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91164846030
· 쪽수 : 384쪽
· 출판일 : 2023-09-07
목차
들어가며. 도시를 야생으로 돌려놓자
1장. 도시의 경계
2장. 공원과 레크리에이션
3장. 콘크리트 균열
4장. 캐노피
5장. 생명력
6장. 수확
7장. 주트로폴리스
에필로그. 마지막
미주.
감사의 말.
리뷰
책속에서
오웬은 1958년에 옥스퍼드 대학을 졸업하고 미시간 대학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한 뒤 우간다와 시에라리온에서 교수직을 역임했다. 그녀는 시에라리온에 살 때 근처 숲보다 자기 집 정원에 야생 생물이 더 많다는 걸 알아차렸다. 1971년에 영국 레스터 대학으로 돌아온 오웬은 고작 741제곱미터 크기의 교외 정원에 대한 30년간의 연구를 시작했다. 오웬은 그 기간 동안 474종의 식물, 1,997종의 곤충, 138종의 무척추동물, 64종의 척추동물 등 총 2,673종의 생물을 관찰해서 기록했다.
… 오웬의 정원은 다양한 생물이 사는 서식지로 의도적으로 관리한 게 아니라 그냥 평범한 뒷마당이었다. 하지만 영국에 서식하는 모든 종 가운데 약 9퍼센트가 거기에서 발견되었다. 다른 도시의 정원을 조사한 추가적인 과학적 연구의 결과도 제니퍼 오웬이 발견한 것과 같았다. 도시의 정원에는 반(半)야생 상태인 시골 서식지보다 같은 면적에서 더 많은 생물종이 산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그건 ‘생물학적 사막’과 반대되는 모습이며, 그런 명칭은 오히려 시골에서 단일한 식물종을 재배하는 수많은 농경지에 더 어울린다. 그에 비하면 도시 교외 지역은 생기가 도는 땅이라고 할 만하다.
- 「1장 도시의 경계」 중에서
정원은 다른 용도로도 사용된다. 그중 하나는 지워지지 않는 정복과 복속의 도장이다. 풍경 전체를 재배치하는 것보다 더 큰 권력을 보여줄 수 있는 게 뭐가 있겠는가? 정원은 또 도시를 더 쾌적하게 만든다. 무굴의 엘리트 집단은 아그라의 먼지와 뜨거운 기후를 별로 좋아하지 않아서 전리품을 가지고 떠나고 싶어 했다. 바부르는 이런 아그라를 카불을 연상시키는 정원 도시로 탈바꿈시켰다.
… 샤 자한의 낙원이 완성되자 라호르의 모습이 바뀌었고, 귀족들은 자기만의 낙원 같은 정원을 만들려고 서로 경쟁을 벌였다. 라호르에서는 도시와 시골, 인간과 자연을 하나의 통일된 전체로 융합하기 위해 의식적으로 조경을 사용했다. 인공적인 것과 자연적인 것을 조화시키려는 열망 때문에 페르시아에서부터 벵골만까지 정원 도시들이 연달아서 생겨났는데, 이는 스페인 정복 이전에 메소아메리카에 존재했던 광활한 도시 국가들과 많은 면에서 비슷하다.
… 뉴욕의 센트럴 파크를 방문하는 사람들은 그것이 무자비한 인간의 도시 풍경 속에 보존된 맨해튼의 원시적인 풍경의 잔해, 현대 사회의 철의 논리 안에 남겨진 자연의 존재라고 생각할지 모른다. 하지만 실은 샤 자한의 샬리마르 정원이나 오늘날의 프레시 킬스 공원처럼 공학적이고 인공적인 주변 환경이 그대로 반영된 것이다.
-「2장 공원과 레크리에이션」 중에서
도시가 광범위하게 파괴되자 식물학자들은 도시 환경 속에서 자연이 어떻게 작용하는지 조사할 수 있었다. 특히 눈에 보기 좋은 관상용 식물에 밀려 공원이나 도시의 양식이 갖춰진 부분에서 항상 제거되었던 자생 식물이 어떻게 성장하는지 조사할 수 있는 귀한 기회를 얻었다. 결국 전쟁 피해로 인해 도시 생태계가 출현하는 것으로 이어졌고 우리가 도시를 이해하는 방법을 근본적으로 변화시켰다.
… 생태계의 교란은 생물 다양성에 도움이 된다. 자연 재해나 인재가 발생한 뒤 몇 년이 지나면 식물과 곤충들이 척박한 땅과 돌무더기를 차지하기 위해 서로 경쟁하면서 종 수가 빠르게 증가한다. 그리고 그 후 수십 년에 걸쳐 생태 천이(遷移)가 발생한다. 키가 크고 가지가 우거진 몇몇 종이 그 지역을 지배하면서 작은 식물들을 몰아내면 생물 다양성이 감소한다. 폭격을 받은 지역이나 건설 중인 부지에 야생 생물이 놀랍도록 풍부한 것도 그런 이유 때문이다. 변화가 진행 중인 도시 경관, 일시적으로 파헤쳐서 구멍이 생긴 황무지, 오염되고 버려진 산업 부지(브라운필드) 등에도 유달리 다양한 생물이 서식한다.
- 「3장 콘크리트 균열」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