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문학사
· ISBN : 9788937437984
· 쪽수 : 428쪽
· 출판일 : 2018-08-13
책 소개
목차
문학을 부수는 문학들
서문을 대신하여 7
1부
권보드래 평민의 딸, 길 위에 서다 — 신소설의 성(性)・계층・민족 21
심진경 여성문학의 탄생, 그 원초적 장면 — 여성・스캔들・소설의 삼각관계 46
장영은 ‘배운 여자’의 탄생과 존재 증명의 글쓰기 — 근대 여성지식인의 자기서사와 그 정치적 가능성 70
류진희 해방기 여성작가들의 문학적 선택 — 지하련・이선희・최정희・장덕조를 중심으로 92
이혜령 그녀와 소녀들 — 일본군 ‘위안부’ 문학/영화를 커밍아웃 서사로 읽기 116
2부
허윤 멜랑콜리아, 한국문학의 ‘퀴어’한 육체들 — 1950년대 염상섭과 손창섭의 소설들 155
강지윤 감수성의 혁명과 반(反)혁명 —김승옥의 「무진기행」과 ‘여성’이라는 암호 181
정미지 불온한 ‘문학소녀’들과 ‘여학생 문학’의 좌표 — 1960년대 독서의 성별화와 교양의 위계 200
김미정 ‘한국-루이제 린저’라는 기호와 ‘여성교양소설’의 불/가능성 — 1960~1970년대 문예 공론장과 ‘교양’의 젠더 228
3부
조서연 돌아온 군인들 — 1950~1970년대의 전쟁 경험과 남성(성)의 드라마 261
이진경 섹슈얼리티의 프롤레타리아화 — 1970년대 문학과 대중문화의 성노동 재현 288
김은하 ‘살아남은 자’의 드라마 — 여성 후일담의 이중적 자아 기획 310
오혜진 ‘이야기꾼’의 젠더와 ‘페미니즘 리부트’ — 신자유주의시대 이후 한국문학(장)의 기율과 뉴웨이브 340
참고문헌 377
색인 399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2015년과 2016년은 한국문학(장)에 지각변동이 일어난(혹은 일어날 뻔한) 해로 기록될 만하다. 2015년 신경숙 표절 사건에서 시작해 문학권력론으로 비화된 일련의 사태들은 문학출판 시장의 유통 질서, 주요 문예지의 상품 카탈로그화, 명망 있는 소설가들이 획득한 문학성 등을 모조리 심문에 부치며 기존 한국문학(장)의 질서와 위계에 대한 전면적인 개변을 요구했다. 여기에 더해 2016년 온라인상에서 전개된 ‘#문단_내_성폭력’ 해시태그 운동은 등단과 지면 등을 볼모로 원로?중견 남성문인들이 여성 신인 작가나 습작생들에게 저지른 숱한 성폭력 사건들을 폭로했다. 그리고 이 글을 쓰는 지금, 전 세계적으로 부상한 ‘#MeToo’ 운동에 힘입어 한국문학(장)은 또 한 번 뜨거워지는 중이다. 이제 우리는 한국문학사의 ‘명예’로 간주되던 작가들의 이름이 행여 ‘문학적 권위’라는 명분으로 정당화돼 온 가부장적 지배질서의 지표들은 아닌지 의심해 보게 됐다.
우선 이 기획이 처음부터 내세웠던 것이 ‘페미니즘 문학사’가 아니라 ‘페미니스트 시각’이라는 점을 강조해 두고 싶다. 우리는 가부장적 질서에 침윤된 기존의 ‘부정의한’ 문학이 있고, 그와 명백히 구분되는 (아마도 여성작가의 작품들로 구성되리라 상상되는) ‘완전무결한’ ‘페미니즘 문학’이 따로 존재한다고 생각하지 않았다. 우리가 탐구하고 싶었던 것은 기존 한국문학(사)에서 ‘문학적인 것’과 ‘비문학적인 것’, ‘남성적인 것’과 ‘여성적인 것’, ‘정치적인 것’과 ‘비정치적인 것’ 등을 가르는 기율들이 구성되는 원리였다. 그 원리가 여성과 성소수자를 비롯한 타자(성)에 대한 모종의 배제와 위계화를 경유?승인함으로써 성립해 온 것이라면, 새 세대 문학주체들에 의해 도래할 새로운 ‘문학(성)’은 그런 낡고 비민주적인 상상력을 반복하지 않기를 바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