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현상학/해석학/실존철학
· ISBN : 9791168560505
· 쪽수 : 572쪽
· 출판일 : 2022-04-25
책 소개
목차
서론
1 경험의 주체와 방법
1. 머리말
2. 예비 검토 : 최소자아의 철학적 중요성
3. 자아와 주관성, 그리고 불교철학에서 무아
4. 이야기로서의 자아 : 서사적 자아 유형
5. 전(前) 서사적 자아성
6. 1인칭 소여와 최소자아
7. 흐름, 구조 혹은 그 이외 무언가로서의 최소자아?
8. 마무리하는 생각
2 경험적 자아 : 반론과 분류화
1. 머리말
2. 경험적 자아
3. 환영에 불과한 자아
4. 자아 대 무아
5. 통시적 통일체와 자아
3 열반과 소유자 없는 의식
1. 머리말
2. 자아의 핵심 개념
3. 상좌부 불교에서 해석된 것처럼 열반은 어떻게 자아환영을 구조화하는가
4. 평상심에 대한 함의
5. 결론 : 당면 과제
4 자아와 주관성 : 중도적 접근
1. 머리말
2. 유가행파에 고무된 의식관
3. 의식과 주관성, 그리고 자아
4. 다양한 자아감각과 인지과학들
5. 주관성의 본성
6. 결론 : 우리는 여전히 경험에 대해서 말할 수 있는가?
5 자아와 무아? 기억과 반성적 알아차림
1. 머리말
2. 의식은 본질적으로 자기알아차림을 포함하는가?
3. 자기알아차림은 자아 존재를 함축하는가?
4. 결론
6 주관성과 자아성, 그리고 ‘나’ 용어 사용
1. 아상가와 바수반두의 자기의식과 자기의식적 주의
2. 전前 주의적 의식 : 마나스와 나의 것임
3. 1인칭 심리학적 판단
4. ‘나’에 대한 두 가지 사용
5. 결론
7 ‘나의 본성은 봄(seeing)이다’ : 인도의 목격자 의식 관념에 대한 현상학적 성찰
1. 서론
2. 자아 대 무아 : 불교의 도전
3. 의식으로서의 자아
4. 세계의 현존과 세계 내 주체
5. 탈(脫)가탁 과정
6. 결론
8 불이론 베단따의 규정하기 힘든 자아 정립하기
1. 머리말 : 불이론과 자아가 부정될 때 부정되는 것에 대한 의문
2. 자아로서의 아뜨만 : 힌두의 논쟁들
3. 메칭거의 ‘아무도 없음(No one)’과 자하비의 핵심자아(Core Self)
4. 불이론에서 ‘나’와 그 특이성을 탐구함
5. 규정하기 힘든 불이론적 자아
6. 의식의 반영성
7. 결론
9 자아를 상호구성하기 : 자아 창발(創發)에 대한 불교의 접근과 상호구성주의 접근
1. 머리말
2. 무아(Non-Self)
3. 불교 환원론
4. 불교 환원론의 네 가지 문제
5. 자율적 체계의 의존적 발생
6. 공과 가상적 자아
7. 최소자아(Minimal Self)
8. 자기전유(Self-Appropriation)
9. 결론
10 철저한 자기알아차림
1. 경험
2. 얇은 주체Thin Subject
3. 현 순간의 자기의식
4. AOI 명제(모든 알아차림은 자신에 대한 알아차림을 행한다)
5. AOI 명제의 근거
6. 현 순간의 비주제적 자기의식
7. 현 순간의 주제적 자기의식
8. 현 순간의 주제적 자기의식에 대한 의문
9. 현 순간의 주제적 자기의식에 대한 변론
10. 주체는 그 자신을 있는 그대로 그 자체로서 알 수 있는가?
11. 결론
11 좀비로서의 붓다 : 주관성에 대한 불교 환원론
1. 서론
2. 불교 환원론의 무아 이해
3. 주체 없는 주관성?
4. 의식에 대한 불교의 환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