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식민지 산업기반 침탈 3

식민지 산업기반 침탈 3

(도로 항만 정책의 수립과 운영)

이명학, 고태우, 구병준, 김태현, 노상균, 박우현, 박정민, 박진서, 이민성, 주동빈 (지은이), 동북아역사재단 일제침탈사 편찬위원회 (기획)
동북아역사재단
4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6,000원 -10% 0원
2,000원
34,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4개 35,12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24,000원 -10% 1200원 20,400원 >

책 이미지

식민지 산업기반 침탈 3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식민지 산업기반 침탈 3 (도로 항만 정책의 수립과 운영)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일제치하/항일시대
· ISBN : 9791171611683
· 쪽수 : 782쪽
· 출판일 : 2024-12-30

책 소개

일제침탈사 자료총서 경제편 『식민지 산업기반 침탈』 제3권으로 항만과 도로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 인프라로서의 항만과 도로는 일제 강점기에 정비 되었는데 그 목적이 한반도의 자원 공급기지로서의 확충과 대륙 침략을 지원하기 위한 것이었다는 점을 정리하고 있다.

목차

발간사
편찬사
편역자 서문

제1부 항만
I 관련 신문기사

〈해제〉
1 일제의 대륙 침략과 항만 건설
2 항만 무역과 미곡 유출
3 항만 노동자와 파업

II 실행 계획과 내용
〈해제〉
1 1910~1920년대 식민지 무역 구조의 형성과 항만 건설
2 1930년대 초 · 중반 일제의 대륙 침략과 북선 지역의 항만 ‘개발’
3 1930년대 후반 이후 식민지 조선의 병참기지화와 전시 물자 수송을 위한 항만 확충

III 관련 법령
〈해제〉

IV 실행 결과
〈해제〉

제2부 도로
Ⅴ 관련 신문기사

〈해제〉
1 도로 용지 수용과 토지 소유자에 대한 강제적 비용 전가
2 도로의 위치와 지역 · 민족 간 차별
3 도로 건설 부역과 조선인의 저항

Ⅵ 실행 계획과 내용
〈해제〉
1 제1~2기 치도사업
2 북선개척사업과 궁민구제사업의 도로 건설
3 도로를 이용한 전시 물자의 공급과 금 수탈

Ⅶ 관련 법령
〈해제〉
Ⅷ 실행 결과
〈해제〉

참고문헌
자료목록
찾아보기

저자소개

박우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원 연구교수.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에서 일제 시기 조선총독부의 재정 운영과 철도 등 인프라 구축을 주제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제국주의와 자본이 맺는 관계를 중심으로 식민지자본주의를 분석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중앙대학교 교양대학,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강사를 거쳤다. 지은 책으로 《식민통치의 혈관을 놓다》, 《우리는 지난 100년 동안 어떻게 살았을까 2》(공저), 《조선총독부의 재정정책》(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김태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역사문제연구소 연구원 식민지시기 산림이용권을 둘러싼 갈등과 그 성격 (역사문제연구 26, 2022), 일제강점기 조선의 목재수급과 산림자원의 변화-빈약한 산림자원, 과도한 용재생산 (공동연구, 아세아연구 64,2021), ‘신의주·안동’ 지역 밀무역 단속의 변화와 밀수출품 운반업자의 대응(1929~1937) (한국문화 89, 2020), ‘신의주·안동’ 간 밀무역 단속 전개과정과 조선총독부의 대응(1928~1932)(한국사연구 183, 2018) 등
펼치기
이민성 (지은이)    정보 더보기
건국대학교 사학과 박사수료 3·1운동 100년 2(공저, 휴머니스트, 2019), 1928년 식민지 조선 ‘병비충실’ 운동의 추이와 성격(한국문화 97, 2022), 1910년대 중반 조선 주둔 일본군 군영 배치계획과 軍營 유치운동의 양상(한국근현대사연구 83, 2017) 등
펼치기
구병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독립기념관 연구원 조선간이생명보험의 재정구조와 적립금 운용(1929-1937)(한국문화 97, 2022), 1929년 조선총독부의 조선간이생명보험 법령 제정과 보험 재정의 이중적 취약 구조: 조선간이생명보험령의 예정 이율과 사망률 규정을 중심으로 (역사연구 42, 2021), 조선총독부의 인구관리와 영아사망률 통계 문제 (역사문제연구 44, 2020) 등
펼치기
이명학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교원대학교 한국근대교육사연구센터 전임연구원 1930년대 조선총독부의 주택금융 도입과 도시금융조합의 자금 운용 (한국사연구 198, 2022), 총동원체제기(1938~45년) 조선총독부 공영주택정책의 운영 실태와 조선인의 주변화-부영주택(府營住宅)을 중심으로 (역사와 경계 120, 2021), 일제시기 행정구역의 개편과 명칭의 변화-면을 중심으로 (한국독립운동사연구 70, 2020) 등
펼치기
주동빈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기술교육대학교 교양학부 조교수.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에서 일제 시기 도시정치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일제 시기 민족운동과 도시정치, 도시 인프라의 삼각관계 분석을 통해 한국 민족주의의 이면을 탐색하고 있다. 육군사관학교와 중앙대학교 강사, 서울시립대학교 연구교수를 거쳤다. 지은 책으로 《우리는 지난 100년 동안 어떻게 살았을까 2》(공저), 《쉽게 읽는 서울사: 현대편 1》(공저), 《3·1운동 100년 3》(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노상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선임연구원 「민족국가 부재 하에 경제발전 모색과 굴절-한말 계몽운동기 식산흥업론을 중심으로-」(『한국독 립운동사연구』 79, 2022), 「1910년대 한반도 중북부 지역 상점 상인의 존재형태와 동향 」(『한국근현대사연구』 107, 2023), 「일제시기 흥신소 연구-‘저신용사회’ 식민지 조선의 사설조사기관-」 (『한국사학보』 95, 2024) 등
펼치기
박정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역사문제연구소 연구원 「1920~30년대 후반 소래 지역의 성쇠와 지역사회의 대응」(『인문논총』 81-3, 2024), 「물을 둘러싼 “도시 대 농촌의 항쟁”: 1930년대 포항 상수도 수원지의 이전을 둘러싼 포항읍-흥해면 지역사회 의 대립」(『역사문제연구』 53, 2023) 등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716118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