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와룡산, 블루 수채화

와룡산, 블루 수채화

배채진 (지은이)
북랩
14,8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3,320원 -10% 2,500원
740원
15,08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2개 11,5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0,400원 -10% 520원 8,840원 >

책 이미지

와룡산, 블루 수채화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와룡산, 블루 수채화 
· 분류 : 국내도서 > 에세이 > 한국에세이
· ISBN : 9791165398804
· 쪽수 : 364쪽
· 출판일 : 2021-07-19

책 소개

배채진의 길뫼철학 길뫼 철학 5권. 가까운 곳을 먼 곳처럼 떠난 여정 위에서 만난 사람들의 눈빛과 음성, 이야기를 담고 다른 한편으로는 푸나무와 바위, 반려견 등 길뫼재의 풍경과 주변을 노래한다.

목차

책머리에

하나, 멀리 가듯 나섰지만

멀리 가듯 나섰지만, 죽성 포구 두모포
거울과 겨울, 양주 어둔리 저수지
파랑새 나무, 월출산 무위사
삼포 길 착각, 고창 곰소만 상포만
깜짝 눈 두어 번, 고창 선운사
철쭉이 지나간 자리, 기장 철마산
산죽 같은 삶, 무주 덕유산 향적봉
어느 섬이라도 그렇듯, 홍도와 흑산도
등대의 그늘과 빙빙 국수, 가고시마 당선협
당항포 희망, 고성 당항만
봉분과 시간, 거창 삼봉산 내당마을
떠나면서 돌아보니 멀고 먼 고향, 사천 철봉골 화전마을

둘, 배낭을 벗으니

어, 누구?
호텔 방 확대경
우리들의 30년
사진 속의 그 사진 밖의 나
감꽃 사이 연기
박상꽃 와이셔츠
배낭을 벗으니
어제 먹은 점심
공터 아주까리
까마중 먹땡깔
빈 들

셋, 와룡산 수채화

달리아 그거 내겐 따리아
외또리 양철집
황토 마당 포구 총
타작마당 기양 감나무
토끼풀과 아일랜드
지게 자리 그곳, 이제는 아련한 영마루
와룡산, 블루 수채화
금오산, 동경 담채화
지리산 천왕봉, 성장 백색화
두량 못 삘기
그 섬 신수도

넷, 두 개의 바위틈

무슨 말을 해야 하나, 무슨 말을 할 수 있나
오랜만에 참 오랜만에
우산
두 개의 바위틈
책, 읽기와 읽지 않기
한 사실 두 해석
한국인이라면 그 집 정원에
요롱과 워낭
유행과 미련
시장과 철학
조율 한

다섯, 바위와 새집

작업화, 긴 세월을 내 발과 함께 한
내려친 벼락
감자
모자
출문과 입문
다시 본 고무망치
녹음 놀이와 인생
바위와 새집
공상과 실행
물망초
반전

여섯, 광포만 쪽빛 언덕

광포만 쪽빛 언덕
영복 마을 그 내력이 무엇이길래
파도 바람 구름 철길 친구
금암요 회상
와룡산 하늘 포구
경매장 여기저기
냄새 없는 세상
존재의 가루
버리는 곳 꽃섬
내가 노는 바다

일곱, 다시 올 봄의 화사한 첫차

간장독 하늘
비오델 이게 뭐람
그때 봉숭아 물 손톱
타인의 북 나의 북
오요요 강아지풀
격자창 가을 사랑
옛 집터 찔레
로켓 라디오
그렇게 살아가고 그렇게 후회하고
다시 올 봄의 화사한 첫차

책꼬리에

저자소개

배채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부산가톨릭대학교 명예교수이다. 경남 진주시 장재실에서 태어나 사천시 축동면에서 성장하였다. 서울 가톨릭대학교, 부산대학교, 계명대학교 교문을 거쳐 Ph.D를 얻었다. 학생처장, 교무처장, 입학홍보처장, 인성교양부장, 인문학연구소장을 역임하였으며, 희망대학장, 인문고전대학장, 교수회 회장, 천주교 부산교구 가톨릭 교수회 회장 등으로 봉사했다. 지금은 경남 하동군 악양면 동매리 마을 뒤 지리산 끝자락 길뫼재에서 산거경독山居耕讀 중이다. 『계간 수필』에서 2002년에 수필인 이름을 얻었으며, 계수회, 수필문우회, 한국가톨릭문인회 회원이다. 여러 저서를 집필하였으며 배채진의 길뫼철학 시리즈로 『길 위의 사색』, 『다시 또 봄』, 『언제나 강 저편』, 『푸른 빛의 항케지』를 출간하였다.
펼치기

책속에서

거울과 겨울은 이름이 비슷하다. 이름만 비슷한 게 아니라 닮은 데도 있다. 거울을 통해서 겨울을 볼 수 있고 겨울은 또 계절의 참모습을 보여주는 거울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걷고 있는 커브 길 모퉁이의 도로 반사경이라는 볼록 거울 속에는 겨울이 자리하고 있었다. 거울 속의 길로 겨울이 오고 있었다. 11월 초순인데도 거울 뒤의 논에는 살포시 언 얼음이 깔려 있었다.
여름의 숲은 자기 속을 감춘다. 그러다가 늦가을부터 숲은 자기 속을 드러내기 시작한다. 외진 산자락의 감나무에 떨어질 듯 매달려 있는 감들은 눈을 맞다가 그냥 떨어지기도 하고 까치나 청설모의 밥이 되기도 한다. 계절은 꽃을 피우고 열매를 맺게 하고 거둬들인 후 겨울이면 이 모든 것을 다 놓아 버린다.
겨울은 또한 ‘나’를 되돌아보게 하는 거울이 되기도 한다. 쫓기듯 허둥지둥 사는 건 이른바 ‘존재적 삶’이 아닌 ‘소유적 삶’이라는 걸 겨울은 잎들을 다 떨구고 서 있는 나목들을 반면교사로 내게 보여 준다. 겨울은 내게 말한다. 바쁘다는 말을 입에 달고 살지 말라고, 이제 좀 그만 움직이고 안으로 향하라고, 안으로의 여행을 시작하라고, 다른 것을 지키는 것도 지키는 거지만 마음을 지키는 일이 제일 큰 것을 지키는 것이라고 말이다

_ 거울과 겨울, 양주 어둔리 저수지


“저게 뭐더라? 저거 이름이 뭐더라?” 저것들의 이름이 무엇이든지 간에 우리는 자랄 때 저것을 ‘쌀밥’ 또는 ‘소 쌀밥’이라 불렀다. 소 쌀밥 저것의 정확한 이름이 쇠뜨기인 것을 확인한 것은 집에 돌아와서였다. 고상(高上)으로 담은 밥그룻 형상의 붕분을 먼 발치에서 둘러싸고 있는 쌀밥 쇠뜨기들….
밥그릇, 모든 밥에는 임자가 있다. 무덤에는, 말하자면 모든 죽음에는 또한 확실히 임자가 있다. 죽음은 나의 죽음이고 너의 죽음이지 우리의 죽음은 아니다는 뜻이다. 죽음의 자리는 누구로부터도 침범당할 수 없는 나의 자리이고 너의 자리이며 그래서 확실한 자리이다.
두충나무 숲에는 밥을 먹어야 가는 시간이 있었고 고봉으로 담은 쌀밥 그릇의 무덤 밭 둘레에는 쌀밥이라고 불렀던 쇠뜨기가 무성히 자라고 있었다.

_ 봉분과 시간, 거창 삼봉산 내당마을


그때 우리 집 한구석 꽃밭엔 키다리 물국화가 많았다. 그 옆엔 따리아 그리고 가을 국화와 다른 꽃들이 자리하고 있었다. 마당 앞에 꽃밭이, 정원이 아니라 꽃밭이 따로 만들어져 있었다. 누구의 노력으로 그 꽃밭이 만들어졌는지 기억에 없다. 아버지? 어머니? 형들? 누나? 기억이 나지 않는다. 나나 동생들은 물론 아니다. 아니면 진주에서 시골 그 외진 집으로 이사 내려왔을 때 처음부터 만들어져 있었다? 돌볼 손이 없었으니 그 속의 화초들이 자기들 나냥대로 즉 마음대로 이리저리 서 있었지만, 화초의 가지 수는 많았다. 봄부터 무서리 늦가을까지 내내 꽃들이 있었다. 그중에 키다리 물국화와 따리아, 하나는 촌스러운 분위기고 다른 하나는 도회지다운 분위기여서 이질적이었지만 이 둘은 같이 붙어 있었다. 당국화라 부르는 과꽃과 맨드라미 그리고 나팔꽃도 또 무성했고.

_ 달리아 그거 내겐 따리아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653988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