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커리큘럼
· ISBN : 9791163460565
· 쪽수 : 260쪽
· 출판일 : 2019-10-18
책 소개
목차
고마움의 말
추천의 글
저자의 글
Part 1. 메이커 교육과 수업이 만나다
1. 학생 주도 메이커 교육이란?
2. 교육의 3요소로 살펴본 메이커 교육
3. 2015 개정교육과정과 메이커 교육
Part 2. 종이, 메이커 교육을 만나다
1. 정조의 꿈: 페이퍼크래프트를 활용한 수원 화성 만들기
2. 우리나라의 상징: 우리나라를 상징하는 호랑이 만들기
3. 한국의 위인들: 슈링클스를 활용한 역사 인물 만들기
4. 손이 불편한 사람을 도와줘요: 메커니컬 핸즈 만들기
5. 반짝반짝 빛나요: LED를 활용한 작품 만들기
Part 3. 건축, 메이커 교육을 만나다
1. 삼각형의 비밀: 트러스 구조를 활용한 탑 만들기
2. 얼마를 버틸까?: 탑을 활용해 킬로그램, 톤에 대해 알아보기
3. 뚝딱뚝딱 학교를 만들어요: 내가 다니고 싶은 학교 만들기
4. 고려, 다시 태어나다: 지점토와 빨대로 문화재 만들기
5. 뚝딱뚝딱 집을 만들어요: 직육면체 모양의 집 만들기
Part 4. 사물, 메이커 교육을 만나다
1. 성을 무너뜨려라: 캐터펄트 만들기
2. 오프로드의 최강자: 웜기어를 활용한 자동차 만들기
3. 무거운 물체도 문제없어요: 유압 시스템을 활용한 중장비 만들기
4. 6·25를 기억해요: 6·25 전쟁 영웅 배지 만들기
5. 함께 살아가요: 간이 습지 만들기
Part 5. 프로젝트 수업, 메이커 교육을 만나다
1. 내가 살고 싶은 나라 만들기
2. 세계여행 Go, 욜로 Go
3. 안전사고는 이제 그만!
4. 선생님, 가르쳐 주셔서 감사합니다!
5. 역사는 유물을 싣고~
6. 더불어 사는 세상 만들기
Part 6. 소프트웨어, 메이커 교육을 만나다
1. 오조봇을 활용해 관용 표현 알아보기
2. 햄스터, 코코넛, 큐브로이드 로봇을 활용한 노래 만들기
3. 드론으로 촬영한 학교 모습 그리기
4. 스크래치 프로그램을 활용해 아름다운 우리 국토 소개하기
5. 내가 등장하는 홀로그램 만들기
6. 3D프린터를 활용해 우리 반 아이들 얼굴 만들기
Part 7. 교실 환경, 메이커 교육을 만나다
1. 화상 연결을 통한 전문가 협력 수업
2. QR코드로 살펴보는 조선의 왕 이야기
3. 수업 과정을 기록해요: 활동 사진과 화살표를 사용한 환경판 만들기
4. 포트폴리오로 만드는 교실 환경
5. 책, 캔버스, 상자를 활용해 만드는 교실 환경
참고문헌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아이들이 하는 모든 활동은 의미가 있어야 그 가치가 살아납니다. 교사가 수업 계획 단계에서부터 의미를 찾지 못하면 활동에 참여하는 아이들 역시 의미를 알지 못한 채 활동에 참여하게 됩니다.
한 가지를 전달하더라도 그 안에 내재된 의미와 가치를 찾으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의미 있는 수업, 가치 있는 활동이 선생님들의 교실에서 이루어지길 바랍니다. _ ‘상현달 선생님의 Think, Talk!’ 중에서
오늘 우리 반 아이들은 주사기와 유압 시스템을 활용한 중장비 만들기에 실패했습니다. 그러나 만드는 과정에서 눈에 보이지 않는 것들을 배우고 느꼈습니다. 이런 수업들이 모여 가르치는 교사도, 배우는 학생들도 함께 성장할 것입니다.
실패한 수업은 없습니다. 배움이 일어나지 않는다고 미리 단정해 버리는 잘못된 생각만 있을 뿐입니다. _ ‘상현달 선생님의 Think, Talk!’ 중에서
많은 사람들이 “교사는 있지만 스승은 없다.”고 합니다. 하지만 내가 만난 많은 선생님들은 스승이셨습니다.
수학여행비를 낼 돈이 없어 전전긍긍하고 있을 때 조용히 수학여행비를 대신 내주신 6학년 선생님. 선생님은 그 이후로 수학여행비에 대해 한마디도 하지 않으셨습니다.
부모님이 모두 하늘에 계시기에 아침밥을 거르는 날이 태반이었던 내게 우유와 빵이라도 매점에서 사 먹고 오라며 이천 원을 손에 쥐어 주시던 고등학교 1학년 선생님. 세상을 원망하며 삶을 포기하고 싶었을 때 바른길로 갈 수 있도록 격려와 지지를 아끼지 않았던 고등학교 2학년 선생님. 가난한 형편에도 대학교 납부금을 낼 수 있는 곳, 졸업하면 스스로 돈을 벌어 생계를 유지할 수 있는 곳, 교육대학교라는 곳이 있는지도 몰랐던 나를 위해 부모님처럼 진로를 함께 고민해 주신 고등학교 3학년 선생님.
내게는 이런 스승들이 계십니다. 그렇기에 지금의 내가 있습니다. 아직도 많은 곳에서는 아이들을 바라보며 최선을 다하는 많은 스승들이 있습니다. 이런 선생님들이 더욱 대우받고 존경받는 사회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_ ‘상현달 선생님의 Think, Talk!’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