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91187147459
· 쪽수 : 352쪽
· 출판일 : 2019-07-29
책 소개
목차
들어가는 말
기본 개념
01 자본주의란 무엇인가? | 02 재산과 재산권 | 03 자유 시장 | 04 자본 | 05 노동과 잉여가치 | 06 화폐 | 07 독점 | 08 비교우위 | 09 보이지 않는 손 | 10 창조적 파괴 | 11 성장
자본주의의 여러 제도
12 기업가 | 13 기업 | 14 은행 | 15 정부의 역할 | 16 중앙은행 | 17 노동조합
금융과 금융시장
18 주식시장 | 19 금융 시스템 | 20 유한 책임 | 21 효율적인 시장 | 22 금융위기 | 23 부채
정치경제
24 민주주의 | 25 보수주의와 자유주의 | 26 사회주의 | 27 마르크시즘 | 28 케인스 혁명 | 29 국유화와 민영화 | 30 복지국가 | 31 산업혁명 | 32 제국주의와 식민지주의 | 33 전쟁 | 34 세계화 | 35 중국의 기적 | 36 자유로운 사람들의 땅?
사회와 문화
37 소비지상주의 | 38 실업 | 39 문화 | 40 진화 | 41 탐욕 | 42 불평등 | 43 빈곤 | 44 이민
자본주의의 미래
45 경기침체 | 46 풍요와 과잉 | 47 노동의 미래 | 48 디지털 경제 | 49 환경 | 50 대안이 있는가?
용어 설명
찾아보기
리뷰
책속에서
누군가 질문한다면, 우리 대부분은 자본주의가 21세기 세계 경제 그리고 어쩌면 실질적으로 사회 전반을 정의하는 기본 원리라고 답할 것이다. 하지만 그와 동시에 많은 경제학자들을 포함해 대부분의 사람들이 자본주의가 정확히 무엇을 의미하는지 쉽게 말하지 못한다.
이것(자본주의)은 상당히 강력한 개념이다. 좋든 나쁘든 수요와 공급, 생산과 소비 사이의 상호작용은 지난 몇 세기 동안 우리 사회를 형성하는 데 강력한 힘으로 작용했음이 증명되고 있다. 간혹 정부 또는 다른 힘들이 우리의 선택과 결정, 인센티브의 내용을 구성하고 제한하는 데 강력하게 개입하기도 하지만, 자본주의를 정의하는 궁극적 요인은 수요와 공급에 대한 사적 결정권이다.
자본주의 체제에서 정부의 역할은 시간과 공간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어 국가가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를 생각해보자. (눈에 띄는 예외인 미국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나라가 거의 모든 국민에게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지만, 그 방식은 매우 다양하다. 영국의 경우 국책 기관에서 의료 서비스를 무상으로 제공한다. 다른 나라들은 국가가 직접 자금을 대거나 정부가 관리하는 사회보험제도를 통해 재원을 마련하지만, 서비스는 주로 자선단체나 민간에서 제공한다. 주로 민간에서 의료 서비스를 담당하는 미국에서조차 빈곤층과 노년층에게는 세금으로 의료 보호 혜택을 제공한다. 분명한 사실은 어떤 선진국도 의료 서비스를 시장에만 맡겨두지 않으며 맡겨서도 안 된다는 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