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동양문화읽기
· ISBN : 9791187750499
· 쪽수 : 344쪽
· 출판일 : 2021-11-12
책 소개
목차
머리말 4
서론 베트남 한인 사회 탐색 과정과 관점
1. 들어가며 15
2. 연구 과정과 방법 22
3. 베트남 한인 사회를 조망하는 관점 31
1) 문화와 권력 32
2) 디아스포라와 초국가주의 36
3) 다원적 정체성의 정치학 41
4) 해외 이주노동의 초국적 연구 43
1장 베트남의 역사와 한인 진출 과정
1. 한인의 정착 배경으로서 베트남의 역사와 사회 49
1) 한인의 본격 진출 이전의 베트남과 개혁개방정책의 시행 배경 53
2) 개혁개방정책의 가속화와 한인의 등장 67
3) 베트남 개혁개방의 양면성과 한인공동체 75
2. 한-베트남 관계와 베트남 한인의 개황 84
2장 베트남 한인의 정착사와 세대별 분화
1. 원로 102
2. 개방 초기 세대 115
3. IMF 직후 세대 127
4. 2000년대 이후 세대 135
3장 베트남 한인의 사회경제적 분화와 문화적 특징
1. 주재원 150
2. 자영업자 167
3. 공장 매니저 177
4. ‘빈곤층’ 197
4장 한인 사회의 사회경제적 분화와 정치 과정
1. 호찌민 한인 사회와 비교되는 평화로운 하노이 한인 사회 209
1) 주재원 중심의 품위 있는 하노이 한인 사회 214
2) 주재원 중심의 하노이 한인 사회의 변화 226
2. 한인 사회의 정치 과정 240
3. 한인 사회 정치 과정의 변화를 추동하는 요인들 261
5장 베트남 한인의 현지인과의 관계와 정체성
1. 한인과 베트남인의 상호인식과 갈등 279
1) 민족적 위계에 대한 상이한 인식 279
2) 일터와 삶터에서의 갈등과 공존 290
2. 한인과 베트남인의 관계 및 상호인식의 변화 299
1) 한인의 사회경제적 분화, 베트남인과 관계 맺기 양상, 그리고 편견 299
2) 한인과 베트남인의 관계 맺기와 상호인식 변화 311
결론 베트남 한인공동체의 미래 319
참고자료 330
찾아보기 340
저자소개
책속에서
이 저서는 베트남 한인을 사회문화적으로 동질적인 집단으로 묘사하며 “이들은 이러저러하다”라는 식으로 정형화하면서 ‘같음’을 강조하는 이해에 머무르지 않는다. 한인 사회 내부의 ‘다름’을 함께 조명하여 한인의 다양하고 구체적인 삶을 포착하려는 시도이다. […] 베트남인에 대해서는 말할 것도 없고 베트남 한인 사회 내부에서도 구성원이 서로의 다름을 인정하고 상대를 존중하는 것이 상생의 출발점이라고 생각한다.
근대사의 결정적 차이에도 불구하고 아이러니하게도 베트남의 통일 이후 사회주의로의 이행 실패와 구소련을 비롯한 공산주의 국가의 몰락은 한국과 베트남이 시장경제의 길을 함께 걸을 수 있는 역사적 계기를 형성시켰다. 또한, 현재의 베트남 한인 사회가 만들어지는 계기를 제공하였다.
베트남이 노동집약적 산업의 세계적 생산기지로 발돋움함에 따라 세계생산체계에서 저가 생산품의 주요 공급자 역할을 담당해온 한국기업의 베트남 진출이 날로 증가한 바 있다. 그 결과 베트남 한인 수도 늘고 한인 사회 규모도 커지고 있다. 하지만 바로 이러한 역사적 궤적과 정치경제적 현실 때문에 베트남 한인의 삶은 베트남 사회가 안고 있는 제반 문제와 분리해서 이해될 수 없다. 한국기업과 한인은 베트남 경제에 공헌하고 있는 조력자로 인식될 수도 있지만, 동시에 베트남의 노동 문제와 환경 문제를 일으키는 주체, 대외 의존을 심화시키는 외국자본, 민족감정을 자극하는 외국인으로 간주될 수 있는 잠재력도 지니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