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커리큘럼
· ISBN : 9791186463000
· 쪽수 : 336쪽
· 출판일 : 2015-04-05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좋은 수업을 실천하는 한 가지 방법, “프로젝트 수업”
1부. 프로젝트 수업, 우리의 교실을 바꾼다
01. 프로젝트 수업은 ‘훌륭한 선생님’만 한다
02. 프로젝트 수업, 그것이 알고 싶다
03. 프로젝트 수업에 대한 진실과 거짓
04. 프로젝트 수업은 선생님의 기획력으로 완성된다
05. 프로젝트 수업 기획에 필요한 네 가지 핵심 전략
[제 1전략] 유형 : 세 가지 스타일에 주목하라
[제 2전략] 기획 : 기획의 절차에 집중하라
[제 3전략] 표현 : 우리의 수업을 세상과 만나게 하라
[제 4전략] 평가 : 최고의 프로젝트 수업을 완성한다
2부. 초등학교 프로젝트 수업 : 교과서를 넘어 전체를 바라보는 수업(P유형)
1장. [우리] 프로젝트 수업 : 초등 6학년 교실에서 만나는 프로젝트 수업
01. 교사, 새로운 과목을 창조하다
02. 프로젝트 수업은 친절한 안내자가 필요하다
03. [우리] 프로젝트 수업을 소개합니다
04. 케이스 스토리 01 : [새출발 새마음] 프로젝트 수업
05. 케이스 스토리 02 : [건강한 6학년은?] 프로젝트 수업
06. 케이스 스토리 03 : [스마트 교육] 프로젝트 수업
07. 케이스 스토리 04 : [우리 모두의 무대] 프로젝트 수업
08. 케이스 스토리 05 : [연설하라! 실천하라!] 프로젝트 수업
09. 케이스 스토리 06 : [차이와 차별] 프로젝트 수업
10. [우리] 프로젝트 수업 표현과 평가는 어떻게 할까?
2장. [나를 만나는 여행] 프로젝트 수업 : 학생들의 미래를 생각하는 진로교육(O유형)
01. 초등 진로교육의 시작, 초등 3학년 진로 프로젝트
02. 케이스 스토리 07 : [나를 만나는 여행] 프로젝트 수업을 소개합니다
03. [나를 만나는 여행] 프로젝트 수업 표현과 평가는 어떻게 할까?
3부. 중학교 프로젝트 수업 : 수학, 프로젝트 수업을 만나다(O유형)
01. 수학수업에서 프로젝트 수업은 어떤 의미일까?
02. [세상에 존재하는 것에는 이유가 있다] 프로젝트 수업
03. 케이스 스토리 08 : [세상에 존재하는 것에는 이유가 있다] 프로젝트 수업을 소개합니다
04. [세상에 존재하는 것에는 이유가 있다] 프로젝트 수업 표현과 평가는 어떻게 할까?
4부. 고등학교 프로젝트 수업 : 학교 시험과 입시, 두 마리 토끼를 잡는 수업(T유형)
1장. 역사교과 프로젝트 1 : 배움이란 무엇인가
1. 케이스 스토리 09 : [교과 탐구] Theme 프로젝트 수업
2. 케이스 스토리 10 : [사회적 책임] Theme 프로젝트 수업
[스페셜 페이지] 역사교과 프로젝트 수업, 살아 있는 역사수업을 만나다
2장. 역사교과 프로젝트 2 : 역사수업에서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O유형)
1. [진실] 프로젝트
2. [진실] 프로젝트를 시작합니다
[스페셜 페이지] 구술채록은 어떻게 할까?
3. 케이스 스토리 11 : [원균과 이순신] 프로젝트 수업
4. 케이스 스토리 12 : [구술로 배우는 역사] 프로젝트 수업
[스페셜 페이지] 역사 프로젝트 수업을 말하다
3장. 고등학교 지구과학 교과 프로젝트 : 과학시간에 프로젝트 수업을 만나다
1. 케이스 스토리 13 : [아름다운 한반도] 프로젝트 수업
2. 케이스 스토리 14 : [부글부글 화산과 지진] 프로젝트 수업
[스페셜 페이지] 지구과학 프로젝트 수업을 말하다
5부. 교과융합 프로젝트 수업 : 프로젝트 수업의 미래를 보다(O유형)
1장. 고등학교 교과융합 프로젝트 수업 1 : 역사와 과학이 만나다
1. 역사+지구과학 교과융합 프로젝트 수업이란 무엇인가?
2. 케이스 스토리 15 : [애민정책] 프로젝트 수업
3. [애민정책] 프로젝트 수업을 어떻게 진행할 것인가?
4. [애민정책] 프로젝트 수업 표현과 평가는 어떻게 할까?
2장. 고등학교 교과융합 프로젝트 수업 2 : 역사와 영어가 만나다
1. 역사+영어 교과융합 프로젝트 수업이란 무엇인가?
2. 케이스 스토리 16 : [여성의 삶] 프로젝트 수업
3. [여성의 삶] 프로젝트 수업 표현과 평가는 어떻게 할까?
│에필로그│ 더 즐겁고, 덜 미안한 수업을 위해 노력하는 교사들
│특별부록 1│ 프로젝트 수업, 평가의 루브릭 예시
│특별부록 2│ 교과별 교육과정 흐름도
저자소개
책속에서
프로젝트 수업의 내용에 관련된 지필평가도 국가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성취수준 도달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것이어야 한다. 교과교육 내에서의 프로젝트 수업은 교육과정의 내용요소와 성취기준을 반영하는 것이 원칙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국가수준 교육과정 역시 단순한 사실의 암기를 목표로 하고 있지는 않으므로, 과정 중심의 평가를 하더라도 교육과정에 충실한 평가가 될 것이다. 그러므로 서술형 평가 및 논술형 평가가 프로젝트 수업에 따른 적절한 평가방식이다. -<프로젝트 수업, 교육과정을 만나다>
교수방법이나 각 교과목들이 유기적, 맥락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때 새로운 사고방식이 탄생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지금까지의 학교교육이 보여온 한계는 이러한 시스템이 사고로 이어지지 못한 것이 그 한 가지 이유라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배움 중심 수업은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는 수업이며 그 중심에 프로 젝트 수업이 위치하고 있다. -<초등학교 프로젝트 수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