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91169190435
· 쪽수 : 336쪽
· 출판일 : 2022-09-3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5
1부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이해하기
1장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이해 15
1 미디어 리터러시의 개념 규정과 역량 찾아보기 15
2 허위 조작 정보와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23
3 허위 조작 정보를 다루기 위한 교육적 접근법 27
4 교양 있는 행동과 미디어 리터러시 31
2장 포스트 트루스 시대에서 시민교육 35
1 소셜 미디어의 인식론적 위협 35
2 포스트 트루스 시대의 지적인 덕 44
3 시민교육에서 지적인 덕의 정당화 53
4 시민교육에서 지적인 덕을 가르치기 59
2부 교과 수업을 통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3장 도덕 교과에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69
1 초등 도덕교과교육과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70
2 초등 도덕과 교육의 MIL 교육 접근 방향 74
3 초등 도덕과에서의 MIL 교육을 위한 핵심 역량과 기술 79
4 초등 도덕과에서 MIL 교육 요소 83
5 초등 도덕에서 MIL 교육시 유의점 85
6 초등 도덕과에서 MIL 교육의 실제 87
4장 국어 교과에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95
1 초등 국어과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실태와 개선 방안 97
2 초등 국어과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예시 110
5장 사회 교과에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119
1 제 4차 산업혁명과 초등 사회과 교육 119
2 미디어 리터러시와 초등 사회과 교육 120
3 미디어 리터러시를 적용한 초등 사회과 교육 125
4 미디어 리터러시를 적용한 수업의 유의점 146
6장 수학 교과에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149
1 패러다임의 변화와 초등수학과 교육 149
2 미디어 리터러시와 초등수학과 교육 151
3 미디어 리터러시를 적용한 수학 교육 방법 154
4 미디어 리터러시를 적용한 수업의 유의점 176
7장 과학 교과에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179
1 초등학교 과학과 미디어 리터러시 179
2 과학 교육과정에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내용 분석 183
3 과학과 미디어 리터러시 수업 제안 189
8장 실과 교과에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201
1 초등 실과에서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필요성 202
2 초등 실과에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위해 추구해야 할 점 204
3 실과 교육과정에서의 MIL 요소 209
4 초등 실과에서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실제 213
9장 음악 교과에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221
1 초등학교 음악과 미디어 리터러시 221
2 음악 교육과정에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내용 분석 223
3 초등학교 음악과에서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방안 227
4 음악과 미디어 리터러시 수업 제안 231
10장 미술 교과에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245
1 사회변화와 초등 미술과 교육 245
2 미디어 리터러시와 초등 미술과 교육 246
3 초등학교 미술 교과에서의 미디어 리터러시 적용 제안 252
11장 체육 교과에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275
1 체육과에서 미디어 리터러시의 개념과 교육 방향 278
2 체육과에서 미디어 리터러시의 교육의 방향 283
3 체육과에서 미디어 리터러시의 교육의 방법 285
4 체육과에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실제 292
12장 영어 교과에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301
1 사회변화와 초등 영어과 교육 301
2 미디어 리터러시와 초등 영어과 교육 302
3 초등 영어과에서의 미디어 리터러시 적용 제안 307
찾아보기 330
저자소개 332
저자소개
책속에서
미디어 리터러시의 개념 정의는 광범위하고 다양하지만, 오늘날 가장 대표적인 것은 ‘모든 형태의 커뮤니케이션을 사용하여 접근, 분석, 평가, 생성, 행동할 수 있는 능력’이다. 간단히 말해서, 미디어 리터러시는 전통적인 리터러시(literacy)의 기초 위에 구축되며 새로운 형태의 읽기와 쓰기를 제공한다. 미디어 리터러시는 사람들이 비판적인 사상가, 제작자, 효과적인 의사 전달자, 활동적인 시민이 될 수 있도록 한다. 미디어 리터러시는 인쇄물에서 비디오, 인터넷에 이르기까지 우리가 다양한 형태로 메시지를 접속·분석·평가·생성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를 제공한다. 그것은 우리가 사회에서 미디어의 역할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민주주의 시민에게 필요한 탐구와 자기표현의 필수적인 기술을 구축하도록 돕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