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메이지라는 시대 1

메이지라는 시대 1

(유신과 천황 그리고 근대화)

도널드 킨 (지은이), 김유동 (옮긴이)
서커스(서커스출판상회)
3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7,000원 -10% 0원
1,500원
25,500원 >
27,000원 -10% 0원
0원
27,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1개 18,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21,000원 -10% 1050원 17,850원 >

책 이미지

메이지라는 시대 1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메이지라는 시대 1 (유신과 천황 그리고 근대화)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일본사 > 일본근현대사
· ISBN : 9791187295075
· 쪽수 : 824쪽
· 출판일 : 2017-10-31

책 소개

일본문학 연구가 도널드 킨의 <메이지라는 시대>. 일본 유신의 주도 세력들이 어떻게 근대화와 부국강병을 추구해 나갔고 그 과정에서 발생한 무수한 시행착오와 오류들을 다양한 에피소드를 통해 흥미롭게 이야기한다.

목차

저자 서문
서장
제1장 고메이 천황
제2장 사치노미야의 탄생
제3장 개국필지(開國必至)
제4장 타운센드 해리스
제5장 불충지배(不忠之輩)
제6장 무쓰히토
제7장 황녀 가즈노미야
제8장 “정이대장군!”
제9장 합어문(蛤御門)의 변
제10장 천황가의 저주
제11장 책사 이와쿠라 도모미
제12장 재원 하루코 황후
제13장 마지막 쇼군 요시노부
제14장 도망친 쇼군
제15장 무쓰히토의 행차
제16장 첫 개선
제17장 천황가의 반란
제18장 동쪽의 도읍 도쿄
제19장 검소한 천황
제20장 에딘버러 공 알현
제21장 시독(侍讀) 모토다 나가자네
제22장 번(藩)을 폐하고 현(縣)으로 하다
제23장 천황 사절단
제24장 상장군(上將軍) 소에지마 다네오미
제25장 에토 신페이의 목
제26장 궁중 제일의 현부인(賢婦人)
제27장 서쪽의 불만 세력
제28장 공신인가 적신인가 사이고 다카모리
제29장 오쿠보 도시미치 암살
제30장 류큐 왕 퇴위
제31장 그랜트 장군의 휴가
제32장 교육칙어 탄생 전야
제33장 다루히토의 헌법 초안
제34장 카라카우아 왕 일행
제35장 자유 민권 운동
저자주

저자소개

도널드 킨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일본 문학과 일본 문화 연구의 일인자로 손꼽히는 문예평론가. 뉴욕 브루클린에서 태어나 컬럼비아대에서 일본어를 공부했다. 하버드대를 거쳐, 케임브리지대에서 강사로 있었고 교토대에서 유학했다. 고전 시가부터 현대문학에 이르기까지 일본 문화 전반에 대한 폭넓은 그의 연구는 전체 5천 페이지에 달하는 필생의 역작 『일본문학사』(일어판 전18권)로 결실을 맺었다. 다니자키 준이치로, 가와바타 야스나리, 아베 코보, 오에 겐자부로, 시바 료타로 등 현대 일본을 대표하는 수많은 작가들과 교우를 맺었고 특히 미시마 유키오와의 깊은 친교는 널리 알려져 있다. 저서로 『일본의 문학』, 『일본인의 미의식』, 『일본 문학을 읽다』, 『백대의 과객』, 『두 개의 모국에 살면서』, 『메이지라는 시대』, 『나의 소중한 장소』 등 30여 권이 있고 마쓰오 바쇼, 지카마쓰 몬자에몬, 다자이 오사무, 미시마 유키오, 아베 코보의 작품 등을 번역해 영미권에 소개했다. 50여 년 교편을 잡았던 컬럼비아대에 1986년 그의 이름을 딴 '도널드 킨 일본 문화 센터'가 설립되었으며 케임브리지대, 와세다대, 게이오대 등 20여 대학에서 명예박사 학위를 수여받았다. 기쿠치 간 상, 국제출판문화상, 요미우리문학상, 일본문학대상, 전미문예평론가상, 이노우에 야스시 문화상, 아사히상, 마이니치출판문화상 등을 수상했고 2008년 외국인 학자로는 처음으로 일본 정부로부터 문화훈장을 받았다. 2011년 동일본 대지진을 계기로 일본에 영주하기 위해 일본 국적을 취득했고 한자로 키누 도나루도(鬼怒鳴門)라는 이름을 스스로 지어 사용하고 있다.
펼치기
김유동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36년생. 연세대학교 의예과를 수료했다. 한글학회, 잡지사 등을 거쳐 경향신문 부국장과 문화일보 편집위원을 지냈다. 저서로 『편집자도 헷갈리는 우리말』이 있고, 옮긴 책으로 『다자이 오사무 선집』 『메이지라는 시대』『사카구치 안고 선집』 『마태 수난곡』 『모차르트의 편지』 『고전과의 대화』 『유희』 『주신구라』 『잃어버린 도시』 『빈 필-음과 향의 비밀』 『투명인간의 고백』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천황과 대다수 귀족들은 막부의 세상을 원망하며 천황이 군림하던 지난날을 그리워했을지는 몰라도, 그러한 규제에 울분을 터뜨리는 일은 없었다. 그들이 사는 세계는 지극히 좁았으나 그 한계에는 신경도 쓰이지 않았던 모양이다. 보잘것없는 소소한 관심사만이 수십 년, 수백 년 동안 궁중 사람들의 마음을 지배하고 있었다. 궁중 생활에 간섭하는 막부나 그들의 일거수일투족을 감시하기 위해 에도에서 파견 나온 관리의 존재에 분개하는 사람들까지도 막부에서 주는 봉록 없이는 살아나갈 수 없다는 것쯤은 충분히 알고 있었다.


궁중의 의식이 얼마나 토지 점에 좌우되었는지 그 위력을 짐작할 수 있다. 비슷한 생각은 헤이안(平安) 시대로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가령 이야기책이나 수필 같은 데서 곧잘 마주치는 ‘가타타가에(方違え,방위틀기)’처럼 나들이를 하는 경우 불길한 방위를 피해가는 토지의 방위는 사람들의 행동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끼치고 있었다. 똑같은 속신이 오늘날에 와서도 스러지지 않고 있다.


구로다의 진언은 무작정 개국을 지지하는 것은 아니었다. 그러나 미국 함대가 우라가 앞바다에 모습을 나타낸 지 2개월이 안 되는 기간에, 그것도 겨우 석탄에 대한 권리를 요구하는 대통령의 국서를 계기로, 힘 있는 다이묘 가운데 한 명이 2백 년 이상이나 이어져온 제도의 해체를 제안한 것이다. 놀라운 일이라 하지 않을 수 없었다. 당연한 일이지만 구로다는 막부 자체의 해체를 제안한 것이 아니다. 또 이전부터 속삭거려 온 신생 일본의 천황이라는 존재의 중요성을 시사한 것도 아니다. 그러나 그는 분명히 도쿠가와 정권의 기반이었던 쇄국에 종지부를 찍어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872951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