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복지
· ISBN : 9791166290763
· 쪽수 : 176쪽
· 출판일 : 2021-12-31
책 소개
목차
서문: 보훈, 우리 모두의 것이기 위하여
보훈의료와 디지털 헬스 동향_ 정태영
1. 여는 글
2. 디지털 헬스 알아보기
3. 보훈의료와 디지털헬스의 적용
4. 나오며
보훈대상자의 <건강권> 실현을 위한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필요성_ 박명배
1. 들어가는 글
2. 보훈대상자에 대한 의료 현황
3. 미국의 보훈대상자 건강증진 프로그램
4. 나오는 글
보훈대상자를 위한 보건-복지-의료 통합지원체계의 구축_ 신은규
1. 들어가는 글
2. 고령자에게 필요한 의료 및 복지 서비스
3. 지역사회 통합의료복지 서비스 제안 모델
4. 나가며
보훈의료 체계와 책임의료조직_ 서경화
1. 들어가며
2. 보훈의료 체계 현황과 문제점
3. 책임의료조직의 개념과 특징
4. 보훈의료 체계에 책임의료조직의 적용 가능성
5. 결론 및 시사점
공공의료와 보훈의료_ 한진옥
1. 들어가는 글
2. 국가적 차원의 공공의료 강화 움직임
3. 보훈의료의 특성
4. 공공의료 안의 보훈의료
5. 나오는 글: 보훈의료에서 공공의료로
책속에서
세계 각국에서도 의료 인력 및 자원 부족,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국민의료비의 부담을 해결하는 열쇠로 디지털 헬스가 꼽히고 있는 상황이다. 보훈의료 영역은 보훈대상자의 고령화와 질병의 만성화에 따른 의료비 증가로 비용-효과적인 의료체계 구축과 의료 서비스의 질적 효율성 증가가 중요한 시점이다. 신용카드가 처음 세상에 등장했을 때 지폐 이용자들의 반발, 애플(Apple) 사에서 스마트폰이 출시되었을 때의 기존 핸드폰 이용자의 거부감과 같은 성장통은 시대적 전환기마다 늘 있어 왔다. 디지털 전환은 거스를 수 없는 4차 산업의 거대한 메가트렌드(Mega-trend)라고 할 수 있다. 명과 암이 공존하는 만큼 디지털 헬스를 현명하게 도입하고 슬기롭게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지속적으로 모색해야 할 시점이다.
보훈정책의 차원에서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건강보호를 위한 더 많은 혜택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건강 증진의 서비스를 적극 제공해야 하는데, 이 또한 보훈정책의 우선순위는 아닌 듯하여 한 번 더 안타깝다. 국가보훈대상자들에 대한 지속 가능한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최선의 방법으로서 건강 증진 사업이 보훈정책의 최우선적인 의제가 되어야 한다. 그 첫 단추로 보훈공단 내에 건강 증진을 담당할 수 있는 부서를 신설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보건과 복지를 주관하는 정부 부처는 보건복지부이다. 그러나, 만성질환을 앓고 있는 고령자에게는 보건과 복지가 연계되기 보다는 단절되어 있음으로 인해 그 어느 영역에서도 환영받지 못 하는 심리적 괴리를 겪고 있다고 판단된다. 이에 보훈대상자가 생활하고 있는 지역단위별로 스마트케어팀을 구성하여 해당 지역 내에서 보건과 복지가 연계·기능하도록 함으로써 의료와 복지가 동시에 제공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는 고령의 보훈대상자들이 건강한 삶을 일상적으로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삶의 질을 제고함과 동시에 반복되는 의료서비스 사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사회적 비용을 줄이는 효율적 방안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