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오자와 세이지 씨와 음악을 이야기하다

오자와 세이지 씨와 음악을 이야기하다

무라카미 하루키, 오자와 세이지 (지은이), 권영주 (옮긴이)
  |  
비채
2014-12-31
  |  
14,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12,600원 -10% 0원 700원 11,9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인터파크 로딩중
11st 로딩중
G마켓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8,820원 -10% 440원 7,490원 >

책 이미지

오자와 세이지 씨와 음악을 이야기하다

책 정보

· 제목 : 오자와 세이지 씨와 음악을 이야기하다 
· 분류 : 국내도서 > 에세이 > 외국에세이
· ISBN : 9791185014708
· 쪽수 : 364쪽

책 소개

일본을 대표하는 마에스트로 오자와 세이지와 세계가 주목하는 작가 무라카미 하루키가 만났다. 솔직한 아마추어 무라카미 하루키가 묻고, 담백한 마에스트로 오자와 세이지가 하는 답으로 구성된 품격 있는 클래식 여행이 펼쳐진다.

목차

들어가기에 앞서 - 오자와 세이지 씨와 보낸 오후 한때 010

첫번째, 베토벤 피아노 협주곡 제3번을 둘러싸고
우선 브람스 피아노 협주곡 제1번부터
카라얀과 굴드, 베토벤 피아노 협주곡 제3번
굴드와 번스타인, 베토벤 피아노 협주곡 제3번
제르킨과 번스타인, 베토벤 피아노 협주곡 제3번
좌우지간 독일 음악을 하고 싶었다
오십 년 전 말러에 푹 빠졌다
새로운 스타일의 베토벤 연주란?
이머셀의 피아노, 고악기 연주의 베토벤
다시 굴드에 관해 이야기하다
제르킨과 오자와 세이지, 베토벤 피아노 협주곡 제3번
우치다 미쓰코와 잔덜링, 베토벤 피아노 협주곡 제3번

막간 1_레코드 마니아에 관해

두번째, 카네기 홀의 브람스
카네기 홀에서의 감동적인 콘서트
사이토 기넨과 브람스를 연주하는 것
후일에 가진 짤막한 추가 인터뷰_호른 호흡의 진상

막간 2_글과 음악의 관계

세번째, 1960년대에 일어난 일
번스타인의 부지휘자로 있던 시절
스코어를 철저하게 파고들어 읽는다
텔레만에서 버르토크까지
봄의 제전 - 비화 비슷한 것
무명 청년에게 어떻게 그런 대단한 일이 가능했을까?
후일에 가진 짤막한 추가 인터뷰_모리스 페레스와 해럴드 곰버그

막간 3_유진 오르먼디의 지휘봉

네번째, 구스타프 말러의 음악을 둘러싸고
선구자로서의 사이토 기넨
번스타인이 말러에 집중하던 시절
그런 음악이 존재한다는 것조차 몰랐다
말러 연주의 역사적 변천
빈에서 미친다는 것
3번과 7번은 어쩐지 '수상쩍다'
오자와 세이지 + 사이토 기넨이 연주하는 <거인>
악보의 지시가 좌우지간 세세하다
말러 음악의 세계 시민성이란?
오자와 세이지 + 보스턴 교향악단이 연주하는 <거인>
말러 음악의 결과적인 전위성
지금도 변화를 계속하는 오자와 세이지

막간 4_시카고 블루스에서 모리 신이치까지

다섯번째, 오페라는 즐겁다
원래 나보다 더 오페라와 인연 없는 사람이 없었다
프레니의 미미
카를로스 클라이버에 관해
오페라와 연출가
밀라노에서 받은 야유
고생보다 즐거움이 훨씬 크다

스위스의 작은 도시에서

여섯번째, “정해진 방식이 있는 건 아니에요. 그때그때 생각하면서 가르치죠.”

후기입니다_오자와 세이지 359

저자소개

무라카미 하루키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일본의 작가, 영미문학 번역가. 1949년 교토에서 태어났다. 와세다대학교 제1문학부 연극과를 졸업했다. 대학 재학 중에 결혼하여 1974년부터 7년여 동안 아내와 재즈 카페를 운영했다. 서른 살을 앞두고 소설을 쓰기 시작한 그는 《바람의 노래를 들어라》(1979)로 《군조》 신인문학상을 수상하면서 등단했다. 1981년부터 전업 작가로서 활동했고, 1987년에 발표한 《노르웨이의 숲》으로 경이로운 판매 기록을 세운다. 이는 일본 문화계에 ‘무라카미 하루키 신드롬’이리는 용어를 각인시키는 계기가 된다. 이후 《양을 둘러싼 모험》, 《세계의 끝과 하드보일드 원더랜드》, 《태엽 감는 새》, 《1Q84》, 《기사단장 죽이기》 등 화제작을 차례차례 발표했다. 일본을 넘어 아시아를 비롯한 미국, 유럽, 러시아까지 총 50개 이상의 언어로 번역된 그의 책들은 각국 베스트셀러 목록에 오르고 권위 있는 문학상들을 수상했다. 무라카미 하루키는 영미문학 번역가로도 유명하다. 스콧 피츠제럴드, 레이먼드 챈들러, 레이먼드 카버, 트루먼 커포티 같은 작가의 작품을 일본어로 옮겨 재조명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펼치기
오자와 세이지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35년 중국 랴오닝성 선양에서 태어났고, 일본의 음악 명문인 도호가쿠엔 단기대학에서 첼로 연주자이자 지휘자인 사이토 히데오에게 교육을 받았다. 1959년 프랑스 브장송 국제 지휘 콩쿠르에서 1위에 입상했으며, 뉴욕 필하모닉 부지휘자를 시작으로 토론토 심포니와 샌프란시스코 심포니의 음악 감독을 지냈다. 1973년부터 2002년까지 보스턴 심포니 음악 감독 및 베를린 필하모닉과 파리 오페라극장의 객원 지휘자였으며, 2002-2003년 시즌부터 2009-2010년 시즌까지 빈 국립 오페라극장의 음악 감독으로 활동했다. 1998년 프랑스 레지옹 도뇌르 훈장, 2014년 몽블랑 문화예술 후원자상, 2016년 그래미 어워드 최우수 오페라 음반상 등을 수상했다. 현재 ‘오자와 세이지 마쓰모토 페스티벌(옛 사이토 기넨 페스티벌 마쓰모토)’의 총감독을 맡고 있다.
펼치기
권영주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영문학을 전공했다. 온다 리쿠의 《나와 춤을》《유지니아》《에피타프 도쿄》《달의 뒷면》 등을 옮겼으며, 특히 《삼월은 붉은 구렁을》로 일본 고단샤에서 주최하는 제20회 노마문예번역상을 수상했다. 무라카미 하루키의 《오자와 세이지 씨와 음악을 이야기하다》《애프터 다크》《잠》, 미야베 미유키의 《세상의 봄》, 미쓰다 신조의 《미즈치처럼 가라앉는 것》, 오가와 이토의 《초초난난》 등 다수의 일본 문학은 물론, 《데이먼 러니언》《어두운 거울 속에》 등 영미권 작품도 활발하게 소개하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이런 말을 내 입으로 하려니 다소 주제넘은 것 같고 마음에 걸리지만 그래도 말하자면, 몇 번 대화를 거듭하는 사이에 나와 오자와 씨에게 몇 가지 공통점이 있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재능의 질량이라든지 업적의 수준, 기량의 크기, 유명한 정도 같은 요소는 일단 빼고 그저 '살아가는 방식의 경향에 공감되는 부분이 있다'는 뜻이다.
첫째는 우리 둘 다 일하는 것에 한없이 순수한 기쁨을 느끼는 듯하다는 점이다. 음악과 문학, 영역은 달라도 다른 어떤 일을 할 때보다도 자기 일에 몰두할 때가 가장 행복하다. 그리고 그에 몰입할 수 있다는 사실에서 그 어떤 것보다도 깊은 만족감을 얻는다. 그 일을 통해 결과적으로 무엇을 얻느냐 하는 것도 물론 중요하지만, 그와는 별도로 집중해서 일할 수 있다는 것, 시간을 잊고 그 일에 전념할 수 있다는 것, 그 자체가 다른 어떤 것과도 바꿀 수 없는 귀중한 보상이다.
둘째는 헝그리정신이라고 할지 지금도 젊었을 때처럼 초심을 잃지 않는 마음을 변함없이 갖고 있다는 점이다. 아니, 이 정도로는 미흡하다, 더 깊이 추구하고 싶다, 좀더 앞으로 나아가고 싶다, 하는 게 일하는 데 있어, 또 살아가는 데 있어 중요한 모티프다. 오자와 씨의 언동을 보고 있노라면 좋은 의미에서(라고 할지) 탐욕스러움이 생생하게 느껴졌다. 자신이 지금 하는 일에 대해 납득은 한다. 자부심도 갖고 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결코 만족하지는 않는다. 좀더 훌륭한, 좀더 심오한 것을 할 수 있을 터다 하는 감촉이 있다. 그리고 그것을 어떻게든, 시간이며 체력 같은 제약과 싸우며, 이뤄내겠다는 결의가 있다.
셋째는…… 고집이 세다는 점이다. 끈기가 있고, 터프하고, 그리고 고집스럽다. 자신이 하고자 하는 일은 누가 뭐라 하건 자신의 생각대로 밀고 나가야 한다. 그로 인해 자신에게 좋지 않은 결과가 닥쳐도, 설령 다른 사람에게 손가락질 당하고 미움 받는 한이 있더라도, 변명하지 않고 자기 행동에 대한 책임을 진다. 오자와 씨는 원래부터 꾸밈없는 성격에 늘 농담을 입에 달고 살고, 그런 한편으로 주위를 세심하게 살피는 분이지만, 그런 우선순위는 매우 확고하다. 일관되고, 흔들림이 없다. 적어도 내 눈에는 그렇게 보였다.
지금까지 살아온 인생의 과정에서 다양한 사람을 만났고 경우에 따라 어느 정도 깊이 사귀기도 했지만, 이 세 가지 점에서 이 정도로 '그래, 정말 그렇지' 하고 자연스레 공감한 사람은 처음이었다. 그런 의미에서 오자와 씨는 내게 귀중한 사람이다. 이런 사람이 분명히 세상에 있다고 생각하면 어쩐지 마음이 놓인다.


무라카미 오자와 씨는 먼저 뉴욕 필에 있다가 그뒤 베를린으로 가신 겁니까?
오자와 그래요. 베를린 뒤 뉴욕 필에서 레니의 부지휘자를 하다가, 그뒤 카라얀 선생이 다시 베를린으로 불러주셨거든. 거기서 데뷔했어요. 처음 돈 받고 지휘한 게 베를린이에요. 이시이 마키하고 보리스 블라허의 오케스트라 작품, 그리고 베토벤 심포니를 지휘했죠. 1번이었던가, 2번이었던가.
무라카미 뉴욕에는 얼마나 계셨는지요?
오자와 이 년 반. 1961년, 62년, 63년 도중까지 있었군요. 64년엔 베를린 필을 지휘하고 있었어요.
무라카미 내는 소리가 확연히 다르죠, 당시 뉴욕 필과 베를린 필은.
오자와 완전히 다르죠. 지금도 다르고. 이만큼 커뮤니케이션이 발달하고, 오케스트라 연주자들의 교류도 활발해지고, 문화가 글로벌화된 지금도 전혀 딴판이에요.
무라카미 하지만 1960년대 초반 뉴욕 필은 소리가 특히 강하고 공격적인데요.
오자와 그래요, 요는 레니의 시대죠. 그 사람이 녹음한 말러도 얼마나 강한지. 그나저나 지금까지 이렇게 미끄러지는 연주는 들어본 적이 없군요.
무라카미 아까 들은 굴드와의 협연도 미끄러지지는 않지만 소리는 꽤 경질이었죠. 미국 청중한테는 그런 소리가 먹혔을까요?
오자와 글쎄요, 그건 아닐 것 같은데.
무라카미 소리가 극단적으로 다른데요.
오자와 오케스트라는 지휘자에 따라 소리가 달라진다는 말 있잖아요. 그런 경향이 가장 강한 게 미국 오케스트라거든.
무라카미 유럽 오케스트라는 별 차이가 없다?
오자와 베를린 필이나 빈 필은 지휘자가 바뀌어도 자기들 색을 거의 고수하죠.
무라카미 그렇지만 뉴욕 필은 번스타인이 그만두고 나서 이런저런 사람들이 상임으로 왔잖습니까. 메타라든지, (쿠르트) 마주어라든지.
오자와 불레즈도 있었고.
무라카미 그때마다 딱히 오케스트라 소리가 바뀌었다는 인상은 없는데요.
오자와 그렇죠, 바뀌었다는 느낌은 별로 없죠.
무라카미 다른 지휘자로 뉴욕 필 연주를 몇 번 들어봤는데 썩 좋지는 않더군요. 왜 그런 걸까요?
오자와 레니는 말이죠, 연습하면서 오케스트라를 확실하게 훈련하는 타입이 아니었거든.
무라카미 자기 할 일 하느라 바빠서 말입니까?
오자와 음, 글쎄요. 천재 타입이라고 할지, 오케스트라를 훈련하는 재주는 별로 없는 사람이었어요. 교육자로서는 뛰어났지만 훈련에 잘 맞는다고 할 순 없을지도 모르죠.
무라카미 그렇지만 오케스트라는 소설가의 문체 같은 것 아닙니까? 그럼 자기 문체를 확고하게 수립하고 싶은 게 자연스러운 감정일 것 같은데요……. 연주 레벨은 요구했을 테죠?
오자와 그야 물론 그렇죠.
무라카미 그건 아까 말씀하신 디렉션 문제와 연관되는 겁니까?
오자와 음, 그것도 있지만, 방법을 훈련하지 않았거든요.
무라카미 방법을 훈련하지 않았다는 건 무슨 말씀이신지요?
오자와 악기를 연주하는 법. 레니는 앙상블 방법에 관해 별로 주의를 주지 않는 사람이었어요. 카라얀 선생 쪽이 그런 걸 많이 했고.
무라카미 앙상블 방법이란 건 구체적으로 어떤 건가요?
오자와 앙상블을 어떻게 하느냐 하는 거죠. 그런 걸 가르치지 않았다고 할지, 가르칠 수 없는 사람이었어요. 천성으로 한달지, 천재적이랄지.
무라카미 눈앞에서 실제로 오케스트라가 소리를 내는데, 그에 관해 ‘넌 이렇게 해라’ ‘넌 저렇게 해라’ 하는 실무적인 지도를 못 했다는 뜻입니까?
오자와 구체적으로 말하면 말이죠, 유능한 사람은, 아니, 프로 지휘자는 오케스트라에 지시를 내리거든요. 지금 이 순간엔 이 악기를 들어라, 자, 지금은 이 악기를 들어라, 하는 식으로. 그럼 오케스트라의 소리가 딱 맞아들어요.
무라카미 단원 모두가 그때그때 한 악기를 집중해서 듣는다는 말씀이군요.
오자와 그래요. 지금은 첼로를 들어라, 지금은 오보에를 들어라, 하는 거죠. 카라얀 선생은 그걸 정말 천재적이라 할 만큼 잘했거든. 연습할 때 확실하게 말해요. 레니는 오케스트라를 그런 식으로 훈련하는 게 불가능한 사람이었고. 불가능하다고 할지, 그런 것에 관심이 없었겠죠.
무라카미 그렇지만 자기가 내고 싶은 소리는 물론 머릿속에 있는 거죠?
오자와 당연히 있죠.
무라카미 그런데 지도해서 그 소리를 만들어가는 걸 할 수 없었다?
오자와 네. 그게 참 이상한 게, 레니는 아주 뛰어난 교육자란 말이죠. 예컨대 하버드 대학에서 강연을 하게 됐다 하면 완벽하게 준비해서 아주 좋은 강연을 하거든. 워낙 유명하고 훌륭한 강연이라 책으로도 나왔는데 말이죠. 그런데 오케스트라에 대해서도 같은 걸 하느냐 하면 그게 아닌 거예요. 오케스트라에 대해선 전혀 ‘가르치는’ 태도가 아니에요.
무라카미 흠, 이상하군요.


다음의 첫 대화는 2010년 11월 16일 가나가와 현에 있는 내 자택에서 나누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