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홍사익 중장의 처형

홍사익 중장의 처형

야마모토 시치헤이 (지은이), 이진명 (옮긴이)
페이퍼로드
3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4,200원 -10% 0원
1,900원
32,3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홍사익 중장의 처형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홍사익 중장의 처형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일제치하/항일시대
· ISBN : 9791186256848
· 쪽수 : 696쪽
· 출판일 : 2017-08-14

책 소개

일본의 작가이자 평론가인 야마모토 시치헤이의 책. 홍사익 처형 소식을 알게된 후 12년 동안 홍사익의 재판기록을 샅샅이 뒤지며, 일본인 관계자는 물론 현해탄을 수차례 건너 한국인 친지들을 인터뷰했다.

목차

옮긴이의 말

제1장 남방부임(南方赴任)
제2장 한국계 장교
제3장 충성(忠誠)
제4장 출생 전설(出生傳說)
제5장 허구(虛構)의 응수(應酬)
제6장 전범(戰犯) 법정(法庭)
제7장 복곽진지(複廓陣地)
제8장 패전(敗戰
제9장 평상심(平常心)
제10장 야마시타 대장 재판의 증인
제11장 포로(捕虜) 수송(輸送)
제12장 오다시마(小田島) 증언(1)
제13장 오다시마 증언(2)
제14장 오다시마 증언(3)
제16장 헤이즈 일기(日記)(1)
제17장 헤이즈 일기(2)
제18장 헤이즈 일기(3)
제19장 헤이즈일기(4)
제20장 지휘권(指揮權)
제21장 기하라(木原) 증언
제22장 무죄청원(無罪請願)
제23장 논리와 논증
제24장 판결(判決)
제25장 성서(聖書)
종장終章 교수대(絞首臺)

저자 후기

저자소개

야마모토 시치헤이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21년 도쿄 도 출생. 1942년 아오야마학원고등상업학부 졸업. 2차 세계대전 당시 야포부대 소위로 마닐라 전투에 참가했다가 필리핀의 포로가 되었고, 1947년 풀려나 귀국한다. 그 후 야마모토 서점을 설립하여 성서학과 관련된 서적 출판에 종사한다. 1970년, 이자야 벤다산이라는 이름으로 출판한 『일본인과 유대인』이 300만부 이상 팔리는 베스트셀러가 된다. 또한 ‘일본인론’을 출간하여 사회에 큰 영향을 끼쳤다. 일본 문화와 사회를 분석하는 독자적인 논고는 ‘야마모토학’이라 불리기도 한다. 평론가이자 야마모토 서점 점주로, 1991년 타계했다. 저서에는 『내 안의 일본군(私の中の日本軍)』, 『공기의 연구(‘空氣’の硏究)』(이상 文藝春秋), 『일본은 어째서 패배했는가(日本はなぜ敗れるのか)』(角川書店), 『제왕학(帝王學)』(日本經濟新聞社), 『일본인이란 무엇인가(日本人とは何か)』, 『쇼와천황 연구(昭和天皇の硏究)』(이상 祥傳社), 『어째서 일본인은 바뀌지 않는가(なぜ日本人は變われないのか)』, 『일본인은 무엇이 부족한가(日本人には何が欠けているのか)』, 『일본교는 일본을 구원할 것인가(日本敎は日本を救えるか)』(이상 さくら舍) 등이 있다.
펼치기
이진명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64년, 서울 출생. 1982년, 서울대 인문대 입학. 자유기고가.
펼치기

책속에서

(패전을 짐작할 수 있는 상황이었음에도, 홍사익이 포로수용소장이라는 달갑지 않은 자리를 맡아 필리핀으로 간 이유와 관련)
이 점과 관련해서 홍사익이 어떤 생각을 하고 있었는지 짐작할 수 있는 증언이 당시 총독부 기관지였던 매일신보(每日申報) 도쿄특파원 김을한(金乙漢)에 의해 전해졌다. 홍사익은 김을한으로부터 임시정부가 있던 중화민국의 임시수도 충칭(重慶)으로 탈출해 광복군에 가담하는 게 어떻겠냐는 질문을 받고, 엄숙한 표정으로 이렇게 답했다고 한다. “이번에 가는 길이 죽는 길이라고 하더라도 그렇게 해서는 안 됩니다. 지금 조선 사람이 수백만이나 전쟁에 동원되었는데 최고 지위에 있다는 내가 만일 배신을 한다면 병사(兵士)들은 물론 징용된 노무자들까지 보복을 받을 것이니, 다만 나 혼자만을 생각해서 그런 경솔한 짓은 할 수가 없습니다.” 이 내용은 김을한의 저서 <여기 참 사람이 있다>(1960, 신태양사)에 실려 있다.
- 제1장 남방(南方) 부임(赴任), 각주


일동은 그곳에서 아오야마 묘지로 가서 한일합병에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논의했다. 고 이대영 씨(육사 26기)가 말한 것을 전해들은 바에 따르면, 비분강개하는 사람도 있었고, 전원 즉각 탈주해서 귀국하자는 주장도 나왔다. 그리고 결국 일동은 홍(洪) 생도(生徒)에게 의견을 구하게 되었다. … 그때 홍 생도의 의견은, 지금은 배울 수 있는 데까지 배우고 흡수할 수 있을 만큼 흡수해서, 그 위에 실무를, 가능하면 실전까지도 경험해서 충분히 자신이 붙을 때까지 은인자중해 기회를 보아 일을 성사시키자는 결론이었다. 유학생 일동은 이를 승인하고 맹약한 뒤 헤어졌다고 한다.
- 제2장 한국계 장교


(한국계 일본군 장교들의 친목모임인 전의회(全誼會)의 회보에는)
약간 놀라운 것은 두 사람을 성원하고, 마음속으로 공감을 표시하는 듯이 보이는 격렬하고 암시적인 기술이 눈에 띈다는 점이다. 예를 들면 위에 그려진 지도다. … 그 지도에는 러시아령, 중국, 조선, 일본은 각기 분명히 다른 나라로 그려지고, 그 위에 (1) 잊지 말자, 동양의 현상을 (2) 큰 강의 물도 조그만 개울로부터 모인다 (3) 전진하자, 민족 지도(指導)를 위해 (4) 나를 버리고 서로 회원을 위해 친구를 위해 일합시다, 라고 쓰여 있다. 조그만 개울이 김, 지 두 사람을 가리키고, 전진하라가 두 사람에 대한 격려의 말이며, 그 다음 (4)를 자신들도 동지라는 의미로 해석한다면 그 이외의 해석이 있을 수 있을까? 그이들이 평생 마음속 깊이 간직하고 있었던 것은 한국의 독립이라고 생각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 제2장 한국계 장교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