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철학 일반 > 교양 철학
· ISBN : 9791171172191
· 쪽수 : 340쪽
· 출판일 : 2023-11-29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며 우리는 여전히 인간답기 바라는가
CHAPTER 1
입문 • 인간다운 삶을 지탱하는 최소한의 조건
어떤 사람으로 남고 싶은가
인간을 인간답게 하는 것
공감, 인간다운 삶의 문을 여는 첫 번째 관문
이성, 우리 안의 기준이 흔들릴 때 필요한 힘
자유, 독립적인 삶으로 완성하는 인간다움
수천 년을 건너 영글어 낸 인류의 자산
CHAPTER 2
고대 • 이끌리는 삶이냐, 개척하는 삶이냐
인간은 만물의 지배자인가
신화의 세계관에 완전한 개인은 없다
이성의 도전, 운명에 이끌리는 삶을 거부하다
소크라테스에서 아리스토텔레스까지, 고대의 인간다움
굳은 길에서 피어난 위대한 이성의 한계
CHAPTER 3
중세 • 내면세계라는 집을 짓는 기나긴 여정
나약한 인간의 시대
전쟁은 인간의 이성을 위축시킨다
혼란과 폭력의 세계에 등장한 위대한 신
차가운 이성 VS 뜨거운 의지, 아우구스티누스의 시대정신
평등과 내면세계의 확장, 존엄한 인간을 위한 전환기
CHAPTER 4
근대 • 개인의 탄생, 온전하고 자유로운 삶의 발견
세상의 중심에서 ‘나’를 외치다
자기다운 삶을 향한 르네상스인의 도전
새로운 시대의 신호탄, 종교개혁과 개인주의 선언
개인주의적 자유주의는 어떻게 확산되는가
이성의 시대는 개인의 시대와 함께 흘러간다
모나리자의 미소에 담긴 시대사적 혁명
이성과 쾌락의 이중주에서 균형 잡기
CHAPTER 5
현대 • 포화 속에 흔들리는 위기의 인간
도전받는 인간 존엄, 부정당하는 이성
니체의 망치가 내려친 곳에 공감의 자리는 없다
진정한 자유를 방해하는 자유
진화론은 인간다움을 어떻게 정의하는가
인간다움은 생물학의 울타리를 넘어선다
이성에 대한 반발, 반이성주의의 비극
자유의 확대인가, 이성의 과장인가
CHAPTER 6
미래 • 나는 무엇이 되어야 하는가
다시 포화 속에서 마주하는 격변의 시대
인공지능과 생명과학의 조우, 그리고 인간다움
마음과 세계는 서로를 변화시킨다
인감다움은 어떤 도전을 받고 있는가
우리의 공감 능력이 점점 묽어지는 이유
인공지능이 선택을 대신하는 삶의 미래
나는 누구인가
나가며 인간다움에 대한 고민 없이 미래를 꿈꿀 수 있는가
주석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내면세계를 구성하는 많은 항목 중에서 인간다움을 선택한 이유는 인간다움이 한 시대의 이정표와 같은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나아가 미래를 진단하는 방향키와 같기 때문이다. 세상의 변화에 어떤 태도를 취해야 할지 결정할 때 인간다움보다 좋은 척도는 없다.
【들어가며|우리는 여전히 인간답기 바라는가】
주변을 돌아보면 도처에서 사람들이 인간성을 잃어간다고 말한다. 사실 이런 말은 요즘의 얘기만은 아니다. 20세기, 19세기, 18세기, 역사의 매 순간마다 했던 말이다. 아마도 역사상 존재했던 모든 기성세대는 “나 때는 이렇지 않았는데 세상이 비인간적이야.”라고 말했을 것이다. 그만큼 우리는 ‘인간다움’에 대한 애착을 놓지 못하고 있다.
【CHAPTER 1|입문 • 인간다운 삶을 지탱하는 최소한의 조건】
인간의 삶이 신의 손에 놓여 있다는 운명론적인 이야기는 철학이 출현한 기원전 7~8세기 무렵부터 변화하기 시작한다. 역사가 신들의 이야기, 즉 미토스(mythos)인 것만은 아니며 인간도 삶의 주역이 될 수 있다는 생각이 나타난 것이다. 그리고 역사 속에 인간의 이야기가 차지하는 비중이 점차 확대된다. 이러한 전환의 시대에 인간을 수동적 위치에서 개척자의 위치로 변화시키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한 것은 바로 ‘이성’이다.
【CHAPTER 2|고대 • 이끌리는 삶이냐, 개척하는 삶이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