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88972978800
· 쪽수 : 576쪽
· 출판일 : 2017-06-28
책 소개
목차
머리말 ‘강남 만들기’와 ‘강남 따라 하기’를 통해 본 한국의 도시화 | 박배균
1장 ‘강남 만들기’, ‘강남 따라 하기’와 한국의 도시 이데올로기 | 박배균, 장진범
2장 서울 강남 지역의 사회적 구성과 정체성의 정치 | 이영민
3장 ‘강남’이라는 상상의 공동체: 강남의 심상 규모와 경계 짓기의 논리 | 이향아, 이동헌
4장 강남 어셈블리지: 국가처럼 보기 | 김동완
5장 강남 개발과 강남적 도시성의 형성: 반공 권위주의 발전국가의 공간선택성을 중심으로 | 지주형
6장 올림픽은 강남 개발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 1970-1980년대 잠실 올림픽타운 조성사업을 중심으로 | 김백영
7장 아파트의 자서전 | 박해천
8장 신도시 개발 이후 주택의 의미 변화와 사회적 경계 형성: 분당 신도시를 중심으로 | 서대승
9장 중산층 프로젝트로서 ‘분당 만들기’: 분당 신도시 조성의 사회학적 해석 | 장세훈
10장 발전주의 도시 매트릭스의 구축: 부산의 ‘강남 따라 하기’를 사례로 | 황진태
11장 수성구는 어떻게 ‘대구의 강남’이 되었나? | 박지혁, 황진태
저자소개
책속에서
이 책은 강남에 대한 연구서가 아니다. 강남이라는 표상을 통해 한국 도시 전체를 관통하는 도시화 메커니즘을 이해하려는 시도이다.
한국 도시화의 특징은 1970년대 강남이라는 신도시의 개발 이후 강남식 주거 환경과 도시적 삶을 지향하고 욕망하면서 이를 공간적으로 복제하고자 하는 노력의 결과이다.
강남 스타일의 물리적 경관과 건조 환경, 그리고 강남식 도시성은 서울의 ‘강남’이라는 장소에서만 나타나는 고유한 특성으로 남아 있지 않고, 한국의 도시 중산층이 꿈꾸고 지향하는 도시적 이상과 욕망이 되어 전국 곳곳의 도시에서 추종되고 복제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