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식민지 산업기반 침탈

식민지 산업기반 침탈 (1)

(조선 철도 정책의 수립과 운영)

양지혜, 박우현, 김태현, 이민성, 고태우, 구병준, 이명학, 박진서 (지은이), 동북아역사재단 일제침탈사 편찬위원회 (기획)
동북아역사재단
4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6,000원 -10% 0원
2,000원
34,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24,000원 -10% 1200원 20,400원 >

책 이미지

식민지 산업기반 침탈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식민지 산업기반 침탈 (1) (조선 철도 정책의 수립과 운영)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일제치하/항일시대
· ISBN : 9788961876988
· 쪽수 : 770쪽
· 출판일 : 2021-12-31

책 소개

일제침탈사 자료총서 43권. 일제하 한국철도의 구상과 정책, 건설과 운영, 그 결과와 영향에 관한 방대한 자료 중 반드시 참고해야 하는 핵심 자료를 선별 수록했다. 이를 통해 명확한 자료를 바탕으로 일제하 철도 형성의 역사와 침탈성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차례

발간사 4
편찬사 6
편역자서문 12

I 관련 신문 기사 17
<해제> 18
1 일본 · 일본인 본위의 철도 개발 비판 23
2 조선 · 조선인 본위의 철도 개발 요구 54
3 철도와 저항 90
4 철도와 고용 차별 104
5 철도와 사고 117
6 철도와 통학 123
7 철도와 전쟁 131
8 철도와 관광 140

II 실행 계획과 내용 145
<해제> 146
1 한국병탄 직후 일본의 대륙침략 구상과 조선철도계획 161
2 1910년대 일본 육군의 만주침략 구상과 조선철도의 만철 위탁경영 170
3 1920년대 자원 수탈을 위한 철도정책으로의 전환 187
4 1920년대 조선철도12년계획의 구상과 수립 194
5 1931년 만주사변의 발발과 북선철도계획의 수립 339
6 전시하 일본제국의 연락 강화와 조선철도 구상 344
7 일제하 조선철도의 시기별 주요 정책과 그 시행 353
8 일제하 조선철도의 각 노선별 건설과 개량 391
9 일제하 조선철도의 영업 447
10 일제하 조선철도의 수입과 지출 485
11 일제하 조선철도의 운영 기구와 조직 500
12 전시 말 조선철도의 재편 553
13 해방 직전 조선철도의 실태 566

III 관련 법령
579
<해제> 580
1 조선총독부철도국관제 581
2 조선총독부철도국사무분장규정 605
3 조선국유철도건설규정 627
4 조선사설철도보조법 637

IV 실행 결과 643
<해제> 639
1 조선철도의 운영 양상 646
2 조선철도의 투자 규모와 개업 현황 652
3 조선철도의 재정 상태 669

자료목록 679
참고문헌 689
찾아보기 693

저자소개

박우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원 연구교수.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에서 일제 시기 조선총독부의 재정 운영과 철도 등 인프라 구축을 주제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제국주의와 자본이 맺는 관계를 중심으로 식민지자본주의를 분석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중앙대학교 교양대학,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강사를 거쳤다. 지은 책으로 《식민통치의 혈관을 놓다》, 《우리는 지난 100년 동안 어떻게 살았을까 2》(공저), 《조선총독부의 재정정책》(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양지혜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북아역사재단 연구위원 탁상 위의 유토피아-일제하 조선 북부의 개척촌 조성과 실패(사림 81, 2022), 근현대 한국의 광업개발과 ‘공해(公害)’라는 느린 폭력(역사비평 134, 2021), 일제하 대형 댐의 건설과 ‘개발재난’(한국문화 89, 2020), 일제하 일본질소비료(주)의 흥남 건설과 지역사회(한양대학교대학원 사학과 박사학위논문, 2020) 등
펼치기
김태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역사문제연구소 연구원 식민지시기 산림이용권을 둘러싼 갈등과 그 성격 (역사문제연구 26, 2022), 일제강점기 조선의 목재수급과 산림자원의 변화-빈약한 산림자원, 과도한 용재생산 (공동연구, 아세아연구 64,2021), ‘신의주·안동’ 지역 밀무역 단속의 변화와 밀수출품 운반업자의 대응(1929~1937) (한국문화 89, 2020), ‘신의주·안동’ 간 밀무역 단속 전개과정과 조선총독부의 대응(1928~1932)(한국사연구 183, 2018) 등
펼치기
이민성 (지은이)    정보 더보기
건국대학교 사학과 박사수료 3·1운동 100년 2(공저, 휴머니스트, 2019), 1928년 식민지 조선 ‘병비충실’ 운동의 추이와 성격(한국문화 97, 2022), 1910년대 중반 조선 주둔 일본군 군영 배치계획과 軍營 유치운동의 양상(한국근현대사연구 83, 2017) 등
펼치기
고태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조교수 1970년대 한국의 공해(公害) 상황과 재난 인식(개념과 소통 28, 2021), 기후, 날씨와도 싸워야 했던 일본제국주의, 그리고 식민지민-길었던 한 해, 1939년 조선 대가뭄의 양상과 그 여파(역사와 현실 118, 2020), 개발의 문턱 앞에서: 1920년대 식민지 조선의 개발운동(사회와 역사 128, 2020), 일제하 토건업계와 식민지 개발 (연세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박사학위논문, 2019) 등
펼치기
구병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독립기념관 연구원 조선간이생명보험의 재정구조와 적립금 운용(1929-1937)(한국문화 97, 2022), 1929년 조선총독부의 조선간이생명보험 법령 제정과 보험 재정의 이중적 취약 구조: 조선간이생명보험령의 예정 이율과 사망률 규정을 중심으로 (역사연구 42, 2021), 조선총독부의 인구관리와 영아사망률 통계 문제 (역사문제연구 44, 2020) 등
펼치기
이명학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교원대학교 한국근대교육사연구센터 전임연구원 1930년대 조선총독부의 주택금융 도입과 도시금융조합의 자금 운용 (한국사연구 198, 2022), 총동원체제기(1938~45년) 조선총독부 공영주택정책의 운영 실태와 조선인의 주변화-부영주택(府營住宅)을 중심으로 (역사와 경계 120, 2021), 일제시기 행정구역의 개편과 명칭의 변화-면을 중심으로 (한국독립운동사연구 70, 2020) 등
펼치기
박진서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박사과정 재난과 난민(공저, 조선대학교 재난인문학 연구사업단, 2022), 전시체제기 강제동원 조선인 노무자의 ‘노동재해’-사고 원인 분석의 정치성에 주목하여(인하대학교 대학원 한국학과 석사학위논문, 2019) 등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