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시론
· ISBN : 9791162446362
· 쪽수 : 304쪽
· 출판일 : 2021-02-22
책 소개
목차
제1부 식민지 현대시의 내면의식과 근대성
제1장 식민지라는 시대적 배경과 근대성의 자장
1. 근대성의 명암과 문학적 현실
2. 1930년대 모더니즘 시의 특징과 시대적 과제
제2장 오장환의 초기 시에 드러나는 근대성과 내면의식
1. 근대 문명에 대한 시선과 반성적 지성
2. 주체의 분열과 이중적 욕망의 의미
3. 이방인의 공간과 현실이라는 환멸
제3장 백석 시의 근대적 장소와 주체 시선
1. 공동체적 장소와 근대 주체 시선의 확장
2. 고립된 장소와 자기 응시로서의 근대성
3. 역사적 장소와 회고적 시선으로서의 기억
제2부 현대시의 미적 부정성과 문학적 전망
제1장 새로운 현실의 탐색과 미적 부정성에 대한 인식
1. 1960년대라는 시대적 배경과 문단의 현실
2. 시의 언술 주체와 미적 부정성에 대한 몇 가지 관점
제2장 김수영 시의 수행적 언술 주체과 침묵적 ‘전위’
1. 능동적 발화와 정치적 환멸의 개입
2. 현재의 성찰과 자기 과오의 폭로
3. 병렬적 반복의 확장성과 실험적 언어유희
4. ‘불온’적 주체와 무언(無言)으로서의 전위미
제3장 김종삼 시의 관찰적 언술 주체와 비극적 ‘숭고’
1. 수동적 발화와 윤리적 연민의 응시
2. 과거의 애도적 재현과 죽음에 대한 공포적 시선
3. 대조적 반복의 강조성과 비극적 쾌의 파토스
4. ‘소외’적 주체와 절대 세계로의 숭고미
제4장 전봉건 시의 환상적 언술 주체와 전복적 ‘그로테스크’
1. 분열적 발화와 비인간적 욕망의 해체
2. 미래의 불안한 유예와 부조리에 대한 저항적 시선
3. 점층적 반복의 긴장성과 억압에 의한 데포르마시옹
4. ‘유폐’적 주체와 전도적 매혹으로서의 관능미
제5장 1960년대 시의 미적 부정성의 특성과 문학사적 의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