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세계의 종교 > 원불교
· ISBN : 9791166291432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22-11-15
책 소개
목차
제1부 한국종교의 생명평화운동
생명평화결사와 『생명평화경』 그리고 생명평화 백대서원 절 명상 / 김석근
1. 머리말: 생명과 평화 그리고 생명평화
2. 불교와 생명평화: 육도중생(六道衆生)이 다생부모(多生父母)
3. 생명평화 사상과 운동
4. 맺음말: ‘동체대비(同體大悲)’와 ‘본래붓다’
통합생태학과 생명평화운동의 접점 / 허남진
1. 머리말
2. 서구의 통합적 지구학으로서 통합생태학
3. 남미의 인간과 지구의 통합적 해방을 위한 통합생태학
4. 한국의 생명평화운동
5. 맺음말
한국 개신교의 생명평화운동과 사상 / 김재명
1. 한국 개신교 생명평화운동의 등장 배경
2. 한국YMCA의 생명평화운동과 사상
3. 기독교환경운동연대의 생명평화운동과 사상
4. 한국 개신교 생명평화운동의 다양성
제2부 한국종교의 지구학적 해석
조선후기 실학의 지구학적 해석 / 김봉곤
1. 머리말
2. 실학자들의 지구와 우주에 대한 인식
3. 실학자들의 재이에 대한 견해
4. 실학자들의 지구 내 존재에 대한 삶의 규정
5. 맺음말
동학사상의 지구민주주의적 해석 / 조성환·이우진
1. 머리말
2. ‘지구민주주의’란 무엇인가?
3. 동학사상과의 비교
4. 맺음말: 지구지역적 민주주의(glocal democracy)
원불교 천지론의 사상적 기원과 지구인문학적 의미 / 허남진·조성환
1. 머리말
2. 천지가 부모이다
3. 천지가 스승이다
4. 천지에 보은하라
5. 맺음말
제3부 기후위기 시대의 종교생태사상
기후위기 시대 원불교사상의 생태학적 재해석 / 이주연·허남진
1. 머리말
2. 기후위기 시대 토착적 생태운동
3. 원불교사상의 생태학적 재해석
4. 맺음말
기후위기 시대 원불교의 역할 / 원영상
1. 머리말
2. 원불교 기후·환경 운동의 실제
3. 기후·환경 운동의 교의적 기반
4. 운동의 지평 확대를 위하여
5. 맺음말
기후위기시대 모노(モノ) 철학의 생태학적 재해석 / 야규 마코토
1. 머리말
2. ‘모노’와 ‘고토’의 언어철학
3. 가마타 도지의 ‘모노학’―아일랜드 바닷가의 ‘모노’ 체험에서
4. 니노미야 손토쿠의 지구인문학
5. 맺음말
저자소개
책속에서
‘생명평화결사’, 『생명평화경』, ‘생명평화 백대서원 절 명상’의 주역이라 할 수 있는 도법과 관련해서 한 가지 덧붙이는 것으로 이 글을 마무리하고자 한다. 그는 최근 「붓다로 살자 발원문」을 내놓았다. 그 발원문은 이렇게 시작한다. “신기하고 신기하도다. 어리석음에서 깨어나 보니 사람이 그대로 오롯한 붓다이네.” 깨어나서 보면 사람이 그대로 붓다, 즉 ‘본래붓다’라는 것이다. 본래붓다인 만큼 거룩한 붓다로 살아야 한다는 것이다. 그렇다, 붓다로 살자. 그것이 곧 ‘21세기 시민붓다 불교’라는 것이다. - 생명평화결사와 『생명평화경』 그리고 생명평화 백대서원 절 명상 중에서
최근 인류세는 지질학, 생물학, 기후학, 지구시스템학, 사회학, 경제학, 정치학, 철학 등 다양한 학문 분야를 횡단하면서 성찰되고 있다. 인류세는 단순히 지질학적, 기후학적 문제가 아닌 인간존재 방식에 대한 문제와 연결되기 때문이다. 또한 인류세는 지구와 인간을 포함한 모든 존재에게 고통이기도 하다. 이제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행성적 사유와 함께 지구와 지구 생명체들과의 적절한 관계가 무엇인지에 대한 재성찰이 아닐까? 바로 여기에 통합생태학의 의의가 있다. - 통합생태학과 생명평화운동의 접점 중에서
민주화 이후 한국 개신교는 시민운동으로 방향을 잡았고 이때의 구호는 ‘생명평화’였다. 한국YMCA와 기독교환경운동연대가 이렇게 전개된 한국 개신교의 생명평화운동을 주도하였지만, 두 단체의 활동과 사상에서는 적잖은 차이가 있었다. 이것은 비단 두 단체만의 차이가 아니라 한국 개신교 시민운동의 주요한 두 흐름의 분화를 의미한다. 물론 이것이 두 흐름 사이의 대립을 뜻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두 흐름 모두 ‘정의, 평화, 창조보전(JPIC)’에 기초한다. 하지만 이 세 가지 사이의 이해와 강조점이 다르다. 즉, 두 흐름이 사용하는 ‘생명평화’의 실질적 내용이 다른 것이다. - 한국 개신교의 생명평화운동과 사상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