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서양철학 일반
· ISBN : 9791187141242
· 쪽수 : 408쪽
· 출판일 : 2017-03-02
책 소개
목차
저자 서문
일반 역사
학문과 문화
서양철학 개관
1장 철학이란 무엇인가 ·25
2장 철학의 과제 ·35
3장 고대철학 ·43
3.1. 자연철학
3.2. 이오니아의 철학자들
3.2.1. 탈레스
3.2.2. 아낙시만드로스
3.2.3. 아낙시메네스
3.2.4. 피타고라스
3.2.5. 파르메니데스
3.2.6. 헤라클레이토스
3.3. 원자론자들
3.3.1. 엠페도클레스
3.3.2. 데모크리토스
3.3.3. 아낙사고라스
3.4. 요약
3.4.1. 아르케와 존재자의 존재
3.4.2. 실체존재론과 양자론
3.4.3. 실체존재론과 화이트헤드
3.5. 아테네를 중심으로 한 철학
3.5.1. 소피스트
3.5.2. 파르메니데스와 소피스트
3.5.3. 소크라테스
3.5.4. 플라톤
3.5.5. 아리스토텔레스
3.6. 소크라테스학파
3.6.1. 메가라학파
3.6.2. 퀴니코스학파
4. 헬레니즘 시대의 철학
4.1. 에피쿠로스
4.2. 스토아철학
5. 신플라톤주의
5.1. 필론
5.2. 플로티노스
6. 중세철학
6.1. 교부철학
6.1.1 교부철학의 주제들
6.1.2. 아우구스티누스
6.2 스콜라철학
6.3. 전환기의 철학자들
6.3.1. 마이스터 에크하르트
6.3.2. 쿠자누스
6.4. 유명론과 르네상스
7. 근대철학
7.1. 데카르트
7.1.2. 스피노자
7.1.3. 라이프니츠
7.2. 영국 경험론
7.2.1. 로크
7.2.2. 흄
7.3. 칸트
7.3.1. 철학의 과제
7.3.2. 방법론
7.3.3. 순수이성비판
7.3.4. 실천이성비판
7.3.5. 판단력비판
8. 칸트 이후의 철학
8.1. 낭만주의와 신앙 철학자들
8.2. 독일 관념론
8.2.1. 피히테
8.2.2. 셸링
8.2.3. 헤겔
8.3. 유물론과 마르크스
8.3.1. 변증법적 유물론
8.3 2. 사적 유물론(유물사관)
8.4. 생철학
8.4.1. 쇼펜하우어
8.4.2. 니체
8.4.3. 베르그송
9. 현대철학
9.1. 실존주의
9.1.1. 키에르케고르
9.1.2. 야스퍼스
9.1.3. 사르트르
9.1.4. 까뮈
9.2. 현상학
9.3. 하이데거
9.4. 구조주의
9.4.1. 소쉬르
9.4.2. 방법론으로서의 구조주의
9.4.3. 레비스트로스
9.5. 포스트모더니즘
9.6. 과학철학
9.6.1. 칼 포퍼
9.6.2. 토마스 쿤
9.7. 롤즈
9.7.1. 정의론
9.7.2. 자유의 원리
9.7.3. 기회균등의 원리
인명색인
저자소개
책속에서
실존은 언제나 타자 지향적이다. 자기 자신으로 존재하기 위해서는 본질적으로 다른 사람들과의 소통이 필수적이다. 실존은 사람에 대한 사람의 소통을 통한 ‘사랑의 투쟁’에서 실현된다. 이 투쟁에서는 공격과 방어가 힘을 얻는데 사용되지 않고, 사람들이 서로 가까워지고 서로 희생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사람들은 존재를 내적으로 인식하게 되고, 사랑의 빛에서 완전한 평화에 도달한다.
인간의 의식은 그의 존재 한 가운데 있는 ‘갈라진 틈’(gap)이다. ... 틈은 ‘트임’이다. 틈은 개방성이다. 따라서 인간의 의식은 틈이며 무이다. 인간의 의식은 트임이기 때문에 자신에게만 갇힌 즉자적 존재가 ‘아님’(무)이다. 따라서 의식은 지향성이다.
열린사회는 전통적 권위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고 거부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사회이다. 열린사회의 구성원들은 인간미, 자유, 평등과 합리적 평가에 근거해 새로운 전통을 수립하고자 한다. 그들은 제시된 정책들을 비판하고, 만일 그 정책들이 바람직한 결과를 가져올 가능성이 없어 보이면 필요에 따라 그 정책들을 포기한다. 이와 반대로 ‘닫힌사회’는 사상과 언어와 행동을 통제하는 권위에 복종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