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여성학/젠더 > 여성학이론
· ISBN : 9791187373841
· 쪽수 : 588쪽
· 출판일 : 2019-04-26
책 소개
목차
9 책머리에
1부 “아저씨 독자”가 떠난 자리
25 ‘장편의 시대’와 ‘이야기꾼’의 우울
―천명관과 정유정에 대한 비평이 말해주는 몇 가지 것들
55 한국문학의 ‘속지주의’를 묻다
―천명관과 박민규 소설에 나타난 ‘이국異國’
80 퇴행의 시대와 ‘K문학/비평’의 종말
―2015년 문학권력 논쟁 및 문학장의 뉴웨이브를 중심으로
118 혐오의 시대, 한국문학의 행방
133 ● ‘장강명 스타일’과 그의 젊은 페르소나들
─장강명의「알바생 자르기」
2부 ‘민주화’ 이후의 질문들과 뉴웨이브
145 누가 민주주의를 노래하는가
―신자유주의시대 이후 한국 장편 남성서사의 문법과 정치적 임계
173 ●○ ‘오구오구 우쭈쭈’ 시대의 문학
177 ○● ‘개’와 ‘사람’을 구분하는 법
182 비평의 백래시와 새로운 ‘페미니스트 서사’의 도래
211 ●○ ‘미러링’과 소수자의 언어
215 ○● 페미니즘 비평과 ‘예술 알못’
219 ‘퀸’의 상상력과 ‘투명한 신체’
─박근혜와 김연아를 통해 본 ‘싱글여성’의 싱귤러리티
236 ● 계속해보겠습니다
─TV드라마 <디어 마이 프렌즈>
240 권력의 여성, 여성의 권력
─여성과 정치를 상상하는 몇 가지 방식
256 ●○ 광장과 ‘혁명의 매뉴얼’
259 ○● 정치적 포르노그래피와 ‘형제들’의 혁명
3부 떠나보지 않고서야 어떻게
265 ‘성장’이라는 외상을 견디는 ‘여자들의 세계’
─최은영의『쇼코의 미소』
275 ‘즐거운 살인’과 ‘여성스릴러’의 정치적 가능성
─강화길의「서우」
287 집 떠난 뒤, ‘고독의 시간’을 지내는 방법
─전경린의『천사는 여기 머문다』
299 여성혁명가 서사와 ‘사회주의’라는 오래된 미래
─조선희의『세 여자』
320 “네가 다른 것이 되고자 소망한다면”
─명지현의『눈의 황홀』
4부 우리 각자의 솔기와 봉합선
351 “포스트-아포칼립스”를 향한 미지未知의 미러링
─이자혜의 <미지의 세계>
386 지금 한국문학장에서 ‘퀴어한 것’은 무엇인가
─한국 퀴어서사의 퀴어 시민권/성원권에 대한 상상과 임계
420 ●○○ ‘순정한’ 퀴어서사를 읽는 방법
─윤이형의「루카」
430 ○●○ 퀴어서사와 아포칼립스적 상상력
─최진영의『해가 지는 곳으로』
435 ○○● 음험하게 숭고한 사랑
─소설『우리가 통과한 밤』과 영화 <도희야>
444 퀴어한 세계에서 ‘퀴어’로 살아가기
─영화 <불온한 당신>과 <위켄즈>
5부 계량된 슬픔, 선별된 불행
471 ‘그날’ 이후의 서정시와 ‘망막적인 것’
―다큐/영화의 미학과 정치를 다시 묻기 위해
516 ‘세월호’ 이후의 언어와 표상들
536 ●○ 드라마를 보는 이유
─TV드라마 <태양의 후예>와 <시그널>
542 ○● 비상한 기억력의 계절과 ‘나쁜 나라’
─영화 <나쁜 나라>
546 ‘곁’을 넓히는 사랑과 슬픔의 형식
―혐오의 시대와 애도의 조건
569 ● 선량한 피해자들의 나라
573 발표 지면
575 색인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누군가는 이 제목에서 기존 주류 문학계의 지배질서와 기율들을 비꼬고 풍자하려는 의도를 읽을 테고, 또 누군가는 그간 ‘비문학적인 것’으로 간주됐던 관점과 문제의식 등을 이제부터 ‘문학’이라는 재현체계에등재시키겠다는 의지를 읽을 것이다.양쪽 중 어느 것에 방점을 찍느냐에 따라 ‘더할 나위 없이 아주’라는 뜻의 부사 ‘지극히’는 꽤 불온하게 읽힐 수도 혹은 비장하거나 유머러스하게 읽힐 수도 있으리라.
‘이야기꾼’이 관성적으로 거느리는 술어들, ‘한국소설과 다른’, ‘장편소설의 미덕’, ‘상업성’과 ‘문학성’ 같은 말들은 모조리 의심의 대상이다. 이 술어들은 작품 그 자체에 대한 이야기라기보다, 특정 대상을 타자화함으로써 성립 가능한 담론의 구조화에 복무하는 방식으로 구사되기 때문이다. ‘이야기꾼’을 패관으로 이해하든 장인으로 이해하든, 여기에 투영되어 있는 한국 이성애자 남성지식인 중심 문학사의 재림에 대한 욕망과 시장 평정에 대한 욕망은 서로 통한다.
한국문학의 현실이 아무리 개탄스럽더라도 이 모든 것을 ‘수준 미달’의 작가 신경숙 및 상업주의와 결탁한 창비의 ‘타락’ 탓으로 돌리는 것은 어딘지 전가의 혐의가 있다. 그것이 오늘날 한국문학이 독자를 거의 다 잃어버리고 게토화되기까지의 상황을 충분히 설명해주지는 않기 때문이다. 오히려 개탄스러운 현실을 초래한 원인은 이번 문학권력 논쟁에서 단적으로 드러난 바 있는 퇴행의 양상에서 찾아져야 한다. 그 ‘퇴행’은 오랫동안 한국문학(장)의 지배적 경향성을 형성해왔다는 점에서 그야말로 ‘한국문학적인 것’이라고 말해도 과언이 아니다. 엘리티즘적 계몽주의, 가부장주의, 시장패권주의, 순문학주의와 같은 그 퇴행의 내용들이야말로 지금의 ‘몰락’을 초래한 한국문학의 어떤 ‘체질’을 구성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오늘날 젊은 독자들은 바로 이 ‘체질’의 총체를 가리켜 ‘K문학’이라 부르기 시작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