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명심보감과 함께하는 마음공부

명심보감과 함께하는 마음공부

(고전에서 배우는 새로운 인생의 지혜)

송봉구 (지은이)
모시는사람들
16,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5,200원 -5% 0원
800원
14,400원 >
14,400원 -10% 2,500원
0원
16,9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명심보감과 함께하는 마음공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명심보감과 함께하는 마음공부 (고전에서 배우는 새로운 인생의 지혜)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유교철학/주역 > 유교철학 일반
· ISBN : 9791166292453
· 쪽수 : 272쪽
· 출판일 : 2025-09-10

책 소개

『명심보감』의 99개 문장을 뽑아 유교·불교·도가·동학·원불교의 교리와 연결해 해석한 ‘마음공부’ 안내서다. 단순한 교훈이 아니라, 현대인이 겪는 불안·갈등·소외를 치유하는 실제적 공부의 길로서, 자기 성찰과 관계 회복, 사회와 자연과의 조화를 아우른다.

목차

서문

제1부 유교 수양법
1. 天報以福 천보이복 ― 하늘은 복으로 보답한다
2. 恩義廣施 은의광시 ― 은혜와 의로움은 널리 베풀어라
3. 順存逆亡 순존역망 ― 하늘의 뜻을 따르면 살고 거스르면 죽는다
4. 天寂無音 천적무음 ― 하늘은 고요하여 소리가 없다
5. 事親致敬 사친치경 ― 부모 섬김에 정성을 다하라
6. 孝親子孝 효친자효 ― 부모가 효도하면 자식도 따른다
7. 見惡尋惡 견악심악 ― 악을 보면 함께하지 마라
8. 道惡是師 도악시사 ― 악한 이는 반면교사다
9. 勤愼寶符 근신보부 ― 부지런하고 삼가면 복을 받는다
10. 定心應物 정심응물 ― 마음을 안정시켜서 세상 일에 응하라
11. 避色避讐 피색피수 ― 음욕은 원수를 피하듯이 피하라
12. 棄而勿治 기이물치 ― 쓸모없는 일은 간섭하지 마라
13. 衆好必察 중호필찰 ― 모두가 좋다해도 반드시 살펴라
14. 酒中不語 주중불어 ― 술자리에서는 말을 삼가라
15. 耳不聞非 이불문비 ― 귀로 남의 험담을 듣지 마라
16. 知足亦樂 지족역락 ― 만족할 줄 아는 것이 참된 즐거움이다
17. 馭心免過 어심면과 ― 마음을 다스려 허물을 피하라
18. 守之以愚 수지이우 ― 우직함으로 총명함을 지켜라
19. 防意如城 방의여성 ― 뜻을 지키기를 성처럼 하라
20. 心安茅穩 심안모온 ― 마음이 편해야 집도 편하다
21. 所思忠孝 소사충효 ― 언제나 충과 효를 생각하라
22. 恕人全交 서인전교 ― 다른 사람을 용서해 우정을 완성하라
23. 忍忿免憂 인분면우 ― 화를 참으면 근심이 없게 된다
24. 修身之美 수신지미 ― 몸가짐을 아름답게 하라
25. 凡事留情 범사유정 ― 매사에 인정을 남겨라
26. 切問近思 절문근사 ― 부지런히 묻고 가까이서 생각하라
27. 人學知道 인학지도 ― 사람은 배워야 도를 안다
28. 敎子一經 교자일경 ― 자식 교육은 한 가르침에서 시작한다
29. 至樂讀書 지락독서 ― 가장 큰 즐거움은 책 읽기다
30. 內賢父兄 내현부형 ― 어진 부모, 엄격한 스승과 친구가 있어야 한다
31. 人子有敎 인자유교 ― 자식은 반드시 가르쳐야 한다
32. 忠孝無窮 충효무궁 ― 충과 효는 끝이 없다
33. 言多語失 언다어실 ― 말이 많으면 실수도 많다
34. 人有所養 인유소양 ― 사람은 길러야 쓸모 있다
35. 心不可料 심불가료 ― 마음은 헤아리기 어렵다
36. 便見相離別 변견상이별 ― 한쪽 말만 들어면 서로 멀어진다
37. 有麝自然香 유사자연향 ― 공력이 있으면 저절로 드러난다
38. 交必擇友 교필택우 ― 함께할 벗은 가려서 사귀어라
39. 智小謀大 지소모대 ― 작은 지혜로 큰일은 도모하면 화를 부른다
40. 愼終如始 신종여시 ― 처음처럼 끝까지 조심하고 신중하라
41. 明智涉難 명지섭난 ― 지혜는 어려움을 이기게 한다
42. 爲政之要 위정지요 ― 정치의 요체는 공평함과 청명함이다
43. 朝夕視警 조석시경 ― 아침저녁으로 스스로를 살피라
44. 知所持身 지소지신 ― 몸가짐을 어떻게 해야 할지 알라
45. 夷虜之道 이로지도 ― 오랑캐의 도리를 따르지 말라
46. 居家有禮 거가유례 ― 집안에 거처할 때도 예의가 있다
47. 無禮爲亂 무례위난 ― 예절이 없으면 어지러워진다
48. 出門如見大賓 출문여견대빈 ― 문을 나설 때는 큰 손님을 뵙듯이 하라
49. 利人之言 리인지언 ― 남을 이롭게 하는 말을 하라
50. 好學同行 호학동행 ― 배우기를 좋아하는 이와 함께하라
51. 君子之交 군자지교 ― 군자의 우정은 맑고 깊다
52. 女有四德 여유사덕 ― 여인에게도 네 가지 덕이 있다
53. 賢婦和親 현부화친 ― 어진 아내가 집안을 화목하게 한다
54. 歲不我延 세불아연 ― 세월은 나를 기다려주지 않는다
55. 及時勉勵 급시면려 ― 때를 놓치지 말고 힘써라
56. 制性禮法 제성예법 ― 본성을 다스리려면 예로써 하라
57. 明鏡察形 명경찰형 ― 거울이 맑아야 바로 살필 수 있다

제2부 불교 수양법
58. 人間大丈夫 인간대장부 ― 참된 사람은 큰 기상을 가진다
59. 我心虛空 아심허공 ― 마음을 비워야 하늘과 통한다
60. 不經一事 불경일사 ― 일을 겪어야 지혜가 늘어난다
61. 知少主人 지소주인 ― 대접할 줄 알아야 대접을 받는다
62. 富住深山 부주심산 ― 깊은 산에 살아도 부유하면 찾아온다
63. 反求諸己 반구저기 ― 잘못된 원인을 나에게서 찾아보라

제3부 도가 수양법
64. 天神雷電 천신뢰전 ― 하늘과 신은 모든 것을 듣고 본다
65. 一日念善 일일념선 ― 매일 좋은 일을 생각하고 실천하라
66. 不作不成 부작불성 ― 하지 않으면 이룰 수 없다
67. 一日淸閑 일일청한 ― 하루라도 맑고 한가로움에 머물러라
68. 上安下順 상안하순 ― 어리석음을 숭상해야 편안하고 순종한다
69. 人滿則喪 인만즉상 ― 사람이 교만하면 죽음을 자초한다
70. 滅身之斧 멸신지부 ― 구설은 몸을 망치는 도끼다 / 189

제4부 동학 수양법
71. 行善禍遠 행선화원 ― 선을 행하면 재앙은 멀어진다
72. 食淡神爽 식담신상 ― 담백하게 먹어야 정신이 맑다
73. 滿損謙益 만손겸익 ― 가득함은 해롭고 겸손은 이롭다
74. 與人勿悔 여인물회 ― 남에게 주었으면 후회하지 말라
75. 責己改過 책기개과 ― 자기를 꾸짖고 허물을 고치라
76. 利重害深 리중해심 ― 이익이 크면 해로움도 커진다
77. 疑人莫用 의인막용 ― 사람을 의심한다면 기용하지 마라
78. 飢寒發心 기한발심 ― 춥고 배고프면 진리를 추구하게 된다
79. 以還百姓 이환백성 ― 백성에게 되돌려 주라
80. 難塞鼻下橫 난색비하횡 ― 입 놀리는 것을 막기가 어렵다
81. 士志於道 사지어도 ― 선비는 도에 뜻을 두라
82. 至察無徒 지찰무도 ― 지나치게 따지면 친구가 없다
83. 酒不醉人 주불취인 ― 술은 취하지 않는다 사람이 취한다
84. 人受諫聖 인수간성 ― 충고를 받아들이면 성인이 된다
85. 立身有義 입신유의 ― 성공하는 출발점은 효도이다
86. 家和萬事成 가화만사성 ― 가정이 화목해야 모든 일이 잘 된다
87. 知心幾人 지심기인 ― 마음을 알아주는 이가 몇이나 될까
88. 日久見人心 일구견인심 ― 세월이 지나야 사람 마음을 안다

제5부 원불교 수양법
89. 萬事從寬 만사종관 ― 모든 일은 너그럽게 하라
390. 聞善從喜 문선종희 ― 좋은 일을 들으면 기뻐하라
91. 保生寡慾 보생과욕 ― 생명력을 지키려면 욕심을 적게 하라
92. 妄動致禍 망동치화 ― 함부로 움직이면 화를 부른다
93. 責人責己 책인책기 ― 남을 꾸짖는 마음으로 나를 꾸짖어라
94. 愛子孫賢 애자손현 ― 자손이 어질게 되기를 바라고 행동하라
95. 憐兒與棒 연아여봉 ― 아이를 사랑하거든 매를 들어라
96. 人亦信之 인역신지 ― 내가 나를 믿어야 남도 나를 믿는다
97. 福常自惜 복상자석 ― 복이 있더라도 아껴서 누려라
98. 神仙不死方 신선불사방 ― 죽지 않는 방법이 있다
99. 起家之本 기가지본 ― 글을 읽는 것이 집안을 일으키는 근본이다

후기

저자소개

송봉구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67년 경남 양산 출생. 성균관대학교 동양철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 유학과에서 맹자의 수양론으로 석사학위를, 주자의 수양론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대학교에서는 이기동 교수님의 지도하에 동양철학 수양론의 이론적인 부분을 공부했고, 밖에서는 실제 수련에 참여하여 김열권 거사에게 위빠사나 수련을 배웠으며, 김태완 거사에게 설법을 들으면서 본질을 찾는 특이한 수련 방법을 배웠다. 이론 공부와 실제 수련 경험 덕분에 박사논문을 완성할 수 있었다. 이후에 동학의 주문 수련법을 만나서 지금은 주문 수련에 열중하고 있다. 논문으로는 「맹자의 호연지기 연구」, 「주자의 거경궁리론 연구」, 「정이천의 심성수양론 연구」, 「동학의 수양론 연구」, 「주자의 거경과 해월의 수심정기 비교 연구」 등이 있다. 현재는 동학과 동양철학의 수련법을 비교하는 데 관심을 두고 연구하고 있다. 영산대학교에서 동양사상과 글쓰기를, 천도교종학대학원 부산분원에서 천도교 교리를, 그리고 울산에서 일반인을 대상으로 논어·도덕경·금강경 등의 동양고전을 가르치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착하게 살다가 억울하게 돌아가거나 사고를 당하는 분은 그의 잘못 때문이 아니라, 천복을 천벌로 바꿔 버린 악한(惡漢) 때문에 그리 되는 것이다. 천벌을 받을 사람이 천복을 누리는 것 같은 일도, 실은 천벌을 유예하고 있는 것일 뿐, 긴 시간의 안목에서 보면 천벌을 피할 수 없다. 그 자손이나 그 주변사람들에게라도, 반드시 그 해가 미치기 마련이다.


‘주일무적’을 완성하는 길은 각자 인연에 따라 하나의 방법을 선택을 하여 마음 단련을 하되, 중요한 것은 퇴계 선생의 말씀처럼 ‘마음공부를 쉬지 않고 하면 나중에는 점점 쉬워져서 마침내는 마음이 늘 깨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사향은 사향노루 수컷의 배꼽과 불두덩을 싸고 있는 주머니(향낭)를 쪼개서 말린 향기 나는 향료이다. 냄새를 강하게 풍기며 한약으로 많이 쓰인다. 사향노루는 몸에 향낭이 있기 때문에 가만히 있어도 향기가 저절로 풍긴다. 굳이 바람을 이용해서 향기를 전파하려 애쓸 필요가 없다. 사람도 마찬가지다. 학문이 높거나 수양이 깊으면 자기 입으로 자랑을 하지 않아도, 공부를 통해 쌓인 인품의 향기가 언행을 통해 자연스레 사람들에게 풍기게 된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