 현대 서구 정치철학, 동아시아 유학사상 그리고 한국 현대사상 등이다. 저서로 『차이와 연대: 현대 세계와 헤겔의 사회・정치철학』(2007), 『삶으로서의 철학: 소크라테스의 변론』(2007), 『헤겔 정치철학의 통찰과 맹목: 서구 현대성과 복수의 현대성 사이』(2012), 『대동민주 유학과 21세기 실학: 한국민주주의론의 재정립』(2017), 『대동민주주의와 21세기 유가적 비판이론의 모색』(2023), 『유학과 동아시아』(편저, 2018), 『사회인문학이란 무엇인가?』(공저, 2011), 『한국 인문학의 형성』(공저, 2011), 『유교적 공공성과 타자』(공저, 2014), 『유학이 오늘의 문제에 답을 줄 수 있는가』(공저, 2014), 『디아스포라: 민족 정체성, 문학과 역사』(공저, 2016)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비토리오 회슬레의 『비토리오 회슬레, 21세기의 객관적 관념론』(2007), 미하엘 토이니센의 『존재와 가상: 헤겔 논리학의 비판적 기능』(2008), 카를 슈미트의 『현대 의회주의의 정신사적 상황』(2012), 기무라 에이이치의 『공자와 ≪논어≫』(2020) 등이 있다.
펼치기
강경현 (옮긴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철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성균관대학교 유학·동양학과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연구 분야는 한국유가철학이다. 논문으로 「퇴계 이황의 리(理)에 대한 해석의 갈래」(2017), 「조선시대 <명유학안> 독해 양상과 그 성격」(2017), 「조선시대 經筵에서 <尙書> 강독의 의미」(2022) 등이 있고, 저서로 <퇴계 이황의 리(理) 철학: 지선(至善) 실현과 자기완성>(2022)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이처럼 헤겔의 정신철학과 역사철학은 자유 이념의 보편성에 대한 양가적 태도, 즉 유럽인들의 자유와 비유럽인들의 노예화의 상호 의존성이 필연적인 사태임을 보여준다. 그러므로 노예로 전락한 비서구 사회의 구성원들에게는 유럽사회에 의해 노예로 전락해서 유럽 정신을 자신의 것으로 내면화한다고 해도 유럽의 근대문명의 양가성에 대한 비판적 성찰이 없이는 결코 노예적 상황에서 벗어날 도리가 없게 된다. 간단하게 말해 헤겔이 주장하는 것과 달리 유럽근대문명의 세례를 아무리 받는다 해도 그 문명이 자체적으로 노예에 대한 이중 잣대를 내면화하고 있는 한, 노예가 어떻게 노예이기를 종식시킬 수 있는지를 인식할 수 없다. 그것은 유럽근대문명의 내적 파괴와 초월이 없이는 불가능할 것이기 때문이다.”


“부강한 중국, 이제 이를 바탕으로 ‘중국몽’으로 매진하기 전에 한숨 돌리고 자신의 과거를 살펴야 한다. 어떤 새로움도 평지돌출로 갑자기 우뚝 서는 것이 아닐 터, 오히려 필자는 대안을 말하기 위해서는 그 조건으로서 20세기에 대한 학문적 분석이 먼저라고 생각한다. 21세기 ‘중국몽’으로서의 인정(仁政)은 20세기 지식에 대한 반성에 기초해 수립되어야 한다. 20세기 중국에서 지식이 어떻게 탄생했고 어떻게 악몽이 되었는가에 대해 깊고 새로이 자문해야 한다. 근대에 대해 이처럼 집요하게 질문을 던질 때만이 근대를 넘어서는 21세기를 상상할 수 있다.”


고난의 극한을 경험한 자들이 그 고난을 극복하는 주인공이 될 수 있었던 것은, 그 고난을 만든 것에 대한 철저한 비판과 그에 동반된 극한의 노력 때문일 것이다. 박은식은 “압력에 대한 감정이 가장 극렬한” “대동민족”이 현 제국주의를 비판하고 나아가 제국주의가 만든 불행을 극복하고 “평등주의”의 주동자가 될 것을 기대하고 있다. 즉 박은식은 ‘민족’의 분발을 염원하면서도 그 분발의 결과로, 제국주의와는 다른 방식으로 역사를 열어가야 한다고 내다보고 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