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열어보지 말 것 (미니어처 왕국 훔쳐보기)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판타지/환상문학 > 외국판타지/환상소설
· ISBN : 9791173183980
· 쪽수 : 432쪽
· 출판일 : 2025-06-30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판타지/환상문학 > 외국판타지/환상소설
· ISBN : 9791173183980
· 쪽수 : 432쪽
· 출판일 : 2025-06-30
책 소개
세계관을 공유하는 이 여섯 편의 이야기는 모두 독립적인 서사를 품고 있지만 정교하게 맞물리며 하나의 이야기로 완성된다. 시작은 작은 상자 하나이지만, 현실과 비현실, 관찰과 개입, 성장과 상실이라는 목표로 나아가기 위해 세계관을 밀도 있게 쌓아 올리는 보기 드문 작품이다.
폭우 속에서 엄마가 사라진 그날, 흙더미에 밀려온 나무상자 하나를 주웠다.
친절한 흡혈귀, 시간을 이동하는 시계, 자아를 가진 로봇….
“미니어처 왕국은 대체 어떤 곳인가?”
작은 것을 열면 큰 세계가 펼쳐진다
《열어보지 말 것》은 작고 평범한 상자 하나로부터 시작된다. 주인공 소년은 어머니를 잃었던 어느 폭우의 날, 진흙더미 속에서 나무 상자를 하나 줍는다. 그런데 그 상자 속에는 정교하게 움직이는 세계가 하나 존재한다. 숲과 마을, 사람, 성, 그리고 용과 흡혈귀까지. 미니어처 왕국처럼 보이는 그 세계는 실제처럼 살아 숨 쉰다. 처음에 단순한 관찰의 대상에 불과했던 그 세계는 점차 소년의 유일한 탈출구가 되고, 곧이어 다른 인물 ‘에카게 구미’를 통해 진짜 전환점을 맞는다. 과연… 우리는 상자 속 세계로 들어가 살아남을 수 있을까?
여섯 편의 이야기는 모두 세계관을 공유하지만 서로 다른 서사를 풀어낸다. 그리고 다섯 개의 조각 이야기들이 이 모든 서사를 엮어 하나의 세계관으로 완성해 낸다. 각 이야기는 독립적으로 읽히나 서로의 파편을 반사하며 하나의 거대한 세계를 구성한다. 특히 상자 속 세계의 흥망과 혁명은 단순한 판타지를 넘어 마치 우리가 사는 사회의 구조나 윤리, 권력을 반영하는 듯하다. 일본의 스타 작가인 쓰네카와 고타로는 이 모든 것을 ‘작은 것’에서 시작한다. 관찰만 하던 인물이 결국 변화에 개입하고, 상자 속 미니어처 왕국은 더 이상 모형 세계가 아닌 거대한 서사의 무대로 확장된다.
이 책은 작은 것을 열었을 때 일어나는 세계의 균열과 진화를 담아내고 있다. 그러한 맥락에서 보자면 진정한 울림은 단지 환상적인 설정에서 오는 것이 아니라, 그 안에서 선택하고 행동하는 사람들의 이야기에서 비롯된다. 책의 제목은 ‘열지 말라’고 말하지만, 우리는 곧 알게 된다. 상자를 열지 않으면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는다는 사실을 말이다. 그러니까 결국 모든 이야기는 작게 열린 틈에서 시작되는 것이 아닐까.
왕국은 만들어지고 무너진다, 그리고 우리의 현실도
이 책은 작은 상자로부터 하나의 세계가 태어나고, 발전하고, 붕괴하는 과정을 압축적으로 그려냈다. 처음에는 단순히 정교하게 꾸며진 상자 속 모형처럼 보이지만, 그 안에는 분명 권력 구조와 계급 질서, 저항과 억압이 자리한다. 미니어처처럼 보였던 세계는 곧 ‘살아 있는 왕국’이 되고, 우리는 그 흥망성쇠를 한눈에 바라볼 수 있게 된다. 쓰네카와 고타로는 이 상자를 통해 문명 단위의 이야기를 풀어내며 환상 세계를 마치 역사 다큐멘터리의 형식으로 설계해 낸다. 판타지 장르에서 보기 드문 ‘세계 자체를 주인공으로 삼은 서사’다.
작품의 주요 전환점은 에카게 구미라는 인물을 통해 발생한다. 관찰자였던 주인공의 시선은 그녀의 행동을 따라 적극적인 개입의 방향으로 바뀐다. 현실에서 폭력과 외면에 시달리던 에카게는 상자 속 세계로 들어가 민중을 조직하고, 왕권을 몰아내며, 결국 성을 무너뜨리기 위한 봉기에 앞장선다. 이 붕괴는 우리가 흔히 비슷한 구조의 소설에서 보아왔던 영웅 서사라기 보다 문명의 재구성에 가깝다. 이와 유사한 감각은 「끝없는 대륙, 불멸의 야차」에서도 반복된다. “문명이 정점에 달했을 무렵, 세계의 종말이 가까워졌다. (중략) 음악도, 문학도, 건물도, 조각도. 유일하게 기계 생명치엔 시그마만이 그 모습을 관망했다.” (409쪽) 이 문장은 인간이 구축한 세계가 어떻게 무너지는지, 그걸 덤덤하게 바라보는 소설의 태도를 단적으로 보여준다.
말하자면 이 책은 결국 작은 상자 안에서 하나의 문명을 일으키고, 해체하고, 다시 쓰는 이야기다. 작가는 단지 인물을 움직이는 데 그치지 않고, 세계 자체가 어떻게 움직이고 멈추는지를 거시적인 시선으로 보여준다. 상자는 유한적인 공간에 불과하지만, 동시에 구조이며, 그 안의 변화는 결국 우리가 살아가는 세계를 비춘다. 왕국이 무너지는 순간, 우리는 깨닫게 된다. 이 이야기는 작은 개인의 서사가 아니라 완성된 세계의 흥망사라는 것을 말이다.
믿는 자만이 쟁취할 수 있는 기묘한 물건, 이세계의 윤리
《열어보지 말 것》은 표면적으로 이세계 판타지처럼 보일 수 있지만, 사실은 ‘보는 자’와 ‘믿는 자’에 관한 이야기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여섯 편의 단편에는 각기 다른 기묘한 물건이 등장한다. 시간을 조종하는 시계, 자아를 갖춘 로봇, 타인의 감정을 읽는 통찰자의 눈, 불멸의 묘약까지. 이 물건들은 단순한 환상 장치가 아니라 ‘인간’에게 경계 너머의 세계를 ‘보는 능력’을 준다. 하지만 이러한 능력은 마냥 축복이라고만 할 수 없다. 오히려 질문에 더욱 가까울 수도 있겠다. 이 소설은 무언가를 본다는 관점보다는 행동이 더 깊은 윤리적 혼란을, 그리고 세계의 질서를 깰 수 있음을 보여준다.
소설에 등장하는 여러 인물은 신의 선물처럼 보이는 물건을 손에 넣는다. 하지만 그것을 통해 ‘무엇을 할 것인가?’ 보다 ‘무엇을 보았는가?’에 집중한다. 그리고 그것은 곧 우리가 살아가는 현실보다는 이세계의 작동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믿는 자들은 물건을 쟁취할 수 있고, 그것을 쟁취하여 이세계의 그림자를 본 자만이 흔들린다. 《열어보지 말 것》이 무섭도록 집요하게 파고드는 건 보는 자, 그리고 믿는 자의 불안정한 마음이다.
그러니 결국 이세계라는 건 인간이 감당할 수 없는 결핍을 상징하는 것이 아닐까. 기묘한 물건들이 열어젖히는 세계는 환상적이라기보다 해석 불가능한 현실의 거울에 가깝다. 상자, 시계, 로봇, 묘약 등은 모두 인간의 결핍을 확대할 뿐이다. 기묘한 신의 물건들은 구원을 보장하지 않는다. 보는 자는 점점 말을 잃고, 믿는 자는 끝내 자신을 잃게 되는 이야기의 장이 여기에 있다. 《열어보지 말 것》은 무언가를 초월하는 판타지적인 서사라고만 단정 지을 수 없다. 이세계는 멀리 있는 미지의 공간이 아니라 우리가 끝내 이해하거나 감당할 수 없는 현실의 뒷면이기 때문이다. 그렇게 책장을 덮을 때쯤, 이 책은 질문을 한 가지 남긴다. “당신은 그것을 믿는가? 아니면 단지, 보고만 있는가?”
친절한 흡혈귀, 시간을 이동하는 시계, 자아를 가진 로봇….
“미니어처 왕국은 대체 어떤 곳인가?”
작은 것을 열면 큰 세계가 펼쳐진다
《열어보지 말 것》은 작고 평범한 상자 하나로부터 시작된다. 주인공 소년은 어머니를 잃었던 어느 폭우의 날, 진흙더미 속에서 나무 상자를 하나 줍는다. 그런데 그 상자 속에는 정교하게 움직이는 세계가 하나 존재한다. 숲과 마을, 사람, 성, 그리고 용과 흡혈귀까지. 미니어처 왕국처럼 보이는 그 세계는 실제처럼 살아 숨 쉰다. 처음에 단순한 관찰의 대상에 불과했던 그 세계는 점차 소년의 유일한 탈출구가 되고, 곧이어 다른 인물 ‘에카게 구미’를 통해 진짜 전환점을 맞는다. 과연… 우리는 상자 속 세계로 들어가 살아남을 수 있을까?
여섯 편의 이야기는 모두 세계관을 공유하지만 서로 다른 서사를 풀어낸다. 그리고 다섯 개의 조각 이야기들이 이 모든 서사를 엮어 하나의 세계관으로 완성해 낸다. 각 이야기는 독립적으로 읽히나 서로의 파편을 반사하며 하나의 거대한 세계를 구성한다. 특히 상자 속 세계의 흥망과 혁명은 단순한 판타지를 넘어 마치 우리가 사는 사회의 구조나 윤리, 권력을 반영하는 듯하다. 일본의 스타 작가인 쓰네카와 고타로는 이 모든 것을 ‘작은 것’에서 시작한다. 관찰만 하던 인물이 결국 변화에 개입하고, 상자 속 미니어처 왕국은 더 이상 모형 세계가 아닌 거대한 서사의 무대로 확장된다.
이 책은 작은 것을 열었을 때 일어나는 세계의 균열과 진화를 담아내고 있다. 그러한 맥락에서 보자면 진정한 울림은 단지 환상적인 설정에서 오는 것이 아니라, 그 안에서 선택하고 행동하는 사람들의 이야기에서 비롯된다. 책의 제목은 ‘열지 말라’고 말하지만, 우리는 곧 알게 된다. 상자를 열지 않으면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는다는 사실을 말이다. 그러니까 결국 모든 이야기는 작게 열린 틈에서 시작되는 것이 아닐까.
왕국은 만들어지고 무너진다, 그리고 우리의 현실도
이 책은 작은 상자로부터 하나의 세계가 태어나고, 발전하고, 붕괴하는 과정을 압축적으로 그려냈다. 처음에는 단순히 정교하게 꾸며진 상자 속 모형처럼 보이지만, 그 안에는 분명 권력 구조와 계급 질서, 저항과 억압이 자리한다. 미니어처처럼 보였던 세계는 곧 ‘살아 있는 왕국’이 되고, 우리는 그 흥망성쇠를 한눈에 바라볼 수 있게 된다. 쓰네카와 고타로는 이 상자를 통해 문명 단위의 이야기를 풀어내며 환상 세계를 마치 역사 다큐멘터리의 형식으로 설계해 낸다. 판타지 장르에서 보기 드문 ‘세계 자체를 주인공으로 삼은 서사’다.
작품의 주요 전환점은 에카게 구미라는 인물을 통해 발생한다. 관찰자였던 주인공의 시선은 그녀의 행동을 따라 적극적인 개입의 방향으로 바뀐다. 현실에서 폭력과 외면에 시달리던 에카게는 상자 속 세계로 들어가 민중을 조직하고, 왕권을 몰아내며, 결국 성을 무너뜨리기 위한 봉기에 앞장선다. 이 붕괴는 우리가 흔히 비슷한 구조의 소설에서 보아왔던 영웅 서사라기 보다 문명의 재구성에 가깝다. 이와 유사한 감각은 「끝없는 대륙, 불멸의 야차」에서도 반복된다. “문명이 정점에 달했을 무렵, 세계의 종말이 가까워졌다. (중략) 음악도, 문학도, 건물도, 조각도. 유일하게 기계 생명치엔 시그마만이 그 모습을 관망했다.” (409쪽) 이 문장은 인간이 구축한 세계가 어떻게 무너지는지, 그걸 덤덤하게 바라보는 소설의 태도를 단적으로 보여준다.
말하자면 이 책은 결국 작은 상자 안에서 하나의 문명을 일으키고, 해체하고, 다시 쓰는 이야기다. 작가는 단지 인물을 움직이는 데 그치지 않고, 세계 자체가 어떻게 움직이고 멈추는지를 거시적인 시선으로 보여준다. 상자는 유한적인 공간에 불과하지만, 동시에 구조이며, 그 안의 변화는 결국 우리가 살아가는 세계를 비춘다. 왕국이 무너지는 순간, 우리는 깨닫게 된다. 이 이야기는 작은 개인의 서사가 아니라 완성된 세계의 흥망사라는 것을 말이다.
믿는 자만이 쟁취할 수 있는 기묘한 물건, 이세계의 윤리
《열어보지 말 것》은 표면적으로 이세계 판타지처럼 보일 수 있지만, 사실은 ‘보는 자’와 ‘믿는 자’에 관한 이야기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여섯 편의 단편에는 각기 다른 기묘한 물건이 등장한다. 시간을 조종하는 시계, 자아를 갖춘 로봇, 타인의 감정을 읽는 통찰자의 눈, 불멸의 묘약까지. 이 물건들은 단순한 환상 장치가 아니라 ‘인간’에게 경계 너머의 세계를 ‘보는 능력’을 준다. 하지만 이러한 능력은 마냥 축복이라고만 할 수 없다. 오히려 질문에 더욱 가까울 수도 있겠다. 이 소설은 무언가를 본다는 관점보다는 행동이 더 깊은 윤리적 혼란을, 그리고 세계의 질서를 깰 수 있음을 보여준다.
소설에 등장하는 여러 인물은 신의 선물처럼 보이는 물건을 손에 넣는다. 하지만 그것을 통해 ‘무엇을 할 것인가?’ 보다 ‘무엇을 보았는가?’에 집중한다. 그리고 그것은 곧 우리가 살아가는 현실보다는 이세계의 작동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믿는 자들은 물건을 쟁취할 수 있고, 그것을 쟁취하여 이세계의 그림자를 본 자만이 흔들린다. 《열어보지 말 것》이 무섭도록 집요하게 파고드는 건 보는 자, 그리고 믿는 자의 불안정한 마음이다.
그러니 결국 이세계라는 건 인간이 감당할 수 없는 결핍을 상징하는 것이 아닐까. 기묘한 물건들이 열어젖히는 세계는 환상적이라기보다 해석 불가능한 현실의 거울에 가깝다. 상자, 시계, 로봇, 묘약 등은 모두 인간의 결핍을 확대할 뿐이다. 기묘한 신의 물건들은 구원을 보장하지 않는다. 보는 자는 점점 말을 잃고, 믿는 자는 끝내 자신을 잃게 되는 이야기의 장이 여기에 있다. 《열어보지 말 것》은 무언가를 초월하는 판타지적인 서사라고만 단정 지을 수 없다. 이세계는 멀리 있는 미지의 공간이 아니라 우리가 끝내 이해하거나 감당할 수 없는 현실의 뒷면이기 때문이다. 그렇게 책장을 덮을 때쯤, 이 책은 질문을 한 가지 남긴다. “당신은 그것을 믿는가? 아니면 단지, 보고만 있는가?”
목차
상자 속 왕국
이야기의 조각 1: 흡혈귀의 여행
스즈와 긴타의 은시계
이야기의 조각 2: 정지된 평원
단시간 접착제
이야기의 조각 3: 가이다 사이이치로의 아침
통찰자
이야기의 조각 4: 팬레터
내추럴로이드
끝없는 대륙, 불멸의 야차
이야기의 조각 5: 땅끝에서 미지의 세계로
저자소개
책속에서
에카게에게 ‘모형 정원 속 세계’를 보여줘야 할지 고민이 됐다. 중학교 1학년 때의 겨울이었다. 바깥에 찬바람이 휘몰아쳐 창문이 덜컹거렸다. 나는 가만히 그 상자를 꺼냈다. 뚜껑이 닫힌 상태였다. 쓸데없는 설명은 없는 편이 나았다.
“시간은 지금부터 일주일 주겠네. 일주일이 지나면, 상금 이야기는 없던 일이 되는 거야. 그리고 그 뒤에 내가 자네의 방이든 어디든 상자를 발견한다면, 그땐 어떤 핑계를 대도 소용없어. 자네는 범죄자니까. 나는 ‘발견한’ 사람에게는 엄청난 보상을 할 테지만, ‘훔친’ 사람에게는 아주 지독하게 대할 셈이거든. 만일 경찰이 개입한다면 고등학교는 꿈도 못 꾸겠지. 자넨 퇴학이야. 그러니 신중하게 선택하게. 모두가 불행해질 선택은 나도 바라지 않아.”
“우리 입장에서 보면 움직이지 못하니 불쌍하다, 삶을 살아갈 수 없으니 불쌍하다, 저들도 움직이고 싶을 텐데, 라고 생각하겠죠. 하지만 시간이 정지된 자들은 행복하지도, 불행하지도 않습니다. 산 것도 죽은 것도 아니고, 뇌파도 사고도 없으니까요. 저들의 입장에서는 고통도 불행도 없는 셈이죠.”
추천도서
분야의 베스트셀러 >
분야의 신간도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