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큰글자도서] 임상미술치료를 위한 그림심리평가](/img_thumb2/9791168016750.jpg)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심리학/정신분석학 > 심리치료
· ISBN : 9791168016750
· 쪽수 : 304쪽
· 출판일 : 2022-09-26
책 소개
목차
머리말
Chapter 01 그림 검사의 기초
01. 미술치료에서의 투사적 그림 평가의 필요성 및 배경
02. 투사적 그림 평가의 기본 지침
03. 미술치료의 선과 상징의 분석
Chapter 02 그림에 의한 평가기법
01. 인물화 검사(DAP TEST)
02. 집-나무-사람 그림 검사(HTP TEST)
03. 동적 집-나무-사람 그림 검사(KHTP TEST)
04. 동적가족화(KFD TEST)
05. 동적학교생활화(KSD TEST)
06. 자화상 그림검사(SPD TEST)
07. 풍경구성법(LMT)
08. 도형, 색 그리기(FCC)
09. 구름, 집, 나무 그리기(CHTC)
Chapter 03 그림 검사 평가 보고서
01. 그림 검사 평가 보고서
02. 평가 보고서 작성하기
참고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투사적 그림 검사를 통하여 한 개인의 성격을 이해하는 과정에는, 그림검사를 실시하는 상황에서 검사지시에 대한 이해, 그리는 속도, 흥미가 있는지, 거부하는지, 종이를 다루는 태도, 지우개의 사용 빈도, 자주 지우는 부분, 불안해하는지, 집중을 못하는지, 질문을 많이 하는지 등과 같이 검사 장면과 피검사자의 행동과 태도, 주변 체계의 관계, 과거력 등에 유의하며 여러 정보를 고려해야 한다. 개인을 사실과 다르게 해석하는 오류를 범할 수 있으므로 그림 한 장만으로 성격의 단면을 추론하는 평가는 주의해야 한다. 투사검사에서 그림의 해석은 전체적 평가, 구조적 평가, 내용적 평가 등 3가지 접근을 통해 종합적으로 이루어진다.
- <투사적 그림 평가의 기본 지침>
나무 그림은 기본적인 자기상을 나타내며, 가장 솔직한 내면세계를 방어 없이 자유롭게 분출할 수 있는 검사 방법이다. 코흐(Koch)는 나무 그림을 통해 개인적 삶의 내용과 전기적 상황 및 개인의 성격을 읽을 수 있고, 개인 무의식 속에 있는 감정들이 반영될 수 있다고 보았다. 또한 아이들의 그림에서 나무는 인성뿐만 아니라 성장발달검사 방법으로도 이용되었다. 나무는 특정한 인물을 상징하고, 그 사람에 대한 감정 및 욕구를 나타내기도 하며, 보통은 그림을 그린 자신을 직접적으로 나타내고, 무의식적으로 느끼는 자신의 모습을 나타낸다고 본다.
- <집-나무-사람 그림 검사(HTP TEST)>
동적가족화는 의식적이면서도 무의식적인 투사기법이라 할 수 있으며 아동·청소년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데 매우 중요한 임상적 가치를 제공해줄 수 있다. 아동은 아직 경험해보지 못한 자신이 소망하는 가족의 모습을 표현할 수도 있고, 반면에 아주 강하고 부정적인 경험들을 반영하기도 한다. 이 그림을 통해 아동이 심리적으로 느끼는 가족의 상황이나 아동과 가족 구성원 간의 관계도 알 수 있다.
- <동적가족화(KFD TE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