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91186463284
· 쪽수 : 336쪽
· 출판일 : 2017-11-22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교육혁신, 어떻게 이룰 것인가?
1부. ‘왜’ 배움이어야만 하는가?
01. 미래, 과거가 닿지 못할 낯선 세상
02. 뉴노멀 시대,?‘더 열심히’는 미친 짓이다
03. 아이디어와 상상력 vs 자본, 시대가 원하는 답에 응답하라
04. 아이디어와 협력, 새로운 세상을 마주할 자의 필수자격
05. 지식인, 인식의 한계는 시대의 한계다
06. 과학교육, 우리는 왜 노벨상이 없을까?
07. 상식, 시대가 바뀌면 가치도 변한다
08. 꿈, 강요한다고 될 일인가?
09. 진로와 직업, 시대가 요구하는 자는 누구인가?
10. 철밥통 공무원??더 이상 안전지대는 없다
11. 가정교육, 이제 아무도 하지 않는 이야기
12. 대학입시, 길을 잃다
13. 수능, 객관적이며 공정하다고 믿고 싶은 미신
14. 수시, 저항의 실체는 누구인가?
15. 일반고의 반란, 전교 1등이 떨어진 대학에 전교 7등이 붙더라?
16. 학생부종합전형, 금수저냐 흙수저냐
17. 학생부종합전형, 학교로 돌아오는 아이들
18. 대학입시제도, 사교육의 퇴장과 배움의 등장
19. 배움, 답정너에게 질문을 퍼부어라
20. 기술, 과연 인간의 문제까지 해결할 수 있을까?
2부. ‘무엇을’ 배울 것인가?
01. 4차 산업혁명의 파도 위에 교육이라는 구조선을 띄워라
02. 사고의 전환, 무지를 인정하고 경계 파괴하기
03. 다름을 인정하는 창의성과 비판적 사고
04. 낯선 것에 대한 거침없는 호기심 - 프랭클린의 번개
05. 쓸데없어 보이는 것들의 진짜 쓸모!
06. 우상과 부당한 질서에 저항하는 법
07. 아무도 가보지 못한 길을 찾는 법
08. 이상한 나라의 미친 암기 교실에서 빠져 나오는 법
09. 모두의 배움, 왜 학점제인가?
10. 학점제, 오해와 진실
11. 학점제, 하려면 제대로 하자
12. 학점제, 어떻게 실현할 것인가?
13. 학점제, 외국 사례
14. 야자폐지와 학생들의 삶, 우리는 아이들을 정말 존중하는가?
15. 진짜 공정하게 평가하는 법
16. 제대로 정의롭게 경쟁하는 법
3부. ‘어떻게’ 배울 것인가?
01. 혁신학교를 돌아보다
02. 미래사회, 혁신학교를 넘는 가치를 찾는다
03. 비판적 사고와 새로운 지식의 추구
04. 코가 베어진 채 길들여지는 아이들
05. 쉽게 얻어지는 배움은 없다
06. 아이들은 누구나 뛰어나다. 진심으로 믿어라
07. 자사고와 특목고가 없어지면 일반고가 살아날까?
08. 일반고의 항변, 아무도 말하지 않는 학교의 비밀
09. 모두에게 희망인 학교를 향해서
10. 착각하지 마라. 학교는 사라지지 않는다
11. 언제까지 선행할래?
12. 대학이 변한다
13. 교육정책이 변한다. 기초학력미달자와 폭탄 돌리기
14. 학제개편, 다 변하는데 6-3-3만 70년째다
15. 교사와 학교가 변한다. 이래야 학교지!
16. 학생이 변한다. 질문으로 배우게 하라
│에필로그│ 배움의 길에서 교육의 미래를 찾다
책속에서
자신은 교육을 소비하는 소비자로서 아무런 책임의식도 갖지 않고 불만과 비판만 늘어놓는 학부모들과 지역이 대다수일 때 학교는 변하지 않고 아이들은 제대로 성장하지 못한다. 교육에 대한 책임을 학교로 떠넘기는 것이 당장은 마음 편할지 모르지만 결국 그것이 우리 아이들에게는 부정적인 결과로 나타나게 된다. 또 당장 자신의 아이 하나 둘도 제대로 감당하지 못하면서 학교 탓만 하는 것은 얼마나 무책임한가?- <가정교육, 이제 아무도 하지 않는 이야기>
그래서 “보통 이렇잖아. 그런 건 해본 적이 없는데.”라는 말을 경계해야 한다. 이런 말들이 만연하는 조직에서는 사고가 정지하고 변화를 일으킬 수 없기 때문이다. 틀에 박힌 사고나 행동은 유연한 사고와 새로운 시도를 방해한다. 문제를 인식하는 사람만이 현상을 개선하고 앞으로 나아갈 수 있다. 우리의 문제는 새로운 사고를 방해하는 죽은 공부, 즉 배움이 없는 교육에 있다. 문제는 배움이다.- <배움, 답정너에게 질문을 퍼부어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