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설교/성경연구
· ISBN : 9791187942795
· 쪽수 : 792쪽
· 출판일 : 2023-03-02
책 소개
목차
추천의 글 _7
저자 서문 _13
요한계시록 서론
1. 저자 _18
2. 수신자 _24
3. 기록 연대와 역사적 배경 _27
4. 기록 목적과 중심 주제 _31
5. 장르와 해석 방법 _36
6. 요한계시록의 구조 _60
7. 성경의 구원 계시역사에서 요한계시록의 위치 _62
요한계시록 본문 주석
요한계시록 1장 _69
요한계시록 2장 _126
요한계시록 3장 _177
요한계시록 4장 _212
요한계시록 5장 _235
요한계시록 6장 _261
요한계시록 7장 _292
요한계시록 8장 _308
요한계시록 9장 _320
요한계시록 10장 _331
요한계시록 11장 _343
요한계시록 12장 _376
요한계시록 13장 _410
요한계시록 14장 _439
요한계시록 15장 _465
요한계시록 16장 _479
요한계시록 17장 _506
요한계시록 18장 _535
요한계시록 19장 _562
요한계시록 20장 _593
요한계시록 21장 1절-22장 5절 _627
요한계시록 22장 6-21절 _684
부록
부록 1 - 『21세기 찬송가』의 찬송가 제목을 위한 증거 구절로서 요한계시록 분석 _713
부록 2 - 요한계시록에 나타난 16개 찬송의 콜론분석 _717
부록 3 - 신약성경의 지옥에 대한 기독론적 이해 _721
부록 4 - 런던의 변호사이자 작가인 Fredrick Edward Weatherly의
“거룩한 성(The Holy City)” (1892)의 가사에 대한 비평 _727
부록 5 - 단어 통계표 _730
부록 6 - 요한계시록의 동사 ἔρχομαι(가다, 오다)의 번역 제안 _740
참고문헌 _749
저자소개
책속에서
요한계시록은 강력한 자석처럼 사람들의 관심을 끌어 당겨왔다. 하지만 ‘두려움과 난해함’, 이 두 가지는 그리스도인이 요한계시록을 떠올릴 때 가지게 되는 느낌이자 선입견이다. 이런 느낌과 선입견의 주요 원인은 요한계시록에 심판 환상이 많기 때문이다. 하지만 계시록의 심판은 계시록의 독자를 박해하던 악의 세력을 향한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한다. 따라서 악인이 받을 재앙 및 심판은 그리스도인의 고난과 구분되어야 마땅하다.
계시록의 요절(要節)은 계시록 11장 15절이다. “일곱째 천사가 나팔을 불매 하늘에 큰 음성들이 나서 이르되 세상 나라가 우리 주와 그의 그리스도의 나라가 되어 그가 세세토록 왕 노릇 하시리로다 하니.” 박해에도 불구하고 이 세상이 삼위 하나님께서 다스리시는 나라로 변혁되는 것이 주요 내용이다(창1:28; 시22:28; 옵1:21 참조). 이 요절은 신약성경의 결론이자 성경 전체의 구원 메타내러티브(salvation meta-narrative)의 결론이기도 하다.
계시록의 시간표인 계시록 1장 1절과 22장 6절을 존중한다면, 계시록은 요한 당시에 대부분 성취되었으므로 현대에서 볼 때 과거적으로 해석해야 한다. 즉 계시록이 기록된 이후 짧은 기간에 이루어질 일이 대부분이다. 그런데 과거적 해석은 완전 과거론(full preterism)과 부분적 과거론(partial preterism)으로 나뉜다. 완전 과거론(철저과거론)은 계시록 전체가 AD 70년의 돌 성전파괴로 성취되었다고 본다. 따라서 이 입장은 미래 예수님의 재림, 몸의 부활, 영원한 지옥과 천국을 부정한다. 반면 부분적 과거론은 계시록의 대부분 내용이 AD 1세기에 성취되었다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