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에세이 > 외국에세이
· ISBN : 9791187514404
· 쪽수 : 312쪽
· 출판일 : 2020-04-27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며 프리랜서는 자유라는 이름의 업보다
프리랜서에는 두 종류가 있다
프리랜서란 무엇일까
이 책은 누구를 위한 것인가
프리랜서와 홈리스의 차이점
프리랜서는 정말 자유로울까
프리랜서와 경도발달장애
프로와 아마추어는 뭐가 다를까
1장 마흔의 벽
업계 사람이 되어버리고 말았다
스무 살에 집을 나오다
가장 좋아하는 일은 직업으로 삼지 않는 편이 좋다
스물세 살에 첫 단행본을 내다
기회는 반드시 찾아온다
일대 히트를 친 《원숭이만화교실》
프리랜서의 결혼에 대하여
마흔부터 일이 줄어드는 이유, 첫 번째
마흔부터 일이 줄어드는 이유, 두 번째
참된 의미에서의 프로 작가란
좁은 방으로의 고난도 이사
몹쓸 생각까지 하게 하는 가난
소비자금융에서 돈을 마구 빌리다
뇌경색으로 쓰러지다
읽고 쓸 수만 있다면
빚을 청산하다
2장 ‘좋아하는 것’을 관철한 대가, 도미사와 아키히토
취미를 직업으로 삼을 수 있었던 시대
동인지에서 프리라이터의 길로
게임 제작의 세계로
마흔의 벽 그리고 쉰의 벽
프리랜서가 ‘될 수밖에 없는’ 사람의 삶
고서점 개업
좋아하는 일을 하며 먹고산다
3장 프리랜서란 스스로 선택하는 삶의 방식, 스기모리 마사타케
연소득이 1천만 엔인 대학생
‘재미’만으로는 돈이 되지 않는다
20대에 편집프로덕션 설립
사장 자리에서 쫓겨나다
320만 부를 판 대형 베스트셀러 탄생
장사의 재능
스스로 진로를 선택하는 삶
4장 쉰 살의 벽은 더욱 높다
마흔네 살에 블로그를 시작하다
블로그에서 판 《사루만 애장판》
대학교수는 면허가 필요 없다
트위터를 시작하다
‘가로쓰기, 세로쓰기 문제’로 논쟁 점화
정신과 신세를 지다
대학교수를 그만두다
5장 샐러리맨과 만화가를 병행한 사내, 다나카 게이이치
이색적 겸업 만화가
샐러리맨으로서의 이력
왜 우울증에 걸렸을까
우울증 터널에서 탈출
틈새의 작가
영업력을 만화에 활용하다
만화가에게 웹의 가능성
6장 〈덴노마보〉와 나의 미래
〈덴노마보〉의 시작
재능은 언제나 묻혀 있다
프리랜서의 궁극적인 꿈, ‘개인 미디어’
프로란 ‘그 일로 생활이 가능한 사람’
아사이 뷰어
초기 웹툰의 사정
7장 애니메이션계의 혁명아가 직면한 ‘서른의 벽’, FROGMAN
깨닫고 보니 프리랜서가 되어 있었다
서른, 시마네 현으로 이주하여 독립
자신이 ‘할 수 있는 일’만으로 승부하다
생산비를 어디까지 절감할 수 있을까
빚을 지지 않는 크리에이터만큼 강한 자도 없다
스스로 일의 ‘법칙’을 만들 수 있다는 강점
8장 환갑을 맞아서도 분방한 프리 인생, 쓰즈키 교이치
독자 엽서에서 프리랜서로
대학 교육에 한계를 느끼다
정사원의 유혹을 뿌리치다
매거진하우스를 떠나 교토로
나는 ‘벽’에 부딪힌 적이 없다
자신만의 미디어를 갖자
프리랜서에게는 약속의 땅인 인터넷
9장 프리랜서에서 창업 사장으로
첫 창업에서 맛본 커다란 실패
투자의 대상이 되는 건 수백만 페이지뷰일 때부터
출판업은 도박이다
재능이 재능을 부르는 법칙
〈좋은 할머니와 손녀의 이야기〉와의 만남
회사원은 못해도 사장이라면 할 수 있다
맺으면서 이 책의 집필에 시간이 걸린 이유
한 얼간이의 험한 세상 살아내기
리뷰
책속에서
프리랜서는 동경한다고 해서 될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프리랜서에게는 프리랜서만이 직면하게 되는 벽이 있습니다. 사람들에게 취미의 연장으로 일을 하고 있다는 평을 듣고, 마음 편한 직업이라 여겨지고, “매일 만원 지하철에 시달리지 않아도 되니 부럽네요”라는 말을 듣곤 합니다만, 분명 부딪힐 수밖에 없는 벽이 있는 거죠. 그래서 저는 프리랜서 일을 계속하기 위해서는 어떤 벽이 있는지, 모두들 어떤 식으로 그 벽과 격투를 벌이고 있는지, 어떤 사람은 어떻게 극복해서 마흔 고개를 넘는 데 성공했는지, 이런 것들에 대해 이야기해보고 싶었답니다. 그래서 이 책을 쓰게 되었습니다.
프리랜서와 홈리스의 차이는 주거와 일이 있는가 없는가, 이것뿐입니다. 가슴에 손을 얹고 생각해봐도 그 이상에 차이를 저는 잘 모르겠습니다. ‘시간에 얽매이지 않고, 고용계약(회사 조직)에 묶이지 않는 사람’이라는 프리랜서에 대한 정의는 그대로 홈리스의 정의에 해당하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