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기호학/언어학 > 언어학/언어사
· ISBN : 9791186402276
· 쪽수 : 240쪽
· 출판일 : 2015-04-30
책 소개
목차
서 론
제1장 언어철학의 역사와 물음들
1.1 언어철학의 역사
1.2 언어철학의 물음들
제2장 고대철학에서 언어문제 ?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
2.1 플라톤의 대화편 <크라튈로스>와 소크라테스 이전의 논쟁
2.2 아리스토텔레스와 기호론적 삼각형
제3장 근대의 계속된 발전 ? 로크
3.1 로크의 언어규정
3.2 로크의 심리주의적 의미개념의 문제점들
3.3 의미론적 원자론의 문제들
제4장 프레게와 이상적 언어철학
4.1 맥락원리와 구성원리
4.2 뜻과 의미(Sinn und Bedeutung)
4.3 언어비판과 이상적 언어 철학
제5장 비트겐슈타인과 일상언어철학
5.1 <철학적 탐구>의 비판적 지향점
5.2 언어게임의 철학
5.3 규칙준수의 문제
5.4 비트겐슈타인의 비판과 일상언어철학
제6장 화행론과 의미론적 지향주의
6.1 오스틴: 화행론을 향하여
6.2 화행론의 특징
6.3 그라이스의 의미론적 지향주의
6.4 의미론적 지향주의 비판
제7장 언어철학에서 해석학적 전회: 헤르더와 하이데거
7.1 헤르더와 해석학적 반심리주의의 정초
7.2 정신과 언어의 연관에 대한 헤르더의 해명
7.3 해석학적 언어개념의 발전: 하이데거
7.4 해석학적 언어철학에 대한 비판
제8장 언어의 상호주관성: 데이비슨과 브랜덤
8.1 근본적 해석이라는 사유실험과 데이비슨의 해석주의
8.2 데이비슨의 상호작용주의
8.3 데이비슨 이후의 언어철학: 중간요약
8.4 브랜덤의 규범적 실용주의
8.5 후기분석철학의 입장에서 본 언어철학
제9장 현상학적-구조주의적 전통 이후: 데리다
9.1 소쉬르의 구조주의
9.2 소쉬르 이후 구조주의의 발전
9.3 데리다의 테제: 언어(와 경험)의 문자적 특성
9.4 이해의 반복가능성과 영향사적 구성
9.5 언어적 이해의 사회적 구조
제10장 언어와 반성성 ? 한 가지 전망
10.1 언어와 정신
10.2 짧은 역사회고
10.3 해명해야 할 물음들에 대한 새로운 관점
참고문헌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