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문학사
· ISBN : 9791186530665
· 쪽수 : 576쪽
· 출판일 : 2019-01-29
책 소개
목차
책을 펴내며 4
1부 한국 근현대문학을 개척한 광주전남의 선각자들
1. 광주의 문학정신과 광주전남문학사의 뿌리 찾기 13
2. 근현대문학의 거대한 뿌리, 조운 시인과 박화성 소설가 15
3. 최초의 근대적 희곡작가 김우진과 <사의 찬미>의 윤심덕 21
4. 한국 현대시의 선구자 <시문학파>의 박용철 김영랑 김현구 시인 30
5. 친일문학의 기로에서 '민족혼'을 지켜낸 광주전남의 문인들 46
6. 해방정국과 <조선문학가동맹> 그리고 조운 시인의 월북 56
7. 광주 현대문학의 아버지, 김현승 시인의 가계사와 등단 무렵 61
8. 다형 김현승 시인이 한국문학사에 남긴 업적과 평가 71
9. '순수서정' 이동주와 '5월의 여성시인' 고정희,
그리고 「휴전선」 박봉우의 시정신 94
10. 죽형 조태일 시인이 민족문학사에 남긴 업적 108
2부 참여문학의 등장과 민족문학운동의 출발
1. 1970년 5월, 새로운 출발선상에 선 한국문학 123
2. 민족문학의 신호탄, 김지하의 담시 「오적」 출현 127
3. 담시 「오적」 필화사건과 43년 만의 재심판결 136
4. 『사상계』의 폐간과 '광복군' 장준하의 파란만장한 생애 143
5. 전태일 분신자살사건과 김지하 첫 시집 『황토』 출간 154
6. 유신 악법의 등장과 문인 61명의 개헌청원 지지 선언 157
7. '민청학련사건'과 '전남대'의 민청학련 연루자들 161
8. 1974년 11월 18일, '자유실천문인협의회'의 출범 165
9. 동아일보 격려광고와 김지하의 「고행… 1974」 필화사건 171
10. <자실>의 출범과 1974년 무렵의 광주전남 문단의 현황 177
3부 1970년대 반독재 민족문학을 선도한 광주의 문인들
1. 60년대 참여문학론에서 70년대 민족문학론으로 185
2. 광주의 민족문학을 선도한 문병란 시인의 생애와 업적 189
3. 유신체제를 강타한 양성우 시인의 「겨울공화국」 낭송사건 201
4. 새로운 야성의 목소리로 한국 시단을 일깨운 김준태 시인 207
5. 저항문학의 극점, 양성우의 '장시 「노예수첩」 필화사건' 216
6. 전남대 <우리의 교육지표> 선언을 주도한 송기숙 작가 224
7. 가장 강력한 '반독재 민주화투쟁'에 헌신한 김남주 시인 230
4부 '5·17쿠데타'와 광주 문인들의 '진실 투쟁'
1. 박정희 유신체제의 붕괴와 1980년 '서울의 봄' 245
2. 윤재걸 양성우 문병란 시집이 몰고 온 파장 253
3. 이명한 송기숙 작가의 문학적 성과와 무크 『실천문학』 260
4. '서울역 회군'과 '5·17쿠데타' 그리고 '광주시민봉기' 268
5. 5·18민중항쟁을 전후로 한 광주 문청들의 '진실투쟁' 274
6. <투사회보>의 제작에 참여한 '광대'단원과 '들불야학' 278
7. 황지우 김현장, 이영진-김진경-윤재철 시인의 유인물 제작 283
8. 김준태의 「아아 광주여, 우리나라의 십자가여!」 필화사건 291
5부 <5월시> 동인과 <광주젊은벗들>의 문학운동
1. 'K-공작계획'과 '삼청교육대'그리고 5공 정권의 등장 303
2. 1980년 5월과 한국문학의 '그라운드 제로' 307
3. 살아남은 자의 부끄러움과 <5월시> 동인의 결성과정 309
4. 1981년 여름, 5공의 폭압을 뚫고 출간된 <5월시> 1집 316
5. <5월시> 2집에 참여한 동인들과 5월시 선언문, '제3문학론' 320
6. <5월시> 동인이 1980년대 한국문학사에 남긴 업적 324
7. <5월시> 동인의 『민중교육』 출판과 '전교조'의 출범 327
8. 80년대 문학의 '상징'에서 자발적 '순명'을 선택한 <5월시> 330
9. '오월문학사'의 거대한 분수령, 임철우의 장편 『봄날』 335
10. 5월의 진실을 알리기 위한 <광주젊은벗들>의 등장 338
11. 김준태 시인의 학다리고 제자 이승철이 겪은 그해 5월 341
12. 자작시 「일어서라 꽃들아」 살포사건으로 제적당한 조진태 348
13. 『실천문학』 첫 신인 박선욱과 '아들사건'의 정삼수 박정열 박정모 351
14. 1982년 12월, 광주 시민들 앞에 나타난 <광주젊은벗들> 354
15. <광주젊은벗들>의 주요 활동과 그들이 추구한 것들 361
16. 광주 <민문연>의 문학운동과
고규태 전용호 정진백 등의 지역출판운동 371
17. 1980년대 광주의 노래운동과 김종률 김원중 정세현 등의 활동 379
18. 임동확 정철훈 시인과 5월항쟁의 문학적 심화 384
19. 김해화 오봉옥 등 <해방시> 동인들과 김하늬 시인을 기억하면서 389
20. '문학의 진실'과 '이데올로기의 종언' 사이에서 392
부록 광주전남 문인들과의 서면 인터뷰
나의 삶, 나의 문학을 말한다
서면 인터뷰를 게재하면서 401
서면 인터뷰 답변 문인들
문순태 404 | 허형만 410 | 김희수 416 | 박호재 422
이은봉 430 | 김형수 435 | 이도윤 441 | 박상률 443
박관서 448 | 염창권 451 | 은미희 457 | 박두규 462
채희윤 465 | 송은일 468 | 김선태 474 | 김경윤 479
김 완 485 | 심영의 490 | 김여옥 494 | 최기종 502
조성국 508 | 이지담 511 | 서애숙 519 | 이재연 525
이대흠 532 | 유종화 538 | 송태웅 543 | 정윤천 548
이상인 552 | 장진기 558 | 이민숙 5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