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한국학/한국문화 > 한국민속/한국전통문화
· ISBN : 9791186096239
· 쪽수 : 484쪽
· 출판일 : 2016-02-25
책 소개
목차
머리말
1부 정선이 낳은 장인들
1. 청석장
1) 정선지역 청석집의 형성 배경과 특징
2) 정선지역 청석집의 제작기술과 전승 실태
3) 전승 계획과 방안
2. 맷돌장
1) 입문 현황
2) 주요 전승활동 실적
3) 공개 행사 참여 실적
4) 관련분야 입상 실적
5) 전승 의지 및 전승 계획
6) 공방 시설 및 장비 현황
7) 보유자에 대한 전수활동 기여도
3. 도선장
1) 정선 지역 배와 도선장의 역사
2) 정선에서 운영되던 배의 종류
3) 뗏목 제작기술의 전승 실태
4) 나룻배 제작기술의 전승 실태
5) 주요 전수자
6) 전승 활동
7) 전승 계획과 방안
4. 짚·풀 공예
1) 정선 지역 짚·풀 공예의 역사
2) 짚·풀 공예의 주재료와 대표 공예품
3) 광하2리의 짚·풀 공예 전승 현황
4) 전승 활동과 수상 실적
5) 학술적 가치와 계승 방안
2부 정선의 민속문화
1. 자연다리
1) 다리의 개념
2) 다리의 위치에 따른 상징
3) 전통다리의 분류
4) 정선의 자연다리
5) 축제와 관광, 그리고 섶다리2. 삼굿
1) 정선 지역 삼굿의 역사
2) 전승 단체의 변화 과정
3) 유평리 마을의 삼굿 전승 실태
4) 전승 단체(유평리)의 전수 활동
5) 주요 전수자
6) 삼굿의 가치 및 전승 방안
3. 산촌 음식
1) 정선 지역 음식 문화의 형성과 특징
2) 산촌 음식의 전승 현황과 실태
3) 주요 전승 단체의 활동 및 실적
4) 전승 방안 및 계획
3부 정선의 연희와 신앙
1. 낙동농악
1) 역사 및 배경
2) 전승 현황
3) 주요 전승활동 실적
4) 공개행사 참여 및 입상 실적
5) 전승의지 및 전승 계획
6) 시설 및 장비 현황
7) 보유자에 대한 전수활동 기여도
2. 상여소리와 회다지소
1) 역사 및 배경
2) 전승 현황
3) 주요 전승활동 실적
4) 주요 선소리꾼 현황(소개)
5) 공개 행사 참여 및 관련분야 입상실적
6) 전승의지 및 전승 계획
3. 무속신앙
1) 무속의 개념
2) 전승 현황과 특징
3) 주요 무속인 현황
4) 행사 참여 실적
5) 전승의지 및 전승계획
참고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맷돌은 대부분의 전통문화가 그러하듯이 조상들의 지혜와 삶이 고스란히 반영된 식문화에서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도구이다. 이러한 맷돌을 만드는 장인들이 대부분 세상을 떠났거나 연세가 많으신 관계로 맷돌장이로서의 역할을 하지 못하는 실정이었다. 오래지 않아 맷돌 쪼는 기술은 단절될 뿐만 아니라 맷돌을 손으로 만들어 썼다는 사실 자체를 기억하지 못할 것이다.
강원도 정선을 비롯해 인근의 영월 지역에서의 운영하던 배들은 강이라는 자연 환경을 결코 무시할 수 없다. 산으로 둘러싼 지역이다 보니 자연스레 그럴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따라서 정선 지역의 배의 역사 혹은 도선장의 역사는 이런 환경에서 출발했을 가능성을 반드시 열어두어야 한다.
여느 것이나 할 것 없이 정선 지역 주민들이 오랫동안 사용해온 생활용품은 지역의 실상을 반영하고 있다는 점에 분명 가치가 있는 무형문화유산이다. 시대가 변화하면서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 것들이 새로운 예술품 내지 공예품으로 탄생하여 나름대로 역사와 전통을 잇고 있다는 점에서 다양한 형태의 짚·풀 공예는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 여기에서의 고민은 앞으로 어떠한 가치를 더 높여 어떤 식으로 계승해야 할 것인가이다. 개인의 능력으로만 가능한 것이 아니기에 다양한 이들이 머리를 맞대어 적절한 방법을 제시할 필요가 있으리라 생각된다. 다만 여타의 향토무형유산과 마찬가지로 정선 지역에서만 전승되는 것이 아님을 주목해야 한다. 이 말은 결국 정선 지역의 특색을 짚·풀 공예에서 찾는 일부터 시작해서 그런 부분을 좋은 콘텐츠로 만드는 일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