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여성학/젠더 > 여성문제
· ISBN : 9791159678486
· 쪽수 : 500쪽
· 출판일 : 2018-06-18
책 소개
목차
Ⅰ. 서 론 1
1. 3개년 연구 분야 3
2. 1차년도 연구 개요 4
가. 연구 배경 및 필요성 ·4
나. 연구 내용 및 방법 ·7
3. 연구의 의의 및 한계 9
Ⅱ. 국내·외 성·재생산 건강정책 현황 및 시사점 11
1. 국내 ·13
가. 정책 현황 ·13
나. 성·재생산 건강정책으로 전환 시도 16
2. 해외 ·20
가. 아일랜드 ·20
나. 호주 33
다. 미국 40
3. 시사점 ·52
Ⅲ. 성·재생산 관련 젠더 및 건강 상담자료 분석 57
1. 연구 개요 ·59
가. 목적 59
나. 자료원 선정 ·59
다. 자료 수집 방법 및 내용 60
라. 분석 방법 ·62 2. 조사 결과 ·63
가. 생리 및 여성위생용품 63
나. 성관계 70
다. 피임 78
라. 원치않는 임신 ·85
마. 임신중단(낙태) 93
바. 성병 99
사. 불임 104
3. 소결 ·110
Ⅳ. 성·재생산 질환의 성별 추이와 발생위험 분석 115
1. 연구 개요 117
가. 연구 목적 및 내용 ·117
나. 연구 방법 ·118
2. 분석 결과 125
가. 진료실인원 및 진료비 실태와 추이 125
나. 성·재생산(생식) 질환의 임신·출산 및 악성 신생물 발생위험도 179
3. 소결 ·187
Ⅴ. 성·재생산 건강실태와 젠더 위험요인 분석 ·191
1. 조사 개요 193
가. 조사 목적 ·193
나. 조사 상 및 방법 ·193
다. 조사 응답자 현황 ·194
라. 조사 내용 ·196
마. 분석 방법 ·200
2. 조사 결과 201
가. 기초 현황 분석 ·201
나. 다변량 분석 ·272
3. 소결 ·281
Ⅵ. 성·재생산 젠더 건강이슈 및 정책 발굴 조사·분석 287
1. 조사 개요 289
가. 조사목적 및 방법 ·289
나. 조사 절차 및 내용 ·289
2. 조사 결과 291
가. 1차 조사 ·291
나. 2차 조사 ·313
3. 소결 ·340
Ⅶ. 결어 및 정책과제 ·347
1. 결어 ·349
2. 정책과제 ·350
가. 성·재생산의 불평등 요인으로서 사회구조 개선 ·350
나. 성·재생산 건강 증진을 위한 성인지적 교육 및 모니터링 강화 358
다. 성·재생산 건강 취약집단에 한 지원 방안 강화 ·363
라. 성·재생산 건강 관련 법·제도적 개선 369
마. 성·재생산 건강 유해물질 및 관련 보건의료기술에 관한 젠더 건강영향 평가 실시 ·376
· 참고문헌 ·381
· 부 록 ·395
<부록 1> 성·재생산 건강실태 조사 설문지 397
<부록 2> 제1차 전문가 델파이조사 설문지 415
<부록 3> 제2차 전문가 델파이조사 설문지 421
· Abstract 4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