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소설론
· ISBN : 9791160350364
· 쪽수 : 276쪽
· 출판일 : 2017-11-27
책 소개
목차
1부 슬픈, 시대의, 자화상
1. 고립된 주체들이 살아가는 긍정의 힘
- 김애란 『두근두근 내 인생』
2. 바흐찐의 눈으로 이문구의 『우리 동네』 읽기
3. 공선옥의 장편소설『꽃 같은 시절』
- 생태 페미니즘적 ‘여성 하위주체’시각으로 읽기
4. 6·25 트라우마의 시선으로 횡설수설 담론 들여다보기
- 이문희 중편소설 「하모니카의 계절」
5. ‘인간적인 너무도 인간적인’
- 강병철의『토메이토와 포테이토』
6. 채만식 소설의 여성인물과 ‘돈’
7. 채만식 소설과 여성적 글쓰기
8. 한설야 장편소설 『황혼』 다시 읽기
2부 만남과, 마주침의, 슬픔들
1. 흉터에서 피어나는 다문화 지도
- 손홍규의 『이슬람 정육점』
2. 국수를 빚는 시간들
- 김숨의 「국수」와 백석의 「국수」
3.『작가의 객석』에는 객석이 없다
4. 역사의 진실과 대화적 상상력의 글쓰기
- 조중연의 『탐라의 사생활』
5.『토우의 집』은 어디인가?
3부 슬픔의, 힘
1. 채광석의 시를 다시 읽다
2. 시 텍스트 소통지평, 그 본질에 대한 탐색
- 임영조 시인론
3. 일상성의 ‘안’과 ‘너머’를 넘나드는 사유의 풍경
- 문숙, 임현정, 박영민
발문(조동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