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91161292670
· 쪽수 : 288쪽
· 출판일 : 2023-12-26
책 소개
목차
머리말 · 윤철호 10
폴킹혼과 맥그래스의 자연신학에 대한 소고
- 기포드 강연을 중심으로 · 박형국 13
Ⅰ. 서론 15
Ⅱ. 왜 자연신학을 다시 공론화해야 하는가? 17
Ⅲ. 18세기 과학적 자연신학에 대한 비판적 성찰 24
Ⅳ. 폴킹혼과 맥그래스가 제시하는 자연신학의 존재론적 의미에 대한 신학적 성찰 29
Ⅴ. 결론 39
기포드 강좌에서의 새로운 자연관이 신학에 미치는 함의 연구 - 바버, 미즐리, 브룩 & 칸토어를 중심으로 · 백충현 43
Ⅰ. 서론 45
Ⅱ. 기포드 강좌에서의 새로운 자연관 46
Ⅲ. 기포드 강좌에서의 새로운 자연관이 신학에 미치는 함의 52
Ⅳ. 결론 59
자연주의 문제 - 플랜팅가의 비판과 이에 대한 데닛의 반박 · 안윤기 65
Ⅰ. 서론 67
Ⅱ. 플랜팅가의 “자연주의를 반박하는 진화론적 논증” 71
1. 자연주의는 무신론이며 (유사) 종교다 72
2. 자연주의와 진화론은 양립 불가능하다 76
Ⅲ. 플랜팅가의 논증에 대한 데닛의 반론 84
1. 자연주의는 귀무가설로서 모든 법정이나 과학적 탐구에서 암묵적으로 전제된다 85
2. 진화의 산물이 진리이며, 우리는 그것을 신뢰할 수 있다 88
Ⅳ. 결론 95
기독교 자연신학에 대한 방법론적 고찰 · 윤철호 101
Ⅰ. 서론 103
Ⅱ. 구약성서의 창조신학 105
Ⅲ. 기독교 전통의 자연신학 109
Ⅳ. 기독교 자연신학 113
Ⅴ. 창조신학과 과학신학으로서의 기독교 자연신학 117
1. 창조신학으로서의 기독교 자연신학 117
2. 과학신학으로서의 기독교 자연신학 119
Ⅵ. 몰트만의 기독교 자연신학 121
Ⅶ. 포스트토대주의적 기독교 자연신학 126
Ⅷ. 결론 129
미래적 인간론 구성을 위한 현대 철학의 “탈-” 성격 성찰과 기독교 인간 이해의 모색
- 탈-주체 중심으로서의 타자 윤리학, 탈-남성 중심으로서의 에코페미니즘, 그리고 탈-인간 (중심)주의로서의 포스트휴머니즘 인간 이해와 관련하여 · 이관표 135
Ⅰ. 서론 137
Ⅱ. “탈”-주체 중심으로서의 타자 윤리학 139
Ⅲ. “탈”-남성 중심으로서의 에코페미니즘 144
Ⅳ. “탈”-인간 중심주의로서의 포스트휴먼 주체 148
Ⅴ. “탈-” 성격에 대한 비판과 뉴노멀 시대의 기독교 인간론 152
1. 현대 철학의 “탈-” 성격에 대한 평가와 비판 153
2. 뉴노멀 시대의 기독교 인간 이해 158
Ⅵ. 결론 162
자연과 대화하는 기독교 신앙
- 존 햅구드의 신학적 자연관 연구 · 이상은 167
Ⅰ. 서론 169
Ⅱ. “자연”을 바라보는 기독교 신앙의 자세를 향한 질문 171
1. 자연이라는 수수께끼, 해답을 향한 모색 171
2. 자연을 향한 햅구드의 질문: 목적론과 인과율에 입각한 자연의 이해는 적절한가 176
3. 객관적・합리적 탐구 방법은 자연을 연구하는 유일한 길인가 182
4. 자연의 관찰, 과학적 지식 추구의 한계는 무엇인가 189
5. 자연의 연구에서 추구해야 할 대상은 무엇인가 192
Ⅲ. 결론: 햅구드의 자연 관찰은 어떤 시사점을 주는가 198
종교의 기원에 관한 진화인류학과 신학의 학제 간 연구 가능성 모색
- 아구스틴 푸엔테스를 중심으로 · 정대경 203
Ⅰ. 서론 205
Ⅱ. 인류의 진화 208
1. 인류 “진화”의 메커니즘 208
2. 인류 진화의 개략적 연대기 210
Ⅲ. 인류의 진화 과정 안에서의 종교의 기원 217
1. 진화인류학에서의 종교와 그 기원의 의미 217
2. 종교의 기원에 관한 진화인류학적 설명 220
Ⅳ. 종교의 기원에 관한 진화인류학과 신학의 학제 간 연구 가능성 229
1. 자연 과정을 통해 종교가 출현했다는 진화인류학적 설명은 신학적으로 수용 가능한가?(진화인류학 → 신학) 229
2. 계시적 경험을 종교를 가능케 하는 근본 원인으로 상정하는 신학적 설명을 진화인류학은 수용할 수 있는가?(진화인류학 ← 신학) 234
Ⅴ. 결론 238
새라 코클리의 관상적 자연신학 연구 · 최유진 243
Ⅰ. 서론 245
Ⅱ. 협력 현상으로 진화를 들여다보기 247
1. 절대적 전제들을 확인해보기 247
2. 유전자가 아니라 전체 진화 과정을 고려하기 248
3. 초협력, 초정상 252
Ⅲ. 코클리의 관상적 자연신학 256
1. 진화의 목적과 방향성 256
2. 무로부터의 창조와 삼위일체 하나님 261
Ⅳ. 관상적인 “봄”과 은혜가 필요한 인식 주체 268
Ⅴ. 결론 273
필자 소개 280
편집자 소개 282
저자소개
책속에서
폴킹혼과 맥그래스는 페일리로 상징되는 18세기 영국의 자연신학이 지닌 문제들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디딤돌로 삼아 새로운 자연신학을 제안한다. 두 강연자는 기포드 강연뿐 아니라 여러 저술을 통해 기존의 자연신학의 문제를 반복적으로 논의하면서 근대 계몽주의 과제와 관심사에 대응해서 나온 18세기 자연신학 전통을 상세하게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근대 과학이 부상하는 맥락에서 등장한 이 자연신학 전통에서 설계 논증(argument from design)에 기초한 자연신학을 가장 인상적으로 제시한 사람은 페일리라고 할 수 있다. 맥그래스는 이 시기 자연신학의 영역에서 가장 두드러진 인물인 페일리의 논증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면서 그의 논증이 지닌 논리적 결함을 밝혀준다.
폴킹혼과 맥그래스의 자연신학에 대한 소고 중에서
신을 다루는 학문으로서의 신학은 하나님에 관한 학문이다. 더 근본적으로 보자면, 하나님은 자신을 계시하시는 분이시기에 그 자기계시 안에서 인간이 하나님을 알아갈 수 있다는 의미에서 신학은 하나님에 관한 학문이다. 그러나 신학이라고 해서 하나님만을 다루지는 않는다. 오히려 신학은 하나님을 다루기에 하나님이 만드신 세계 또는 자연을 다룰 수 있고 또한 다루어야 한다. 그러므로 신학은 하나님을 다루는 학문이면서 동시에 세계를 다루는 학문이며 또한 자연을 다루는 학문이다. 하나님과 세계 및 하나님과 자연은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고, 따라서 신학과 자연에 관한 연구 역시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
기포드 강좌에서의 새로운 자연관이 신학에 미치는 함의 연구 중에서
기독교 자연신학은 창조 신앙을 전제한다. 기독교의 창조 신앙은 무엇보다 구약성서의 창조 신앙, 즉 하나님의 자연 세계 및 인간 창조 이야기에 나타나는 창조 신앙에 기초한다. 구약성서의 창조 신앙은 그 자체로서 자연 세계로부터 창조자 하나님으로 나아가고자 하는 자연신학을 위한 토대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신약성서에 나타나는 구속 신앙의 관점에서 볼 때 구약성서의 창조 신앙은 완전한 것이 아니다. 예수 그리스
도와 성령을 통한 구원 경험을 표현하는 신약성서의 구속 신앙은 구약성서의 창조 신앙에 기초한 자연신학을 삼위일체론적으로 재구성할 수 있는 새로운 형이상학적 틀을 위한 성서적 근거를 제공한다.
기독교 자연신학에 대한 방법론적 고찰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