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강헌의 한국대중문화사 1

강헌의 한국대중문화사 1

(사랑에 속고 돈에 울고)

강헌 (지은이)
이봄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23개 5,8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1,300원 -10% 560원 9,610원 >

책 이미지

강헌의 한국대중문화사 1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강헌의 한국대중문화사 1 (사랑에 속고 돈에 울고)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한국학/한국문화 > 근현대한국문화
· ISBN : 9791186195864
· 쪽수 : 336쪽
· 출판일 : 2016-11-02

책 소개

문화 전방위의 르네상스인, 강헌. 그가 한국의 대중문화사를 들고 다시 돌아왔다. <강헌의 한국대중문화사>는 대중문화사를 통해 동학의 시대부터 오늘날까지의 근현대사를 함께 읽는, 문화와 역사를 바라보는 새로운 독법의 제시한다.

목차

책을 펴내며

0. 동학농민혁명, 만민공동회, 그리고 대중의 탄생
1894년, 거대한 역사의 분기점을 잉태하다 | 동학농민혁명, 이것은 혁명인가, 혁명이 아닌가 | 주체들의 의지와 관계없이 획득한 역사적 의미 | 내가 명성황후를 ‘민비’ 혹은 ‘민자영’이라 칭하는 이유 | 조선 땅 최초로 해방구를 맛보다 | 일본의 진짜 우익 덴유쿄, 우익인 듯 우익 아닌 리버럴 집단 | 조선과 일본, ‘합방’인가 ‘합병’인가 | 동학을 바라보는 일본의 두 개의 시선 | 혁명의 실패, 새로운 세상의 문을 열다 | 동학에서 만민공동회로 | 드디어, 대중의 탄생

1. 근대의 여명에 노래가 울려퍼지다
한국대중문화사는 곧 이식과 독립의 역사 | 우리의 이야기를 100년 전에서 시작하는 까닭 | 대중, 그 너머의 서로 다른 대중 | 대중을 불러온 여러 이름과 그 의미의 변천 | 대중이 채택한 마스크, ‘민족’과 ‘계급’ | 혁명의 도구, 동학의 노래 | 민중의 염원을 노래에 담다 | 서구 문화 이식의 창구, 기독교의 노래 | ‘그들’의 노래에서 ‘우리’의 노래로 | 우리는 왜 그토록 기독교에 열광했을까 | 우리 근대의 대중문화를 이끈 두 개의 동력 | 아무도 모르는 그 노래, 대한제국의 <애국가> | 새로운 애국가는 <임을 위한 행진곡>으로 | 쏟아져나오는 ‘애국’과 ‘계몽’의 노래 | 창가와 민요의 공존, 두 개의 문화가 함께 있던 시대 | 우리 근대와 일본, 그리고 엔카와의 상관 관계 | 못다 부른 한 곡의 노래, 우리 대중음악의 역사를 열다 | <이 풍진 세상>, 조선·일본·서구의 문화가 섞여 탄생한 노래 | 복잡하고도 미묘한 우리 근대의 특수성

2. 근대의 출발선에 선 문학의 풍경 105
상상할 수 없는 탈문맹률, 이후 우리의 저력이 되다 | 높은 학구열의 이유와 그 배경 | 소설, 글자를 아는 이들에게 너무 가까운 예술 | 근대 이전과 이후, 공동체의 스토리에서 개인의 이야기로 | 왜 『무정』을 근대적 장편소설의 시작이라 부르는가 | 너의 소설은 순수예술이냐, 대중예술이냐 | 멜로드라마의 등장 | 예술의 새로운 지배 계층, 부르주아 계급 | 근대 이전, 우리에게는 이미 소설이 있었다 | 신소설은 안 되고, 근대 소설은 가능케 했던 그 무엇 | 추리소설과 연애소설, 대중소설 견인의 쌍두마차 | 역사소설의 인기를 활용하려던 신채호, 역사소설로 친일을 했던 이광수 | 계몽소설, 브나로드 운동, 그리고 『조선일보』와 『동아일보』의 전쟁 | 문제적 인간, 이광수를 생각하다 | 춘원을 지배한 손병희와 안창호 | 이름도 무정한 그 이름, 『무정』

3. 대중의 문화로 근대 시민의식의 자양분을 삼다
때는 바야흐로 1926년 | 죽은 이의 노래, <사의 찬미>가 불러온 바람 | 대중문화 흥행 돌풍의 신호탄, 영화 <아리랑> | 이전과 전혀 다른, 새로운 시간의 등장 | 시간의 공존, 태양력의 선택 | 오포午砲와 시계, 그것이 상징하는 바 | 도시화로 인한 공간의 재구성 | 자동차가 들어오고, 전차가 다니고, 배도 다니고 | 식민지 조선, 근대의 상징 기차를 타다 | 조선에 상륙한 영화, 그 첫 만남의 풍경 | 근대 영화가 탄생시킨 최초의 스타, 변사辯士| 오늘날, 한국 영화의 희한한 성공 | 우리 영화계의 기린아, 춘사 나운규의 등장 | 우리 영화사의 사건, 나운규의 영화 <아리랑> | 식민지 조선 땅에 울려퍼진 영화 <아리랑>의 주제가 <아리랑> | 제작부터 촬영까지, 검열부터 배급까지 <아리랑>을 둘러싼 풍경 | <아리랑> 그 후, 우리가 주목할 영화 <임자 없는 나룻배> | 대중음악은 이제 창가에서 유행가의 시대로 | 여전히 유효했던 우리의 전통가락, 판소리와 민요 | 신종 하이브리드, 신민요 그리고 만요漫謠| 음악 안에서 예술도 통속도 없던 시절 | 홍난파, 그리고 <봉선화>를 둘러싼 가짜 신화 |동요, 아이들을 위한 문화의 등장 | 대중문화, 우리의 민족주의를 반복 학습시키다

4. 국가 없는 민족에게 스포츠는 어떤 의미였는가
한국 영화, 무성영화와 유성영화의 갈림길에 서다 | 스포츠를 사랑한 일본 제국주의자들 | 우리 근대 스포츠의 첫 장면은 손기정으로부터 | 식민지 조선인의 목에 금메달을 걸게 할 수 없던 일본의 잔꾀 | 그 유명한, 손기정 선수 일장기 말소 사건 | 라디오의 등장, 전혀 다른 매스미디어의 출현 | 미디어의 시대를 주도한 라디오, 새로운 권력 구도의 형성 | 민족에서 계급으로의 이행 수칙, ‘분리해서 통
치하라’ | ‘분리해서 통치하라’의 첫 번째 선택, 신문과 지식인 | 활자 매체의 등장으로 지식의 르네상스 시대가 열리다 | 백정들의 집단, 형평사로 인해 촉발된 계급에 관한 문제 제기 | 운동회의 시작, 조선 근대에 시작된 스포츠의 일상화 | ‘쳐다보니 안창남, 굽어보니 엄복동’ | 식민지 조선, 스포츠를 통해 세계를 향한 꿈을 꾸다 | 식민지 조선을 뜨겁게 달군 경평축구대회 | 1930년대 경평축구대회가 낳은 전설적인 슈퍼스타, 그 희비의 쌍곡선 | 국가 없는 민족에게 스포츠는 어떤 의미였는가

5. 경성 모더니즘의 거리 위에 선 모던 걸의 뼈아픈 숙명
대중문화의 전면에 젊은 여성들이 등장하다 | 강연회에서 독서회로, 활자 매체의 확산으로 인한 변화 | 메타 지식화된 사회주의, 비판받는 계몽주의 | 어느덧 세계 첨단의 환락가가 된 경성의 거리 | 영화 한 편으로 보는 1936년 경성의 이모저모 | 일상 속으로 들어온 영화, 제국주의의 선전 도구가 되다 | 모던 걸의 관점에서 바라본 경성의 대중문화 | 북촌과 남촌의 구분, 백화점과 카페의 등장 | 모던 걸 모던 보이, 유행을 좇고 좇아 백색 선호에 이르다 | 우리 문화를 다른 세상으로 끌고 가던 쌍두마차 | 급속도로 확산된 댄스 문화 | 광고, 걸음마를 떼다 | 외식문화의 치열한 각축장 경성, 그리고 설렁탕과 비빔밥이 상징하는 바 | 모래 위에 쌓은 성, 경성 모더니즘

6. 식민지 대중문화의 꽃, 트로트와 악극의 전성시대
<사의 찬미>, 그 이후 트로트의 등장 | 가요라는 말은 이제 그만! | 비로소, 대중음악의 시대가 열리다 | <황성 옛터>, 우리나라 작곡가가 만든 최초의 트로트 히트곡 | <목포의 눈물>, 본격적인 트로트 시대의 문을 열다 | 검열의 시대, 어쩌면 최초일지 모르는 노이즈 마케팅 | 1930년대 트로트를 중심으로 빛난 별들 | 트로트는 어디에서 와서 어디로 가는가 | 경쟁의 세계로 돌입한 트로트, 음악 문화의 패권을 차지하다 | 가요의 유래, 국민가요의 등장, 그리고 재등장 | 권력의 시녀가 된 딴따라들, 청산하지 못한 과거사 | 식민 시대 최후의 장르, 악극 | 악극단, 우리 미학의 유일한 대중문화 공간 | 주목해야 할 이름, 안기영 | 악극, 완벽히 사라지다

참고문헌 332

저자소개

강헌 (지은이)    정보 더보기
부산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같은 대학교 음악대학원을 졸업했다. 소설가를 꿈꾸다 음악을 배웠고, 졸업 후에는 영화판에서 일하다 우연히 음악평론가가 됐다. 음악평론가로 활동하며 다양한 문화계간지를 만들었고 홍익대와 성공회대 그리고 단국대와 성균관대 등에서 대중음악사를 20여 년 동안 가르쳤다. 대동맥이 찢어져 생사를 헤맨 뒤에는 명리학 수행에 몰두했다. 『전복과 반전의 순간』을 출간하며 윤심덕과 김우진의 정사에 일제의 음모가 개입되었음을 지적했다.
펼치기

책속에서



* 우리 역사에서 대중의 탄생은 언제로 보아야 하는가
"한국 대중문화의 역사적 맥락을 살핀다는 것은 아마도 근대 이후 우리 역사의 실질적인 주체인 이 땅의 대중의 욕망을 재구성한다는 말과 동의어가 될 것이며, 이들의 삶의 의제를 검토한다는 의미가 될 것이다. 비극으로 끝난 동학농민혁명과 해프닝으로 끝난 만민공동회. 하지만 이 두 역사적 사건을 경과하며 한반도엔 대중이라는 새로운 개념의 인간군이 형성되기 시작한다. 대중의 시대가 시작된 것이다."(1권, 42쪽)

* 계급과 민족이라는 두 개의 창으로 바라보는 우리의 근현대사
"대중은 역사의 전면에 등장하는 순간 민족과 계급이라는 마스크를 채택했다. 이 두 개의 마스크는 때로는 연합하고 때로는 대립하며 대중이란 개념에 복잡하고 어려운 의미를 부여하곤 했다."(1권, 54쪽)

* 우리 근대의 대중문화를 이끈 두 개의 동력
"우리가 왕정의 역사와 결별하는 데는 두 개의 동력이 존재했다. 동학은 핵심적 동력이며, 기독교는 결정적 동력이었다. 이 두 개의 긴장된 힘이야말로 근대의 대중문화를 만든 핵심 축이었다.(1권, 76쪽)

* 복잡하고도 미묘한 우리 근대의 특수성
"착종의 식민지 시대에 근대를 향해 나아가면서 우리에게 서구는 그저 동경의 대상이었다.
서구는 거대한 환상의 이념이었으며, 이러한 유전자는 지금 이 순간까지도 이어져 오고 있다."(1권, 101쪽)

* 왜 『무정』을 근대적 장편소설의 효시라 부르는가
"이광수의 『무정』은 전통적인 봉건시대의 소설과 완벽하게 결별하고, 개인의 화법으로 이야기하기 시작했다. 개인의 특수성과 공통적 상황이 한 편의 소설 안에서 문체를 통해 하나로 완성되었다."(1권 113쪽)
"탄생 그 순간부터 지금까지 우리 문학사에 두고두고 기록될 이름. 구한말 애국계몽주의의 마지막 불꽃. 근대 소설의 첫머리에 영원히 오를 그 이름, 『무정』"(1권, 145쪽)

* 조선에 상륙한 영화, 그 첫 만남의 풍경
"근대로 접어들면서 문화 수용 속도는 상상할 수 없이 빨라졌다. 우리는 세계적인 문화 흐름에서 제외되지 않았다. 파리에서 세계 최초로 영화가 상영된 것은 1895년, 우리는 1897년이었다"(1권, 166쪽)

* 대중문화, 우리의 민족주의를 반복 학습 시키다
"식민지 조선의 민족주의적 열망은 세계사에서 유례를 찾을 수 없다. 국가는 없었으나 민족주의는 끊임없이 대중적으로 반복 학습되었다. 당시 대중문화는 근대 시민의식의 자양분이었다."(1권, 195쪽)

* 라디오의 등장, 전혀 다른 매스미디어의 출현
"1927년 경성 라디오 방송국이 개국을 했다. 이전과는 차원이 다른 매스미디어의 출현으로 이제 하나의 콘텐츠는 순식간에, 무한대로 퍼져나갈 수 있게 되었다. 라디오의 등장으로 정보의 민주주의가 실현되었다. 이제 어떤 정보를 주느냐가 중요해졌다. 정보의 내용을 결정할 권한이 있는 곳에 권력이 존재한다. 정보의 민주주의 이면에 새로운 권력 구도가 형성된 것이다. 거기에 계급이 등장했다."(1권, 211쪽)

* 어느덧 세계 첨단의 환락가가 된 경성의 거리
"1930년대 경성은 서구 퇴폐·향락 문화 트렌드에 뒤떨어지지 않는 인프라를 갖췄다. 1920년대 달아올랐던 민족과 계급이라는 긴장된 논의는 향락의 소용돌이 안으로 빨려 들어가 익사하고 말았다."(1권, 245쪽)

* 모던 걸의 관점에서 바라본 경성의 대중문화
"1930년대 등장한 모던 걸에게 작동한 것은 유행을 향한 열렬한 추종이었다. 남들보다 더 빨리, 더 새로운 유행을 선점하겠다는 이들의 경쟁의식은 대중문화의 강력한 시장 동력이었다."(1권, 254쪽)

* 가요라는 말은 이제 그만!
"가요. 국민가요의 준말. 1920년대 일본 음반 산업에서 쓰던 말. 일부 몰지각한 이들의 억지 주장 덕분에 21세기인 오늘날까지도 청산하지 못한 일본 제국주의 시대의 잔재. 아닌 건 아닌 것.(1권, 281쪽)
"중일전쟁을 시작한 일본은 내선융화, 천황 숭상, 황군 찬양의 메시지를 담은 국민가요를 부르게 했다. 훗날 박정희 시대에 부활한 국민가요는 가요라는 이름이 되어 우리 곁에 남았다."(1권, 304쪽)

* 경쟁의 세계로 돌입한 트로트, 음악문화의 패권을 차지하다
"트로트가 식민지 조선의 대중을 매료시키는 데 걸린 시간은 3년. 스타 군단을 갖춘 오케레코드와 태평레코드의 살인적인 라이벌전으로 음악 문화 패권은 트로트에게 완벽히 이양되었다"(1권, 302쪽)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861958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