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기초과학/교양과학
· ISBN : 9791163639558
· 쪽수 : 270쪽
· 출판일 : 2025-06-20
책 소개
목차
추천의 글: 연결과 단절, 중심과 가장자리, 신뢰와 경계 사이를 살아가는 존재들의 사회적 서사_이정모
들어가는 말: 동물의 사회적 네트워크를 탐험하는 짜릿한 여행
제1장 네트워크로 연결된 동물
카요 산티아고의 붉은털원숭이: 사회적 네트워크와 생존의 비밀
긴꼬리마나킨의 사회적 유대와 짝짓기 전략
열대우림의 작은 춤꾼들: 마나킨의 사회성과 생존 전략
폭풍 후의 연대: 사회적 네트워크의 재구성
제2장 끈끈한 유대 관계
사회적 네트워크의 진화: 동물 행동학과 네트워크 분석의 융합
앵무새 네트워크의 비밀을 푸는 시민 과학
평등주의 네트워크가 바위너구리 수명에 미치는 영향
만타가오리의 숨겨진 사회: 바닷속 네트워크와 매개 중심성의 비밀
버빗원숭이들의 사회적 네트워크: 권력, 놀이, 그루밍의 상관관계
제3장 먹이 네트워크
바닷속 작은 세계: 신호를 보내는 돌고래들
흡혈박쥐의 은밀한 네트워크
약탈자 코끼리의 사회적 연결 고리
먹이통을 찾아서: 검은머리박새의 생존 전략
바다에서 맺은 네트워크: 인간과 돌고래의 협업
제4장 번식 네트워크
기린의 사회적 연대: 보육 네트워크
자연 선택을 넘어서: 멕시코양지니의 사회적 유연성
먹이 사냥과 권력 다툼: 캥거루 사회의 이면
제5장 권력 네트워크
푸케코의 권력 게임: 공동 산란과 사회적 네트워크
초원에서 벌어지는 은밀한 경쟁: 귀뚜라미들의 권력 다툼
영리한 염소들의 생존 법칙
바바리마카크와 권력 네트워크: 혹한에서 찾은 생존의 열쇠
제6장 안전 네트워크
생쥐가 재난에 대처하는 법
마못의 겨울잠을 깨운 생존의 비밀
마사이 마라에 울린 경고음
생쥐의 뇌에서 발견한 놀라운 연결 고리
제7장 이동 네트워크
하늘 위의 리더십: 비둘기의 집단 지성
야생 원숭이의 계곡, 팬이 될 것인가 리더가 될 것인가
이별도 전략이다? 원숭이들이 무리를 나누는 방식
날갯짓 하나로 운명을 결정 짓다
제8장 의사소통 네트워크
몸짓의 언어, 침팬지 제스처를 해독하다
춤추는 꿀벌, 손짓하는 침팬지
꿀벌들의 비밀 네트워크
은눈동박새의 노래와 사회적 네트워크
제9장 문화 네트워크
문화 전달자 일본원숭이와 까마귀의 정보 전달법
병코돌고래의 도구 사용과 문화적 전파
꼬리 내려치기 사냥: 고래들의 문화 전파 이야기
박새들의 문화 혁신: 사회적 네트워크에서 배우고 전파하기
진화하는 네트워크: 침팬지의 도구 사용과 문화의 전파
제10장 건강 네트워크
미생물의 여행: 개코원숭이의 마이크로바이옴
여우원숭이의 그루밍 네트워크와 마이크로바이옴의 끈끈한 관계
배변 네트워크를 통한 오소리와 소의 간접적 상호작용
위기의 태즈메이니아데빌, 동물 사회 네트워크와 전염성 암의 확산
나가는 말: 복잡하게 연결된 세계, 동물의 사회적 네트워크와 그 진화를 목도하다
감사의 말
미주
찾아보기
리뷰
책속에서
허리케인 마리아가 휩쓸고 지나간 지 약 석 달이 지난 후에야 충격은 어느 정도 가라앉았다. 브렌트는 대니 필립스와 섬으로 돌아온 다른 현장 보조원들로부터 여러 가지 이야기를 들었고, 붉은털원숭이들의 사회적 네트워크에 대해 다시 진지하게 생각하기 시작했다. 그들이 들려준 이야기의 핵심은 “원숭이들이 이상하게 행동하고 있다”는 것이었다. 브렌트가 어떻게 이상하냐고 묻자, 현장 사람들은 하나같이 원숭이들이 예전보다 서로를 더 친근하게 대하는 것 같다고 입을 모았다.
페리먼은 확실하진 않지만 어린 가오리가 성체보다 이동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미용실’이나 ‘산호초 레스토랑’에 한 번 머무르면 쉽게 떠나지 않고, 허브 역할을 할 가능성이 높다고 추측했다. 반대로 연구 기간 중 한 번이라도 임신 경험이 있는 암컷은 매개 중심성 점수가 가장 낮았다. 페리먼은 말했다. “임신한 암컷은 소수의 다른 암컷과 어울리는 것을 선호하고, 수컷을 피하려고 하는 것 같았습니다. 수컷은 임신한 암컷을 따라다니며 암컷이 알을 낳고 다시 파트너로서 역할을 할 수 있을 때까지 괴롭히기 때문이죠.”
흡혈박쥐는 2가지 방법으로 혈액을 얻는다. 하나는 몰래 날아가 무방비 상태의 소에 달라붙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다른 박쥐에게 혈액을 토해 달라고 요청하는 것이다. 신기하게도 가끔 그런 요청이 받아들여진다. 그리고 좋은 혈액을 얻기 위해 다른 박쥐에게 구걸하는 듯한 이런 방식에는 상호 이타주의 형태의 협력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