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임상심리학

임상심리학

(제9판)

조나단 S. 아브레모위츠, Mitchell J. Prinstein, Timothy J. Trull (지은이), 김주은, 김향숙, 박용천, 안정광, 장혜인, 정경미, 최기홍, 허지원 (옮긴이)
시그마프레스
3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9,000원 -0% 0원
1,170원
37,830원 >
39,000원 -0% 0원
0원
39,000원 >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임상심리학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임상심리학 (제9판)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심리학
· ISBN : 9791162265093
· 쪽수 : 552쪽
· 출판일 : 2025-08-20

책 소개

임상심리학의 과학과 실무를 소개하는 책이다. 임상적 관점에서 중점을 두고 전 생애 발달 접근을 반영하는 틀을 유지하면서도 사회적, 다문화적, 경제적 요인에 대한 연구 기반 관점을 대폭 확대했으며, 이러한 요인이 임상심리학 분야 전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다루고 있다.
최신-최첨단 연구 : 코로나19의 영향, 면허 법규와 원격(비대면) 진료, 평가 및 치료에서의 기술 활용, 성격 및 지능 검사에 대한 최신 업데이트, ‘이상’ 개념에 대한 새로운 관점, DSM에 대한 비판적 사고 등 임상심리학 전반의 최신 주요 주제와 시급한 연구 결과를 다룬다.

통합된 사례 자료 : 독자들은 이 책을 읽으며 두 명의 내담자가 (그들의 가족과 함께) 초기 임상 서비스, 근거 기반 평가, 진단, 사례 개념화를 거쳐 실증적 근거에 기반한 치료를 받는 과정을 따라가게 된다. 이들의 사례는 또 다른 다양한 예시들과 함께 제시되어 독자가 임상심리학자의 실제 업무와 내담자가 각 단계에서 경험하는 과정을 더 깊이 이해하도록 도와준다.

다문화 이슈에 대한 강화되고 통합된 논의 : 이번 개정판은 다문화적 관점에 대한 논의를 확장하고 있으며, 심리 검사에서의 편향, 임상 연구에서의 인종 및 민족 집단의 비대표성, 정신건강 치료 접근성의 격차, 차별과 편견, 그리고 코로나19 팬데믹이 소외된 집단에 미친 불균형적 영향을 포함한 주제들을 통합하고 있다.

학생의 참여를 유도하고 학습내용의 실천을 독려하는 새로운 교육 구성과 글쓰기

-임상심리학자처럼 생각하기 : 주요 주제에 대해 비판적 사고를 자극하는 질문을 수록했다.

-역사적 관점에서 : 중요한 연대기적 사건들을 소개하며, 각 분야와 연관된 현재의 상태를 고민해볼 수 있는 역사적 맥락을 제공한다.

-들여다보기 : 특정 핵심 주제에 대해 심도 깊게 다룬다.

-배운 내용 적용하기 : 독자가 해당 장의 학습 내용을 실제로 적용해볼 수 있는 연습문제를 담았다.

신규 주제 : 전문가 문제(2장 임상심리학자란 누구인가?), 윤리(3장 임상심리학과 윤리), 그리고 심리 평가의 과학(4장 심리 평가 : 과학과 실무), 심리치료의 과학(10장 심리치료 : 과학과 실무)에 대한 새로운 장이 추가되었다.

목차

제1부 임상심리학의 기초
제1장 맥락 속 임상심리학
제2장 임상심리학자란 누구인가?
제3장 임상심리학의윤리

제2부 임상 평가
제4장 심리 평가 : 과학과 실무
제5장 임상 면담
제6장 성격 평가
제7장 행동 평가
제8장 지능 평가

제3부 임상적 개입
제9장 진단, 사례 개념화 및 지료 계획의 수립
제10장 심리치료 : 과학과 실무
제11장 행동치료
제12장 인지행동치료
제13장 수용과 변증법적 치료
제14장 심리치료의 초기 접근 : 정신역동 및 내담자 중심 관점

제4부 임상심리학의 전문 영역
제16장 임상심리학과 건강
제17장 임상심리학과 법

저자소개

조나단 S. 아브레모위츠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전문심리학 이사회에서 발급한 자격증을 소지한 심리학자이다. 채플 힐에 위치 한 노스캐롤라이나 대학에서 심리학과 신경과학 교수 및 정신의학 연구 교수로 재직 중이며, 불안과 스트레스 질환 클리닉 이사를 맡고 있다. 아브레모위츠 박사는 불안장애 연구를 주도해왔으며 250편 이상의 논문과 여러 권의 책을 발표하였다. Journal of Obsessive-Compulsive and Related Disorders 의 편집자이며 다른 여러 과학 학술지의 편집위원회에서 활동하고 있다. 행동 및 인지치료 협회 회장을 역임했으며, 국제 OCD 재단의 과학 및 임상자문위원회에서 활동하고 있다. 수상 경력으로는 메이오클리닉의 정신의학 및 심리학과로부터 연구 공헌 우수 교수상, 미국 심리학회 12분과로부터 임상 심리학에서의 저명한 과학 공헌에 대해 데이비드 샤코 신진연구자상을 수상하였다.
펼치기
Timothy J. Trull (지은이)    정보 더보기
2008년 현재 미주리-콜롬비아 대학교(University of Missouri- Columbia)의 교수로 이상심리학과 심리측정 등의 임상심리학 과목들을 가르치며, 대학원생들의 연구, 평가, 임상실습을 감독한다. 켄터키대학에서 임상심리학전공으로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적응적ㆍ비적응적 성격 특질을 평가하는 Structured Interview for the Five-Factor Model of Personality(SIFFM)의 공저자이고 Psycho- logical Assessment의 부편집장이다.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Psychological Assessment, Journal of Personality Disorders에 수많은 논문을 출판하였다. 2008년 현재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National Institute on Alcohol Abuse and Alcoholism,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Research Foundation 등에서 연구비를 지원받아서, 경계선 성격장애의 원인 모델들을 평가하는 연구와 성격장애와 물질사용장애 간의 관계를 탐색하는 연구 및 유전과 환경이 성격과 정신병리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연구를 수행한다. 대학에서의 업무 이외에도 Midwest Alcoholism Research Center(MARC)의 교수를 겸임하며, 자신의 클리닉에서 환자를 진료한다. 2002년도에 켄터키대학교가 수여하는 Outstanding Alumnus상을 수상했고, 1993년에는 Robert S. Daniels Junior Faculty Teaching Award, 1992∼1993년에는 Psi Chi Professor of the Year를 받았다.
펼치기
허지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심리학과 학사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심리학과 임상 및 상담심리 전공 문학석사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뇌인지과학과 이학박사 현재: 고려대학교 심리학부 부교수 저서 및 논문: 『인지행동치료 입문하기』(공저), 『초저출산은 왜 생겼을까?』(공저), 「Altered structural covariance networks in nonsuicidal self-injury: Implications for socio-affective dysfunctions」(공저), 「The double-edged sword of distress tolerance: Exploring the role of distress overtolerance in nonsuicidal self-injury」(공저), 「Acute Alcohol Use and Suicide」(공저) 등
펼치기
박용천 (옮긴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심리학과 박사수료 일산백병원 임상감정인지기능연구소 연구원 현) 고려대학교 KU마음건강연구소 연구원
펼치기
최기홍 (옮긴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심리학부 교수, 고려대학교 KU마음건강연구소 소장, 한국심리학회 부회장 고려대학교 심리학과 학사 및 석사 미국 네브래스카 주립대학교 임상심리학 박사 미국 로체스터 대학병원 정신과 임상심리 인턴쉽 미국 웨슬리안 대학교 풀브라이트 방문교수 (전) 미국 컬럼비아 대학병원 마리-캐슬 펠로우 (전) 미국 예일 대학병원 연구과학자 임상심리전문가, 미국공인심리학자(코네티컷주)
펼치기
안정광 (옮긴이)    정보 더보기
사회불안장애와 인지행동치료, 부모 교육을 연구하고 있는 심리학과 교수. 임상심리학자. 까탈스러운 한 아이의 아빠. 소아청소년 정신건강의학과에서 수련을 받은 임상심리전문가인 만큼 아이는 잘 키울 수 있을 것이라 자신했는데, 그것이 터무니없는 오만이었다는 것을 깨닫는 데는 채 100일도 걸리지 않았다. 겨우 세 살 먹은 아이와 다투고 죄책감에 사로잡히고, 또 버럭 화내고 후회하기를 반복하던 어느 날, 알고 있는 인지행동치료 기법을 총동원하여 나부터 변화하기로 마음먹었다. 지금 이 순간도 예상을 빗나가는 아이의 행동과 강한 감정 표현에 당황하며 분투하고 있을 육아 동지들에게 심리학자의 처지도 크게 다르지 않다는 위로를 전하고 싶어서 책을 쓰기 시작했다. 지난 몇 년간 주 양육자 아내와 함께 체험한 시행착오와 육아법을 솔직하게 담았다. 어느덧 다섯 살이 된 까탈쟁이 아이에게 ‘아빠가 너를 사랑한다’는 증거를 이렇게 남긴다. 고려대학교 인문학부에 입학하여 사회학과로 진학했다. 정신병리와 심리치료에 흥미를 느껴 전공보다 심리학을 더 열심히 공부하다 같은 대학교 심리학과에서 임상 및 상담 심리학을 전공, 석사·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서울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에서 임상심리전문가 수련을 받았으며, 고려대학교 사회불안장애 상담센터, KU 마음건강연구소에서 인지행동치료를 해왔다. 현재 충북대학교 심리학과 교수이자 충북대학교 심리건강센터장으로 재직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잠 못 드는 당신을 위한 밤의 심리학>(공저) 등이 있으며, 옮긴 책으로는 >정서도식치료 매뉴얼: 심리치료에서의 정서조절>(공역) 등이 있다.
펼치기
김주은 (엮은이)    정보 더보기
충남대학교 심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심리성장과 자기조절센터 부센터장을 맡고 있다. 미국 뉴욕주 콜롬비아 대학에서 임상심리학 석사를, 시라큐스 대학에서 임상심리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펼치기
장혜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 심리학과 부교수
펼치기
김향숙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