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사 일반
· ISBN : 9791166292019
· 쪽수 : 480쪽
· 출판일 : 2024-08-20
책 소개
목차
서문
제1부 평택지역과 민족운동
01 평택지역 3·1운동의 재검토와 전개 양상
02 평택지역 3·1운동과 천도교
03 일제강점기 진위청년회의 조직과 활동
제2부 근대 평택인과 민족운동
01 이택화의 생애와 민족운동
02 이병헌의 생애와 민족운동
03 이석영과 독립운동에 대한 고찰
04 안재홍의 민족운동과 옥고 기록 분석
05 아나키스트 원심창과 주중대사 암살사건
제3부 근대전환기 평택지역의 사회동향
01 근대 평택의 행정구역 변화와 평택의 정체성 모색
02 근대 시기 ‘안성천’의 명명과 이칭들
03 평택 일대 청일전쟁과 ‘안성천’ 지명의 형성
04 근대 스포츠의 수용과 평택지역의 체육활동
제4부 근대전환기 평택지역 일본인 사회와 그들의 삶
01 평택지역의 일본인과 일본인 사회
보론/ 01 평택지역 근대현대사 연구 현황과 과제
02 해방 후 원심창의 민단활동과 평화통일운동
저자소개
책속에서
평택지역 3·1운동은 3월 9일부터 시작하여 4월 중순까지 지속적으로, 그리고 전 면에서 전개되었다. 일제의 한 기록에 의하면 수원, 수안, 안성과 더불어 ‘가장 광포한 시위’ 지역 중의 하나였다. 평택지역 3·1운동의 역사적 위상은 다음과 같이 평가할 수 있다. 첫째, 일시적 현상이 아니라 계획적으로 장기간 지속되었다는 점이다. …(중략)… 둘째, 평택의 만세운동은 지역적 고립을 벗어나 수원지역 및 안성지역과 직간접적으로 연관을 가지고 있다는 점이다. (셋째) 셋째, 일제의 평가처럼 전국적으로 유별나게 격렬하게 전개되었다는 점이다. …(중략)… 넷째, 평택지역 3·1운동을 전개하는데, 천도교의 조직과 역할이 적지 않았다는 점이다.
진위청년회의 활동은 다섯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는 조직을 유지하기 위한 내부 사업이다. …(중략)… 둘째는 지역에서의 사회사업이다. …(중략)… 셋째는 대외사업이다. …(중략)… 넷째는 체육행사다. …(중략)… 다섯째는 교육사업이다. …(중략)… 진위청년회는 일제강점기 1920년대 평택지역을 대표하는 청년단체로서 활동하였다. 청년회 임원뿐만 아니라 회원 역시 지역의 유지들이었다. 일제 식민기관인 면사무소 면장을 포함하여 교원, 지역 상공인, 지역 언론인 등으로서 경제력도 상당한 계층이었다. 이들은 청년회를 통해 평택지역의 여론과 경제활동의 중심 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1930년대 전시체제가 전개되면서 일제식민 지배에 협력하는 경우도 없지 않았다.
이택화의 군자금 모금 활동은 이해 4월경 일제의 정보망에 발각되었다. 이날 이택화는 집 앞에 있는 우물에 물을 길러갔다가 백봉주재소에서 출동한 일경에 체포되었다. 이 사건은 당시 신문 등 언론에 보도되지 않아 구체적인 상황이 확인되지 않고 있다. 다만 판결문을 통해 이택화의 활동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판결문에 의하면, 군자금 모금 활동을 핑계로 가택을 침입하여 형법 제130조 및 제55조에 돈을 강취하여 형법 제236조 제1항 및 제55조에 그리고 강도죄로 형법 제54조 및 제10조에 적용되어 징역 5년을 언도받았다. 이로 인해 이택화는 1920년 4월 28일 수감되어 1924년 11월 27일 출옥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