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유교철학/주역 > 공자/논어
· ISBN : 9791169191111
· 쪽수 : 836쪽
· 출판일 : 2023-04-1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서론
상권
제1장 공자와 미국의 국부들
제1절 “유교적 혁명가” 벤저민 프랭클린의 공자 학습과 중국연구
1.1. 프랭클린의 유교적 수신과 공자철학의 보급 활동
■ 프랭클린의 중국학습 노력
■ 프랭클린의 「자유와 필연, 쾌락과 고통에 관한 논고」
■ 프랭클린의 최초의 유교적 수신 시도
■ 「중국철학자 공자의 도덕(The Morals of Confucius, a Chinese Philosopher)」의 내용분석
■ 자기도야를 위한 프랭클린의 13개 덕목 리스트
■ 식민지 주민에 대한 프랭클린의 도덕·정치철학 교육과 수신기술의 보급
■ 유교적 덕성주의에 대한 프랭클린의 확신과 덕성철학의 보급 노력
■ ‘미국유생’ 프랭클린의 ‘효제·효자’·‘신상紳商’으로서의 삶
1.2. 공자의 “정자정야政者正也”와 프랭클린의 “정직은 최선의 정치다”
■ “Honesty is the best policy”의 유교적 전의: ‘진실’에서 ‘도의’로
■ “Honest is the best policy”는 개신교 윤리인가?
1.3. 프랭클린의 중국통치제도 연구와 활용
■ 「중국으로부터의 편지(A Letter from China)」(1788)
■ 중국사법司法에 대한 프랭클린의 관심과 중국법전 입수를 위한 외교 구상
■ 중국의 국가통계제도에 대한 프랭클린의 관심과 통계제도 도입 촉구
■ 중국의 영예상향 원칙을 활용한 프랭클린의 ‘귀족공화국’의 저지
■ 중국의 경제정책에 대한 프랭클린의 관심과 도입 노력
■ 노예해방의 원칙수립과 관철노력
1.4. 프랭클린의 중국농업·산업기술 연구와 보급
■ 프랭클린의 중국식물 도입
■ 도자기와 도예기술에 대한 프랭클린의 관심과 연구
■ 중국 양잠기술의 연구와 도입
■ 중국식 난방시스템의 도입과 개량
■ 중국 항해·제지기술의 연구와 만리장성의 축성 계획 및 중국 연鳶의 모방
제2절 토마스 제퍼슨의 공자철학과 시누아즈리
2.1. 토마스 제퍼슨의 공자철학과의 접촉
■ 토마스 제퍼슨의 정치철학과 공자철학의 연속성과 친화성
■ 제퍼슨과 공자철학의 이른 조우와 활용
2.2. 공자철학과 제퍼슨의 계몽철학 간의 구체적 연관
■ 공자의 “정자정야”와 제퍼슨의 “통치의 전 기술은 정직함의 기술에 있다”
■ 대통령 취임연설에서 개진된 유교적 도덕원칙
■ 제퍼슨의 유교적 종교관
■ 제퍼슨의 유교적 종교자유론
■ “A Benign Religion”의 정체
■ 제퍼슨의 유교적 선정善政 개념
■ 제퍼슨의 유교적 행복국가론
■ 대통령 제퍼슨의 스크랩북과 「아주 오래된 중국 송시」
2.3. 중국 신사제도와 제퍼슨의 ‘자연적 귀족’ 개념 및 교육이론
■ 중국의 ‘신사’와 제퍼슨의 ‘자연적 귀족’
■ 신시내티협회의 귀족제 도입 기도에 대한 제퍼슨의 저지
■ 제퍼슨의 중국식 근대 교육제도 법안
■ 제퍼슨의 버지니아대학교 설립
■ 제퍼슨의 근대적 학교제도 법안의 전위적 성격과 사후적 실현
2.4. 봉건적 장원 청산과 노예제 폐지를 위한 제퍼슨의 분투
■ 제퍼슨이 읽은 르콩트와 뒤알드의 중국론: “노비 없는 소농사회”
■ 17-18세기 중국의 “노예 없는 소농사회”, 그 형성과 발전
- 노비해방과 이중소유권: 소농경제와 경자유전 원칙의 확립
■ 버지니아 토지개혁과 소농체계 수립을 위한 제퍼슨의 분투
■ 노예제 폐지를 위한 제퍼슨의 입법화 투쟁
2.5. 제퍼슨의 시누아즈리와 중국정원의 애호
■ 제퍼슨의 시누아즈리 건물과 정원
■ 시누아즈리 농작물 코친차이나산 산도(밭벼)의 도입
제3절 다른 국부들의 공자숭배와 시누아즈리
3.1. 조지 워싱턴과 존 애덤스의 중국애호심과 시누아즈리
■ 조지 워싱턴의 대對중국 직접교역과 중국모방적 고립주의 및 시누아즈리
■ 위싱턴의 중국적 미감과 시누아즈리
■ 존 애덤스의 중국애호주의와 공자철학 지식
3.2. 존 제이와 알렉산더 해밀턴의 중국중시론과 공자숭배
■ 존 제이의 은연한 공자숭배와 중국관심
■ 알렉산더 해밀턴의 중국중시론
3.3. 제임스 매디슨, 토마스 페인과 벤저민 러시의 중국열광
■ 제임스 매디슨의 중국지식과 공자 추앙
■ 토마스 페인의 공자 숭배
■ 벤저민 러시의 공자숭배와 중국애호
제4절 건국 전후 미국 철학자·과학자·문인들의 공자추앙
4.1. 바트램, 로건, 발로우, 모스, 드링커의 공자숭배
■ 식물학자 바트램의 공자숭배
■ 책을 사랑한 철학자 제임스 로건의 공자숭배
■ 시를 쓴 법조인 조엘 발로우의 공자 존숭
■ 인문지리학자 제디디아 모스의 공자 찬양
■ 엘리자베스 드링커의 공자 찬양
■ 익명 또는 가명 필자들의 공자숭배
4.2. ‘미국의 공자’ 랄프 왈도 에머슨의 유교철학
■ 랄프 에머슨의 초월주의와 공자철학의 결합
■ 공맹철학과 중국 정치제도에 대한 에머슨의 찬양과 추종
■ 에머슨의 최초의 저서 「자연본성」에 스며있는 공자 논지들
■ 에머슨의 공자주의적 우정友情 이론
■ 에머슨의 총괄적 공자상
4.3. ‘미국 유자’ 헨리 데이비드 소로와 공자철학
■ ‘미공간 초고’ 속의 96개 공맹어록의 영역문에 대한 분석
■ 시민불복종」의 유교적 본질: ‘무도은둔無道隱遁’으로서의 ‘시민불복종’
제2장 공자철학과 미국 독립사상의 형성
제1절 공맹의 자유·평등·혁명철학과 귀천 없는 중국사회
1.1. 공자의 태생적 자유철학과 극동의 백성자치 사회
■ 치자의 ‘무위이치無爲而治’ 이념: 백성의 소극적 자유의 전제
공자의 ‘덕치’로서의 ‘무위이치’와 노자의 ‘무위자연’의 차이
■ 백성의 적극적 자유로서의 ‘백성자치’ 이념과 자치제도
■ 무위無爲경제와 자유교역: 자유시장의 이념과 제도
1.2. 공자의 태생적 평등철학과 귀천 없는 중국사회
■ 공자의 자연적·태생적 평등이념(무생귀자無生貴者·무류균등無類均等)
■ 교육과 관직의 기회균등(有敎無類·士無世官) 원칙
■ 노비제의 철폐와 완전 평등사회의 구현
■ 남녀·부부·부자·군신 간의 구별과 평등
■ 선후관계·상하관계·지배관계의 구분
■ 경제적 불평등 문제와 균제均齊정책
저자소개
책속에서
대륙회의 펜실베이니아 대표로서 ‘미국정신의 창조자’ 중의 한 사람인 벤저민 프랭클린(Benjamin Franklin,1706-1790)은 그의 인생 스토리가 곧 “미국의 탄생 스토리”이고 “미국을 그 자신의 마음속에서 발견한 다음”, 이 마음속의 미국을 “현실세계 속에서 전체적으로 창건하는 것을 도운” 점에서 “미국인들의 마음과 정신 속에서 특별한 위치를 점한다.” 그는 분명 “미국에 살았던 사람들 중 가장 훌륭한 정신”의 소유자였다. 그는 미국이 선택해야만 하는 노선의 명백한 비전을 가지고 있었고, 많은 시간을 이 비전의 성취를 확실히 하는 데 쏟아부었다. 그의 사상과 비전은 우리가 알고 있는 미국의 기초를 놓는 데 도움을 주었다. 미국인들은 그가 미국의 형성기에 “활수하고, 열린 마음과 배움이 있고, 관대했기” 때문에 그에게 존경을 표한다. 미국의 형성기는 미국 역사에서 “협애성, 미신, 황량한 신앙으로 두드러졌던” 특별한 시기였다. 프랭클린의 미국비전은 ‘유럽문명’과 아주 다른 ‘미국문명’을 중국의 유교문명으로부터 그 긍정적 요소들을 끌어와 건설하는 것이었다. 그는 자신의 도덕적 품성도 유교적 덕성개념에 따라 수신했다. 프랭클린은 “유교적 혁명가(the Confucian revolutionary)”의 전형이었던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