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시네마 에피파니

시네마 에피파니

(김응교 영화에세이 1991-2021)

김응교 (지은이)
새물결플러스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8,000원 -10% 0원
1,000원
17,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알라딘 직접배송 2개 10,600원 >
알라딘 판매자 배송 33개 2,7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시네마 에피파니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시네마 에피파니 (김응교 영화에세이 1991-2021)
· 분류 : 국내도서 > 에세이 > 한국에세이
· ISBN : 9791161292069
· 쪽수 : 390쪽
· 출판일 : 2021-06-25

책 소개

김응교 교수는 신학과 문학의 사유인 에피파니를 영화에 접목시킨다. 1991년부터 2021년까지 30년 동안 저자가 본 무수한 영화 중에 이 책에 담긴 30여 개의 작품은 시대를 뛰어넘는 질문과 메시지를 던진다.

목차

1부
죽여주는 캐릭터, 윤여정
<화녀>, <죽여주는 여자>, <미나리>
2020 <69세>
10초의 에피파니
2020 <아웃브레이크>, <컨테이전>, <월드워Z>, <킹덤>
팬데믹 영화에서, 오리엔탈리즘은 사라질까
2019 <기생충>과 카프카 소설
공간의 고현학과 카프카 소설
2019 <신문기자>
아베 ‘도금 민주주의’에 맞선다
1992 <시티 오브 조이>
만남의 기쁨과 어떤 시혜의식
1985 <보헤미안 랩소디>
마이 프렌드와 니체
1980 <택시운전사들>
다중의 단독자들
1976 <택시 드라이버>
마틴 스코세이지와 괄시받는 이의 분노
1970 <기독청년 전태일>
그 밀알 한 알

2부
국가 주도 국뽕 Vs 다중 주도 국뽕
1960 <싸이코>
히치콕 판타지
1954 <디엔 비엔 푸>
끈질긴 항전과 지루한 패배
1944 <바스터즈, 거친 녀석들>
명랑한 폭력과 장르 파괴
1942 <말모이>
조선말 큰사전과 조코잼 영화
194X년 <이방인>, <페스트>
부조리에 맞서는 카뮈의 저항
1940 <글루미 선데이>
우울한 부다페스트
1933 <암살>
속사포와 (애국)계몽 오락영화
1920 <연인>
지워지지 않는 원초적 사랑
1917 <1917>
우연과 현실의 연속

3부
1895 <명성황후>
문화콘텐츠, 영화와 뮤지컬
1877 <라스트 사무라이>
사라지는 사무라이
1815-1832 <레미제라블>
숭고의 데자뷰
1789 <마리 앙투아네트>
미완성의 혁명과 불행한 여성
1771 <괴테>
질풍노도와 젊은 베르터의 고뇌
1750 <미션>
두 사람의 표정, 그리고 엔니오 모리꼬네
1637 <사일런스>
시네마 에피파니
12세기 <햄릿>
애도의 심리학
1182-1226 <프란체스코>
평화의 도구로 써주소서
BC 551-479 <공자>
춘추전국시대와 시진핑 중화주의
BC 1010-971 <다윗 대왕>
다윗에 대한 네 가지 기억

고맙습니다

저자소개

김응교 (지은이)    정보 더보기
시인, 문학평론가. 시집 『부러진 나무에 귀를 대면』, 『씨앗/통조림』, 네 권의 윤동주 연구서 『처럼―시로 만나는 윤동주』, 『나무가 있다―윤동주 산문의 숲에서』, 『서른세 번의 만남―백석과 동주』, 『윤동주 문학지도―걸어가야겠다』 등을 썼다. 평론집 『김수영, 시로 쓴 자서전』, 『무라카미 하루키, 지금 더이에 있니』, 『백년 동안의 증언-간토대지진, 혐오와 국가폭력』, 『첫 문장은 마지막 문장이다』, 『시네마 에피파니』『좋은 언어로-신동엽 평전』, 『곁으로-문학의 공간』, 『그늘-문학과 숨은 신』, 『일본적 마음』, 『이찬과 한국근대문학』, 『박두진의 상상력 연구』, 『한국시와 사회적 상상력』, 일본에서 『韓國現代詩の魅惑』(東京:新幹社、2007) 등을 냈다. 일본 문학과 일본에 관한 책으로 『일본적 마음』, 『백년 동안의 증언―간토대지진, 혐오와 국가 폭력』, 『일본의 이단아―자이니치 디아스포라 문학』, 『韓國現代詩の魅惑』(東京: 新幹社, 2007) 등을 썼다. 다니카와 ㅤㅅㅠㄴ타로 시선집 『이십억 광년의 고독』, 양석일 장편 소설 『어둠의 아이들』, 『다시 오는 봄』, 오스기 사카에의 『오스기 사카에 자서전』 등을 우리말로 옮기고, 고은 시선집 『いま,君に詩が來たのか: 高銀詩選集』(東京: 藤原書店, 2007)를 사가와 아키와 함께 일본어로 옮겼다. 『동아일보』에 “동주의 길”, 『서울신문』에 “작가의 탄생”, 『중앙일보』에 “김응교의 가장자리”를 연재했다. 현재 숙명여자대학교 순헌칼리지 교수이고, 신동엽학회 학회장이다. 샤롯데출판문화대상 본상, 대산문화재단 외국문학 번역기금 등을 수상했다.
펼치기

책속에서

두 가지 이유로 이 영화를 피했다. 첫째는 남이 보는 영화는 안 보려 하는 엉뚱한 경향 때문이다. 둘째는 그 지겨운 계투, 계급투쟁(class struggle)을 어떻게 표현할지 생각만 해도 짜증 났다. 망치로 때리고 부수지 않을까. 그 이상한 습관, 짜증을 뚫고 영화를 봤다. 피식피식 웃으며 영화를 봤다. 영화가 끝나고 한참 멍했다. 그냥 놀랐다. 계급 문제를 저렇게 재밌게 표현하다니. 마르크스의 『자본론』은 얼마나 어렵고 근엄한가.…영화 <기생충>은 빈부격차와 욕망이라는 문제를 유머, 공포, 비극 세 가지 미학으로 정리해냈다. 세 가지 미학은 따로 떨어져 있지 않고, 서로 섞여 미묘한 충격을 만들어낸다.
_<기생충>에서


이 영화의 첫 노래는 “Somebody To Love”이고 마지막 노래는 “We are The Champion”이다. 마지막 라이브 에이드에서 모든 주변인은 하나가 된다. 난민의 후예였던 디아스포라 아버지와 가족도, 동성애자인 짐 허튼과 상처 받은 애인 메리도 함께 서서 공연을 응원한다. 메리와 허튼은 눈시울이 뜨거워지고, 프레디의 어머니는 숨을 가쁘게 쉰다. 이름을 알 수 없는 수많은 관중이 환호하며 공연에서 하나가 된다. 그들은 모두 노예가 되고 싶지 않고, 폭군이 되고 싶지 않은 지점에서 친구가 된다.
_<보헤미안 랩소디>에서


문득 “아빠가… 손님을 두고 왔어”라며 흐느끼던 택시운전사의 대사가 떠오른다. 나는 무엇을 두고, 무엇을 모른 척하고, 무엇을 외면하고 앞으로만 가고 있는가. “아빠가 손님을 두고 왔어, 아빠가 손님을 두고 왔어.” 막내와 걷는데 자꾸 발이 떨어지지 않는다. 눈물로 끝내면 안 된다. 이 사건을 일으킨 살육자들을 찾아내야 한다. 다시는 이런 비극이 일어나지 않도록 이름도 쓰기 싫은 전두환과 그 추동 세력의 행동에 대한 책임과 벌을 물어야 한다. 절대로 눈물로 얼버무려서는 안 될 일이다. 아들 앞에서 눈물 보이면 안 되는데, 아유 덥다, 눈시울에 괴인 땀인지 눈물인지를 훔쳐냈다. 아빠는 손님을 두고 오고 싶지 않았어, 아빠 손님들 태우고 싶었어. 세상을 구원하는 것은 오래 참은 눈물과 지엄(至嚴)한 기억이고, 오래 묵은 슬픔은 가끔 사랑으로 다가온다.
_<택시운전사들>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