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큰글자책] 태평광기초 2](/img_thumb2/9791173070051.jpg)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중국소설
· ISBN : 9791173070051
· 쪽수 : 558쪽
· 출판일 : 2024-11-28
책 소개
목차
선(仙) 6
6-1(0084) 황 존사(黃尊師)
6-2(0085) 후도화(侯道華)
6-3(0086) 이팔백과 당공방 부(李八百·唐公昉附)
6-4(0087) 의군현의 왕씨 노인(宜君王老)
6-5(0088) 약 파는 노인(賣藥翁)
6-6(0089) 위백양(魏伯陽)
6-7(0090) 선평방의 노인(宣平坊老人)
6-8(0091) 배심(裴諶)
6-9(0092) 노생과 이생(盧李·二生)
6-10(0093) 위선준(韋善俊)
6-11(0094) 설 존사(薛尊師)
6-12(0095) 진안세(陳安世)
6-13(0096) 기린객(麒麟客)
6-14(0097) 이중보(李仲甫)
6-15(0098) 여구자(閭丘子)
6-16(0099) 형문의 걸인(荊門乞者)
6-17(0100) 난릉리의 노인과 난릉리의 도사(蘭陵老人·蘭陵黃冠)
6-18(0101) 헌원미명(軒轅彌明)
6-19(0102) 두자춘(杜子春)
권7 선부(仙部)
선(仙) 7
7-1(0103) 스님 계허(僧契虛)
7-2(0104) 설봉(薛逢)
7-3(0105) 자심 선인(慈心仙人)
7-4(0106) 약 파는 도사(賣藥道士)
7-5(0107) 이기현해(伊祈玄解)
7-6(0108) 원장기(元藏機)
7-7(0109) 숭악에서의 혼례(嵩岳嫁女)
7-8(0110) 음은객의 일꾼(陰隱客工人)
7-9(0111) 이청(李淸)
7-10(0112) 원 공과 유 공(元柳·二公)
7-11(0113) 고원지(古元之)
7-12(0114) 양옹백(陽翁伯)
7-13(0115) 이각(李珏)
7-14(0116) 정약(丁約)
7-15(0117) 소정지(蕭靜之)
7-16(0118) 주유자(朱孺子)
7-17(0119) 진사(陳師)
7-18(0120) 여생(呂生)
7-19(0121) 귤 속의 노인(橘中?)
권8 여선부(女仙部)
여선(女仙) 1
8-1(0122) 서왕모(西王母)
8-2(0123) 옥치 낭자(玉卮娘子)
8-3(0124) 운화 부인(雲華夫人)
8-4(0125) 현천의 두 여인(玄天二女)
8-5(0126) 태음 부인(太陰夫人)
8-6(0127) 직녀성·무녀성·수녀성(織女·婺女·須女星)
8-7(0128) 청동군(靑童君)
8-8(0129) 성공지경(成公智瓊)
8-9(0130) 양옥청(梁玉淸)
8-10(0131) 두난향(杜蘭香)
8-11(0132) 허비경(許飛瓊)
8-12(0133) 명성 옥녀(明星玉女)
8-13(0134) 여산의 노모(驪山老母)
8-14(0135) 진진(眞眞)
8-15(0136) 강비(江妃)
8-16(0137) 흰 소라 여자(白螺女子)
8-17(0138) 옥예원의 여선(玉?院女仙)
8-18(0139) 반맹(班孟)
8-19(0140) 원객의 처(園客妻)
8-20(0141) 채 여선(蔡女仙)
8-21(0142) 차 파는 노파(茶姥)
권9 여선부(女仙部)
여선(女仙) 2
9-1(0143) 진나라 때의 부인(秦時夫人)
9-2(0144) 서하의 소녀(西河少女)
9-3(0145) 여궤(女几)
9-4(0146) 위 부인(魏夫人)
9-5(0147) 사자연(謝自然)
9-6(0148) 묘녀(妙女)
9-7(0149) 양정견(楊正見)
9-8(0150) 배현정(裴玄靜)
9-9(0151) 번 부인과 운영(樊夫人·雲英)
9-10(0152) 포고(鮑姑)
9-11(0153) 장운용(張雲容)
9-12(0154) 노미낭(盧眉娘)
9-13(0155) 왕민의 고모(王旻姑)
권10 도술부(道術部)
도술(道術)
10-1(0156) 조고(趙高)
10-2(0157) 이자장(李子萇)
10-3(0158) 조후(趙侯)
10-4(0159) 왕상(王常)
10-5(0160) 노새 모는 사람(?鞭客)
10-6(0161) 최현량(崔玄亮)
10-7(0162) 가탐(賈耽)
10-8(0163) 서명부(徐明府)
10-9(0164) 이객(李客)
10-10(0165) 왕수일(王守一)
10-11(0166) 비계사(費鷄師)
10-12(0167) 진채(陳寨)
10-13(0168) 낙현소(駱玄素)
10-14(0169) 장사평(張士平)
10-15(0170) 풍점(馮漸)
10-16(0171) 원조(元兆)
10-17(0172) 양창(楊瑒)
10-18(0173) 육법화(陸法和)
10-19(0174) 북산의 도인(北山道者)
10-20(0175) 동명관의 도사(東明觀道士)
10-21(0176) 장 산인(張山人)
10-22(0177) 백교(白皎)
10-23(0178) 유 처사(劉處士)
10-24(0179) 주열(朱悅)
10-25(0180) 이 수재(李秀才)
10-26(0181) 양 거사(楊居士)
10-27(0182) 유씨 노인(兪叟)
10-28(0183) 진계경(陳季卿)
10-29(0184) 당 거사와 주생(唐居士·周生)
10-30(0185) 조지미(趙知微)
10-31(0186) 장사정(張士政)
10-32(0187) 유성(柳城)
10-33(0188) 주은극(周隱克)
10-34(0189) 명숭엄(明崇儼)
10-35(0190) 정사(鼎師)
10-36(0191) 허원장(許元長)
10-37(0192) 장식(張殖)
10-38(0193) 주현자(周賢者)
10-39(0194) 상도무(桑道茂)
10-40(0195) 가농(賈籠)
10-41(0196) 묘진경(苗晉卿)
10-42(0197) 노구(盧求)
10-43(0198) 귀를 막는 도사(掩耳道士)
책속에서
6-7(0090) 선평방의 노인(宣平坊老人)
[당나라] 하지장(賀知章)은 서경(西京 : 장안) 선평방(宣平坊)에 집이 있었다. 대문 맞은편에 작은 판자문이 있었는데, 한 노인이 나귀를 타고 그곳을 드나드는 것을 늘 보았다. 5∼6년 동안 지켜보았는데, 노인의 안색과 의복은 예전 그대로였으며, 집안 식구들도 보이지 않았다. 마을 사람들에게 물어보았더니, 모두 말하길, 그 사람은 서시(西市)에서 돈꿰미를 파는 왕(王) 노인이며 다른 직업은 없다고 했다. 하지장은 그가 비범한 사람임을 알아차리고 한가한 때에 그를 찾아갔다. 서로 왕래하면서 공경심이 점점 깊어지고 언담도 점점 친밀하게 나누게 되자, 마침내 노인은 자신이 황백술(黃白術)에 뛰어나다고 말했다. 하지장은 평소 도술에 대한 믿음이 강했으므로 그를 맞이해 섬기길 원했다. 나중에 부인과 함께 명주(明珠) 하나를 가지고 가서 스스로 말하길, 고향에 있을 때 이 명주를 얻어 오랫동안 간직하며 아껴 왔는데 특별히 노인에게 바쳐 도법을 전해 주길 청한다고 했다. 노인은 곧장 그 명주를 동자에게 주면서 그것으로 떡을 사 오라고 했다. 협 : 절묘하도다! 미 : 바로 이것이 도법을 잘 설명해 주는 대목이다. 동자는 명주로 30여 개의 호떡을 바꿔 와서 하지장에게 대접했다. 하지장은 노인이 보배로운 명주를 너무 가볍게 써 버린다고 속으로 생각하며 마음이 몹시 불쾌했다. 노인이 말했다.
“대저 도라는 것은 마음으로 터득할 수 있으니, 어찌 힘써 다툰다고 되는 일이겠소? 재물을 아까워하는 마음을 멈추지 않는다면 도술은 이룰 수 없소. 마땅히 깊은 산과 궁벽한 골짜기에서 열심히 수련해 이루어야 하니, 시정에서 전수할 수 있는 바가 아니오.”
하지장은 마음으로 자못 깨달음을 얻어 그에게 감사하고 떠났다. 며칠 뒤 노인은 어디론가 사라졌다. 하지장은 사직을 청한 뒤 고향으로 돌아가 도문(道門)에 들어갔다.
8-14(0135) 진진(眞眞)
당(唐)나라의 진사(進士) 조안(趙顔)은 화공에게서 그림 족자 하나를 얻었는데, 거기에 아주 아름다운 여인이 그려져 있었다. 조안이 화공에게 말했다.
“세상에 이런 사람은 없소. 하지만 어떻게 해서든지 살아나게 할 수만 있다면 나는 그녀를 아내로 맞이하고 싶소.”
화공이 말했다.
“나는 입신(入神)의 경지에 든 화가입니다. 이 여인에게도 이름이 있으니 진진이라고 합니다. 그 이름을 100일 동안 밤낮으로 쉬지 않고 부르면 틀림없이 응답할 것이니, 응답할 때 백가채회주(百家彩灰酒)를 그녀의 입에 흘려 넣으면 반드시 살아날 것입니다.”
조안이 화공의 말대로 100일 동안 밤낮으로 쉬지 않고 그녀의 이름을 불렀더니, 마침내 그녀가 “예” 하고 응답했다. 조안이 급히 백가채회주를 그녀의 입에 흘려 넣자, 마침내 그녀는 살아나 족자에서 내려와 걷고 말하고 웃었으며 보통 사람처럼 먹고 마셨다. 진진이 말했다.
“감사하게도 당신이 소첩을 불러 주셨으니, 소첩은 아내로서 당신을 섬기고 싶습니다.”
1년 뒤에 진진은 아들 하나를 낳았다. 그 아들이 두 살 되었을 때 조안의 친구가 말했다.
“이 여자는 요괴이니 틀림없이 자네에게 재앙을 가져다줄 것이네. 나에게 신검(神劒)이 있으니 그것으로 그녀를 베도록 하게.”
그날 저녁에 친구가 조안에게 그 검을 보내왔다. 검이 조안의 집에 도착하자마자 진진이 울면서 말했다.
“소첩은 남악(南岳 : 형산)의 지선(地仙)입니다. 난데없이 어떤 사람이 소첩의 형상을 그리더니 당신이 또 소첩의 이름을 부르기에 당신의 소원을 저버릴 수 없었습니다. 그런데 지금 당신이 소첩을 의심하시니 소첩은 이곳에 머물 수 없습니다.”
진진은 말을 마친 뒤 아들을 데리고 예전의 족자로 도로 올라가더니 이전에 마셨던 백가채회주를 토해 냈다. 그 족자를 살펴보았더니 아이 하나만 더 첨가되어 있었으며 모두 그림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