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작가론
· ISBN : 9791187141761
· 쪽수 : 352쪽
· 출판일 : 2023-05-10
책 소개
목차
서 문 7
Ⅰ. 현대 오스트리아 문학과 페터 한트케
1. 역사적 개관 15
2. 오스트리아의 현대문학 개관 19
3. 페터 한트케의 위상 33
Ⅱ. 초기의 문학이론
1. 청소년시절의 습작들 39
2. 그라츠 시절 66
3. 언어 중심의 문학이론 79
4. 비판과 논쟁 91
5. 신사실주의와 〈47 그룹>에 대한 반대 선언 94
6. 실험과 전위의 작가 페터 한트케 100
III. 작품에서 보이는 자아 추구 현상들
1. 삶과 문학 107
2. 출생과 어린시절 112
저자소개
책속에서
누구나 그렇듯이 한트케도 자신의 고정관념, 자기 자신의 이야기, 특히 자기 자신의 구체적 경험들을 가지고 산다. 그러나 그가 작가로서 개인적 경험들을 글로 이야기할 때 그의 삶, 특히 그의 과거는 저작의 풍부한 원천이 된다. 동시에 과거와 맞서서 자신을 살펴보는 성찰이 중요한 테마로 대두된다. 과거란 기억 속에 보존된 체험들이며 또한 계속 내부에 머무르며 정신적 삶을 넓혀나가는 요소이기도 하다. 한트케 역시 현재의 삶을 제한하고 있는 과거의 다양한 체험들을 기억 속에 간직하고 있으며 그것들을 회상한다. 이러한 회상들을 그는 그의 작품 도처에서 표현하고 있다. 그러나 그것들은 즐거움으로서가 아니라 그를 압박하는 고통으로 등장한다. 한트케에게 있어서 과거란 마르셀 프루스트의 경우처럼 잃어버린 낙원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다만 “폐허”일뿐이기 때문이다.
회상들의 폐허 - 나는 장소들이나 집들, 얼굴들의 개별성을 떠올리려고 해보지만 그것들은 언제나 폐허들로만 나타난다.
한트케가 자신의 과거를 오직 폐허로만 회상하는 이유는 그것이 너무도 쓰라렸기 때문이다. “나의 과거 - 만약 그것이 좋은 것이었다면, 나는 상황을 회상하고, 만약 그것이 나쁜 것이었다면, 그것은 나였다.” 그래서 그는 차라리 “회상 속에서가 아닌 지금이 아름답기를”
바라며 회상과 기억으로부터 벗어나길 소망한다. 과거에 대한 이러한 태도는 한트케로 하여금 과거 속에서 삶의 가치와 삶의 위안을 발견한다고 믿었던 마르셀 프루스트나 그의 동시대인들에 대해 저항감을 갖게 한다.
더 이상 이러한 가슴의 고통 아래 놓이지 않기 위해 과거를 완전하게 잊어야만 한다는 확신. 나는 내 기억력을 상실해야 한다! 프루스트와 벤야민, 그리고 회상의 기쁨과 회상에 대한 자의식을 가진, 잘 보호된 시민적 의식에의 반대. (어린시절부터 나를 제한한 기억에 대항하는 나의 투쟁 - 기억은 나를 죽음으로 위협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