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통일/북한관계 > 통일문제
· ISBN : 9791188024919
· 쪽수 : 180쪽
· 출판일 : 2023-04-27
책 소개
목차
머릿글 - 대전환의 한반도, 통합으로 통일을 연다
Ⅰ. 통일을 향한 남북통합 정책의 모색
- 이영선 연세대 경제학부 명예교수, (재)통일과나눔 이사장
Ⅱ. 한반도 통일: 원심력과 구심력의 관점을 중심으로
- 윤영관 서울대 정치외교학부 명예교수
Ⅲ. 남북관계의 잠정 목표로서의 경제통합
- 김병연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
Ⅳ. 한반도 평화와 사회문화 통합: 2022년의 도전과 기회
- 박명규 광주과학기술원 초빙석학교수
Ⅴ. 특별 부록 - 2030 청년 통일인식조사 및 대토론회 결과보고서(요약)
책속에서
통일은 결코 쉽사리 오지 않을 것이다. 지금과 같은 신냉전 시대의 전개는 통일을 더 어렵게 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통일에 대한 염원을 지니고 남북한 사회의 통합을 향한 작은 걸음을 한 걸음씩 내디딜 때 통일의 기회가 주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기회를 포착하기 위해 통일 이전 단계로서 남북의 경제적, 사회문화적 통합을 이루어 가는 노력을 펼쳐야 할 것이다.
원심력 약화와 구심력 강화라는 관점에서 볼 때, 한반도 안보문제에 대한 다자협력 메커니즘이 작동하고, 북미관계 개선으로 북한이 외교적 고립에서 벗어나며, 중국의 한반도 통일에 대한 우려가 완화될 수 있다면 원심력 약화는 가능할 것이다. 또한 남한의 정치인들이 정치개혁을 통해 대북정책에 대한 초당적 합의와 실천을 가능하게 하고, 북한의 지도자가 비핵화에 대해 미국과 협력하기로 결정하여 경제제재를 해제 받게 된다면 구심력 강화가 가능해질 것이다.
열정이 없으면 목표가 없어 좌초하고 냉철한 분석이 결여되면 남북이 함께 망할 수 있다. 북한 문제를 표 얻는 수단으로 생각하는 정치인과 보수와 진보 사이 정쟁 대상으로 삼는 여론이 더 이상 대북정책을 좌지우지 하도록 내버려 두어서는 안 된다. 통합을 남북관계의 미래로 삼고 창의적이면서 현실성 있는 방안을 통해 남북관계를 견인해야 할 시점이다.