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과학소설(SF) > 외국 과학소설
· ISBN : 9791167900210
· 쪽수 : 536쪽
· 출판일 : 2022-01-17
책 소개
목차
1 첼시마리나의 반란
2 히스로 폭탄
3 “왜 나야?”
4 마지막 라이벌
5 올림피아의 대치
6 구출
7 심야의 탈출
8 몽유병자들
9 폭신하게 포장된 종말
10 혁명에의 예약
11 어둠의 심연
12 비디오 대여점
13 뇌신경학자에게 신에 대해 묻다
14 길퍼드에서 2번 터미널로
15 꿈의 저장고
16 아이들의 성역
17 절대영도
18 검은 밀레니엄
19 방송국 포위전
20 백색 공백
21 빛의 온화함
22 벙커 방문
23 마지막 타인
24 그로브너 플레이스 방위전
25 유명인 살해
26 아내의 염려
27 타오르는 볼보
28 결정적 단서
29 장기 주차장
30 아마추어와 혁명
31 감상적인 테러리스트
32 부동산 가치 하락
33 태양에 내맡기다
34 임무 완수
35 그림자 없는 태양
해제
옮긴이의 말
J. G. 밸러드 인터뷰
J. G. 밸러드 전기적 약력
J. G. 밸러드 작품 목록
리뷰
책속에서
두 여성을 연결해 주는 분노는 이해할 수 있었지만, 칼로는 강철 레일이 자궁을 관통하는 바람에 평생 고통받은 사람이었다. 샐리는 낯선 땅에서 좌우를 제대로 살피지 않고 거리를 건넜으며, 자신의 아름다움은 조금도 잃어버리지 않았다. 그녀를 다시 걷지 못하게 막는 요인은 그 사고의 무작위적 속성에 대한 흥미로운 집착뿐이었다. 이 수수께끼를 풀 수 없었던 그녀는 자신이 휠체어를 떠나지 못하는 장애인이라 주장하며, 자신의 역경을 다른 의미 없는 사고의 희생자들과 공유하고자 했던 것이다.
“그렇다면 파업 중이라고 할 수 있겠군요.” 나는 이렇게 말했다. “우주에 대해서 혼자 자리에 앉아 농성을 벌이고 있는 겁니다.”
“답을 기다리고 있는 거거든요, 마컴 씨.” 그녀는 세 개의 커다란 베개에 몸을 기대며 머리카락을 비비 꼬았다. “세상에서 가장 중요한 질문에 대한 답을 말이에요.”
“그 질문이 뭔가요.”
“‘왜 나야?’ 대답해 봐요. 할 수 없을걸요.”
_ 「3 “왜 나야?”」에서
제정신이든 아니든, 말이 되든 안 되든, 온갖 종류의 항의 집회는 런던에서 일상의 거의 모든 측면과 접점을 가진다. 거대한 거미줄처럼 서로 연결된 시위가, 보다 의미 있는 세계에 대한 온갖 간절한 열망을 건드리는 것이다. 실험실이나 상업은행이나 핵연료 집적소 앞에서 피켓을 들고, 오소리 굴을 지키기 위해 비포장도로를 터벅터벅 걸어 다니고, 시위꾼 종족의 공적이라 할 수 있는 내연기관을 저지하기 위해 고속도로에 드러누우면서 주말을 보낼 준비를 마친 관심 집단들은, 인간에게 가능한 거의 모든 활동을 목표로 삼았다.
이런 이들은 이제 주변 집단이 아니라 런던 시장의 퍼레이드나 애스콧 경마 주간이나 헨리리개타 보트 경주와 마찬가지로 이 나라 시민 전통의 일부가 되었다. 이따금 동물실험이나 제3세계 부채에 반대하는 집회에 참석할 때마다 새로운 종교가, 숭배할 신을 찾아 헤매는 신앙이 태동하고 있다는 생각이 들기도 했다. 카리스마 넘치는 인물을 찾아, 머지않아 열정과 맹신의 향기를 풍기며 교외의 쇼핑몰이라는 광야에서 모습을 드러낼 그런 인물을 찾아 거리를 헤매는 신도들인 것이다.
_ 「5 올림피아의 대치」에서
“관광 여행이야말로 최고의 최면술이에요. 대규모 신용 사기인 데다 인생에 뭔가 흥미로운 것이 존재한다는 위험한 사고방식을 주입하죠. 의자 뺏기 놀이를 뒤집은 거라고 생각하시면 돼요. 녹음된 음악이 멈출 때마다 사람들은 자리에서 일어나 세계를 돌아다니며 춤추고, 원 안에는 더 많은 의자가, 더 많은 요트 정박지와 메리어트 호텔이 추가되죠. 그래서 저마다 자기가 승리했다고 착각하게 되는 거예요.”
“그런데 그것조차 사기인 거로군요?”
“완벽한 사기죠. 현대의 여행자들은 어디든 실제로 가는 게 아니니까요.” 그녀는 자신감 넘치는 태도로, 청중에 의해 방해받아 본 적이 없는 강사의 확고한 자신감을 가지고, 자기 나름의 열정적인 자세로 너저분한 거실을 마주하고서 장광설을 늘어놓았다. “자기 존재를 아무리 개선해도 결국 똑같은 공항과 리조트 호텔로, 똑같은 피냐 콜라다 어쩌고로 이어지게 마련이잖아요. 여행객들은 햇볕에 탄 피부와 번쩍이는 이빨을 보며 자기네가 행복하다고 생각하죠. 하지만 선탠은 그들의 정체를 숨기는 역할만 할 뿐이에요. 미국의 쓰레기로 머릿속을 가득 채운, 봉급을 받는 노예라는 정체를요. 여행은 20세기가 우리에게 남긴 마지막 환상이에요. 어디든 일단 가기만 하면 자기 자신의 새로운 모습을 찾을 수 있으리라는 환상이죠.”
_ 「7 심야의 탈출」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